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함평 지역의 동학 조직과 ‘이고창 사건(이경인 밀고 사건)’ 검토 = A Study on the Donghak Organization in the Hampyeong Region and the ‘Lee Go-chang Incident (Accusation case by Lee Kyung-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609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894년 동학농민혁명기 전라도 함평에서 발생한 ‘이경인 밀고 사건’을 살펴보고, 혁명에 참여한 여러 인물들의 다양한 역사상을통해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를 얻고자 한다. 이 사건은 동학도였던 이경인이 같은 동학도이자 의병장으로 알려진 이태형과함평현감 권풍식을 밀고하여, 이태형의 아들 이두회에 의해 살해된 사건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건의 중심인물인 이경인의 삶과 동학 입도 과정을 통해 함평지역의 동학조직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경인이 왜이태형과 권풍식을 밀고하였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고창현감이었던 이경인은 1880년대 후반 파직된 이후 동학도가 되어 선운사 석불비결 사건과 관련한 문건인 「동학도개국음모건」에 이름을 올렸다. 1894년 동학농민혁명기에는 함평의 대접주 이화진과 긴밀한 관계 속에서 동학도로 활동하였다. 이경인이 동학에 입도하게 된배경에는 함평의 대표적인 세거 성씨인 함평이씨와 공주이씨, 흥덕장씨라는 세 가문의 혈연을 통한 인적 관계망이 있었다.
      이태형과 권풍식 밀고는 개인적인 원한 관계와 외부 세력의 사주에 의한 것이었다. 이태형 고발은 이경인의 개인적인 원한에서 비롯되었다. 다른 동학도들에 의해 가옥이 파괴되는 일을 겪은 이경인이 그를이태형의 사주로 오인해 원한을 갖게 된 것이다. 권풍식 고발은 이경인이 일본군 대대장인 미나미 고시로의 통역관 강원로와의 논의 속에서 진행한 것으로, 조사 과정에서 이경인 또한 동학도로 밝혀졌음에도아무런 처벌도 받지 않은 정황은 이 사건이 미나미와도 관련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일본이 조선의 지방관들을 동학 관련 혐의자 또는무능한 관리들로 몰아 이들을 임명한 민씨 세력을 견제하고, 나아가민씨 세력을 지원하는 청나라를 견제하기 위한 것이었다
      번역하기

      이 글은 1894년 동학농민혁명기 전라도 함평에서 발생한 ‘이경인 밀고 사건’을 살펴보고, 혁명에 참여한 여러 인물들의 다양한 역사상을통해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를 얻...

      이 글은 1894년 동학농민혁명기 전라도 함평에서 발생한 ‘이경인 밀고 사건’을 살펴보고, 혁명에 참여한 여러 인물들의 다양한 역사상을통해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를 얻고자 한다. 이 사건은 동학도였던 이경인이 같은 동학도이자 의병장으로 알려진 이태형과함평현감 권풍식을 밀고하여, 이태형의 아들 이두회에 의해 살해된 사건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건의 중심인물인 이경인의 삶과 동학 입도 과정을 통해 함평지역의 동학조직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경인이 왜이태형과 권풍식을 밀고하였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고창현감이었던 이경인은 1880년대 후반 파직된 이후 동학도가 되어 선운사 석불비결 사건과 관련한 문건인 「동학도개국음모건」에 이름을 올렸다. 1894년 동학농민혁명기에는 함평의 대접주 이화진과 긴밀한 관계 속에서 동학도로 활동하였다. 이경인이 동학에 입도하게 된배경에는 함평의 대표적인 세거 성씨인 함평이씨와 공주이씨, 흥덕장씨라는 세 가문의 혈연을 통한 인적 관계망이 있었다.
      이태형과 권풍식 밀고는 개인적인 원한 관계와 외부 세력의 사주에 의한 것이었다. 이태형 고발은 이경인의 개인적인 원한에서 비롯되었다. 다른 동학도들에 의해 가옥이 파괴되는 일을 겪은 이경인이 그를이태형의 사주로 오인해 원한을 갖게 된 것이다. 권풍식 고발은 이경인이 일본군 대대장인 미나미 고시로의 통역관 강원로와의 논의 속에서 진행한 것으로, 조사 과정에서 이경인 또한 동학도로 밝혀졌음에도아무런 처벌도 받지 않은 정황은 이 사건이 미나미와도 관련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일본이 조선의 지방관들을 동학 관련 혐의자 또는무능한 관리들로 몰아 이들을 임명한 민씨 세력을 견제하고, 나아가민씨 세력을 지원하는 청나라를 견제하기 위한 것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Accusation case by Lee Kyung-in’ that occurred in the Hampyeong region of Jeollado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and seeks to gain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rough the various historical stories of the various figures who participated in the revolution. This incident is that Lee Kyung-in, a Donghak believer, accused Lee Tae-hyeong, a Donghak believer and leader of the righteous army, and Kwon Pung-sik, the governor of Hampyeong. As a result, Lee Kyung-in was murdered by Lee Tae-hyung’s son Lee Du-hoe. This study examines the life of Lee Kyung-in, the protagonist of this event, the background of his conversion to Donghak, and the Donghak organization in the Hampyeong region.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why Lee kyung-in accused them.
      Lee Kyung-in, who was the governor of Gochang in the past, was dismissed in the late 1880s and became a Donghak believer, and he also wrote his name in a document about the attempted rebellion by Donghak believers related to the incident regarding the prophecy in the ‘navel’ of the stone Buddha statue of Seonunsa Temple.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he worked as a Donghak believer in close relationship with Lee Hwa-jin, the Donghak leader of Hampyeong. The reason Lee Kyung-in became a Donghak believer was because of his blood relationship with three representative families in the Hampyeong region: the Hampyeong Lee clan, the Gongju Yi clan, and the Heungdeok Jang clan.
      The accusations against Lee Tae-hyung and Kwon Poongsik were based on personal revenge and instigation by external forces. The accusation against Lee Tae-hyung was due to Lee Kyung-in’s personal revenge. Lee Kyung-in, whose house was destroyed by other Donghak believers, misunderstood the incident as Lee Tae-hyung’s instigation and became vengeful. On the other hand, the accusation against Kwon Pung-sik is related to Lee Kyung-in and the interpreter of Japanese Army General Minami Koshiro, ‘Kang Won-ro’, and the fact that Lee Kyungin was found to be a Donghak believer during the investigation but was not punished proves that this incident was also related to General Minami. This was to make local governors of Corea look like suspects of Donghak or incompetent officials, and to exclude the Min clan, the royal family that appointed them, from politics, and further prevent the power of the Qing Dynasty that supported the Min clan.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s the ‘Accusation case by Lee Kyung-in’ that occurred in the Hampyeong region of Jeollado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and seeks to gain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rough the va...

      This article examines the ‘Accusation case by Lee Kyung-in’ that occurred in the Hampyeong region of Jeollado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and seeks to gain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rough the various historical stories of the various figures who participated in the revolution. This incident is that Lee Kyung-in, a Donghak believer, accused Lee Tae-hyeong, a Donghak believer and leader of the righteous army, and Kwon Pung-sik, the governor of Hampyeong. As a result, Lee Kyung-in was murdered by Lee Tae-hyung’s son Lee Du-hoe. This study examines the life of Lee Kyung-in, the protagonist of this event, the background of his conversion to Donghak, and the Donghak organization in the Hampyeong region.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why Lee kyung-in accused them.
      Lee Kyung-in, who was the governor of Gochang in the past, was dismissed in the late 1880s and became a Donghak believer, and he also wrote his name in a document about the attempted rebellion by Donghak believers related to the incident regarding the prophecy in the ‘navel’ of the stone Buddha statue of Seonunsa Temple. During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1894, he worked as a Donghak believer in close relationship with Lee Hwa-jin, the Donghak leader of Hampyeong. The reason Lee Kyung-in became a Donghak believer was because of his blood relationship with three representative families in the Hampyeong region: the Hampyeong Lee clan, the Gongju Yi clan, and the Heungdeok Jang clan.
      The accusations against Lee Tae-hyung and Kwon Poongsik were based on personal revenge and instigation by external forces. The accusation against Lee Tae-hyung was due to Lee Kyung-in’s personal revenge. Lee Kyung-in, whose house was destroyed by other Donghak believers, misunderstood the incident as Lee Tae-hyung’s instigation and became vengeful. On the other hand, the accusation against Kwon Pung-sik is related to Lee Kyung-in and the interpreter of Japanese Army General Minami Koshiro, ‘Kang Won-ro’, and the fact that Lee Kyungin was found to be a Donghak believer during the investigation but was not punished proves that this incident was also related to General Minami. This was to make local governors of Corea look like suspects of Donghak or incompetent officials, and to exclude the Min clan, the royal family that appointed them, from politics, and further prevent the power of the Qing Dynasty that supported the Min cla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