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등 일반학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통합학급,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 Secondary inclusive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inclusion, inclusive classroom, and teachers’ role for inclu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673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secondary inclusive school teachers’ perception about inclusion, inclusive classroom, and teachers’ role for inclusion. 201 inclusive secondary schools were selected by stratified method and asked to participate the survey, and teachers of 128 schools responded. The results report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about i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that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charged of inclusion while general education teachers said that the special education classroom should be a main place for inclus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take a responsibility about inclusion. Also,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that behavior problem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the obstacle for inclusion wh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vealed that it was the lack of knowledge and teaching skills of teachers. In addition,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reducing the number of students in classroom would be the most helpful support for inclusion.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role for i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t perceptions. Special education teachers said the most important role for themselves was supporting inclus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il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swered that supporting social develop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the most important role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a conclusion, it was propos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work collaboratively and understand each other to improve the quality of inclusion in secondary school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secondary inclusive school teachers’ perception about inclusion, inclusive classroom, and teachers’ role for inclusion. 201 inclusive secondary schools were selected by stratified method and asked to partic...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secondary inclusive school teachers’ perception about inclusion, inclusive classroom, and teachers’ role for inclusion. 201 inclusive secondary schools were selected by stratified method and asked to participate the survey, and teachers of 128 schools responded. The results report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about i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that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charged of inclusion while general education teachers said that the special education classroom should be a main place for inclus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take a responsibility about inclusion. Also,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that behavior problem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the obstacle for inclusion wh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vealed that it was the lack of knowledge and teaching skills of teachers. In addition,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reducing the number of students in classroom would be the most helpful support for inclusion.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role for i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t perceptions. Special education teachers said the most important role for themselves was supporting inclus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il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swered that supporting social develop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the most important role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a conclusion, it was propos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work collaboratively and understand each other to improve the quality of inclusion in secondary schoo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등학교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통합학급,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려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전국의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층화표집 한 128개교의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서로 다른 인식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통합교육에 대해 특수교사는 일반학급 주도로 일반교사에 의해 실시되어야 한다고 응답한 반면 일반교사는 특수학급에서 특수교사에 의해 주도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고 답하였다. 특수교사는 개별화교육 지원을 중요하다고 답한 반면 일반교사는 통합학급의 학급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통합학급 운영의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반해 일반교사는 장애에 대한 교사의 지식과 지도기술 부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또한 일반교사는 통합학급 수업을 위해 학생 수 축소를 가장 필요한 지원이라고 답했고 교수적 수정에 대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유사한 인식을 보였으나 특수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 지원과 전환교육을 중요하게 꼽은 반면 일반교사는 장애학생의 사회성 발달 지도와 구성원 대상의 장애인식 교육을 가장 중요한 역할로 인식하고 있어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중등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서로에 대해 이해하고 협력하려는 자세를 가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고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통합교육과 장애학생 교육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함께 노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과 연수기회를 제공하고 통합교육을 촉진하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함을 강조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등학교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통합학급,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려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전국의 특수학급이 설치되...

      본 연구는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등학교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통합학급,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려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전국의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층화표집 한 128개교의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서로 다른 인식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통합교육에 대해 특수교사는 일반학급 주도로 일반교사에 의해 실시되어야 한다고 응답한 반면 일반교사는 특수학급에서 특수교사에 의해 주도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고 답하였다. 특수교사는 개별화교육 지원을 중요하다고 답한 반면 일반교사는 통합학급의 학급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통합학급 운영의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반해 일반교사는 장애에 대한 교사의 지식과 지도기술 부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또한 일반교사는 통합학급 수업을 위해 학생 수 축소를 가장 필요한 지원이라고 답했고 교수적 수정에 대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유사한 인식을 보였으나 특수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 지원과 전환교육을 중요하게 꼽은 반면 일반교사는 장애학생의 사회성 발달 지도와 구성원 대상의 장애인식 교육을 가장 중요한 역할로 인식하고 있어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중등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서로에 대해 이해하고 협력하려는 자세를 가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고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통합교육과 장애학생 교육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함께 노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과 연수기회를 제공하고 통합교육을 촉진하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함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승희, "한국 장애학생 통합교육 : 특수교육과 일반교육 관계 재정립" 교육과학사 2003

      2 정근선,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학습 수정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인식조사" 3 (3): 29-52, 2006

      3 정성민, "특수학교(급) 고등부 전환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145-171, 2013

      4 교육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부 2015

      5 교육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부 2014

      6 김현진, "통합학급 담당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운영에 대한 분석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5 (15): 33-55, 2008

      7 손영화,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수행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227-252, 2011

      8 이대식, "통합교육의 이해와 실제 : 통합학급에서의 효과적인교육방법" 학지사 2011

      9 신진숙,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팀 접근 전략에 관한 문헌고찰" 한국특수아동학회 7 (7): 317-332, 2005

      10 방명애,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에 대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141-159, 2009

      1 박승희, "한국 장애학생 통합교육 : 특수교육과 일반교육 관계 재정립" 교육과학사 2003

      2 정근선,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학습 수정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인식조사" 3 (3): 29-52, 2006

      3 정성민, "특수학교(급) 고등부 전환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145-171, 2013

      4 교육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부 2015

      5 교육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부 2014

      6 김현진, "통합학급 담당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운영에 대한 분석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5 (15): 33-55, 2008

      7 손영화,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수행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227-252, 2011

      8 이대식, "통합교육의 이해와 실제 : 통합학급에서의 효과적인교육방법" 학지사 2011

      9 신진숙,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팀 접근 전략에 관한 문헌고찰" 한국특수아동학회 7 (7): 317-332, 2005

      10 방명애,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에 대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141-159, 2009

      11 최선실, "통합교육 실시를 위한 원적학급 일반교사의 지원 요구" 14 (14): 319-347, 2001

      12 김기흥, "통합교육 및 특수학급운영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부산지역의 특수학급이 설치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17-51, 2009

      13 권요한, "통합 교욱에서의 교육과정 조정 요인"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249-278, 2002

      14 김주혜, "초등학교 통합학급교사의 장애학생에 대한 교수수행 평가도구 개발 기초연구" 특수교육연구소 8 (8): 5-23, 2009

      15 박미화, "초등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장애학생 지도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적 수정 실행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413-436, 2010

      16 박진영, "중학교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과운영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2 (52): 251-271, 2009

      17 황순영, "중학교 통합학급 수학수업에서 수학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실행도"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195-209, 2011

      18 김진희, "중학교 통합학급 미술 담당 교사의 교수적 수정 실행도와 지원 요구"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7 (7): 1-18, 2014

      19 양재원, "중등학급 특수교사의 전환교육계획 실행수준"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283-307, 2012

      20 강민주, "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311-333, 2012

      21 박상희, "중등부 장애학생의 전환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309-331, 2006

      22 이숙향, "중등 통합교육의 현실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장애학생과 부모의 통합교육 경험 및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203-235, 2011

      23 권현수, "중등 일반교사의 통합학급 수업과 교수적 수정에 대한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199-223, 2012

      24 나경은, "중·고등학교 일반교사들이 인식하는 장애학생들을 위한 좋은 수업의 수행필요성과 수행역량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543-569, 2012

      25 조인수, "전환사정 실천사항에 대한 정신지체학교 교사의 인식수준"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8 (48): 133-152, 2009

      26 조인수, "전환교육 실행과정에 따른 실천적 과제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97-122, 2011

      27 박승희, "전국 중학교 특수학급 및 통합학급 수업의실제: 중학교 통합교육의 실상과 허상" 특수교육연구소 14 (14): 27-62, 2015

      28 최하영,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 제고를 위한 교수적 수정 연구 고찰" 특수교육연구소 10 (10): 5-24, 2011

      29 정동영, "장애학생 통합교육론" 교육과학사 2012

      30 박혜진, "자폐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비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123-144, 2008

      31 송민애, "자폐성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통합학급 일반학생의 인식"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31 (31): 155-172, 2015

      32 이효정, "자폐성 장애학생과 학교폭력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 및 문헌분석" 한국자폐학회 13 (13): 87-109, 2013

      33 박승희,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적 수정의 개념과실행방안" 34 (34): 29-71, 1999

      34 김지영, "교육과정 수정 연구 동향 및 실험 연구 분석: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523-541, 2012

      35 박새은, "교수 수정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 비교" 2 (2): 63-81, 2009

      36 강경숙, "경도장애학생의 교수적 수정에 영향을 미치는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특성 및 협력 변인 비교"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231-259, 2009

      37 김남진, "경기지역 통합교육 재구조화에 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7 (17): 123-143, 2016

      38 김의정,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른 교육과정적 통합교육 실시에 대한 초등학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 교과교육연구소 15 (15): 991-1019, 2011

      39 Sitlington, P. L.,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earson Education Inc 2006

      40 Mastropieri, M. A., "The inclusive classroom: Strategies for effective differentiated instruction" Pearson Education Inc 2010

      41 Snell, M. E., "Teachers’ guides to inclusive practices: Social relationships and peer support"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2000

      42 Tannock, M. T.,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of collaborative teaching" 44 (44): 173-178, 2009

      43 Mastropieri, M. A., "Promoting inclusion and secondary classrooms" 24 (24): 265-274, 2001

      44 Kauffman, J. M., "Opinion on recent developments and the future of special education" 36 (36): 9-13, 2015

      45 Friend, M., "Interactions: Collaboration skills for school professionals" Pearson Education Inc 2010

      46 Hornby, G., "Inclusive special education : Development of a enw theory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and disabilities" 42 (42): 234-256, 2015

      47 권현수, "General Educators' Perceptions about Inclusion and Teacher Preparation, and Special Education Content Knowledge"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97-116, 2007

      48 McLaughlin, M. J., "Examining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collaborative practices in exemplary schools" 13 : 279-283, 2002

      49 Grskovic, J. A., "Essential standards for preparing secondary content teachers to effectively teach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n included settings" 39 (39): 94-106, 2011

      50 Bateman, B., "Enduring issues in special education: Personal perspectives" Routledge 2015

      51 Kirk, S., "Educating exceptional children" Wadsworth 2012

      52 Salend, S. J., "Creating inclusive classrooms: Effective and reflective practices" Pearson Education Inc 2008

      53 Hunt, P., "Collaborative teaming to support students with AAC needs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18 : 20-35, 2002

      54 Walther-Thomas, C. S., "Co-teaching experiences : The benefits and problems that teacher and principals report over time" 30 (30): 395-407,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KCI등재
      2006-05-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1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