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6년 현재 영국 대학의 한국학 및 한국어 연구와 교육현황에 대해서 고찰하고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설한 대학의 담당자와 의 인터뷰를 통해서 외국에서의 한국학 및 한국어 연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22387
2016
-
710
KCI등재
학술저널
1-24(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6년 현재 영국 대학의 한국학 및 한국어 연구와 교육현황에 대해서 고찰하고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설한 대학의 담당자와 의 인터뷰를 통해서 외국에서의 한국학 및 한국어 연구...
본 연구는 2016년 현재 영국 대학의 한국학 및 한국어 연구와 교육현황에 대해서 고찰하고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설한 대학의 담당자와 의 인터뷰를 통해서 외국에서의 한국학 및 한국어 연구와 교육에 대한 향 후 연구와 교육과정 개설방안의 참조점을 제공하고, 한국어 교육의 세계 화를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전체 연구대상 50개 중에 서 한국학 및 한국어 전공을 정규과정으로 개설한 대학은 2016년 현재도 케임브리지, 옥스퍼드, 쉐필드, 소아스 런던 대학이었으며 개설교과목은 교수진의 변동에 따라서 연재훈(1999), 이은자(2006), 박경철(2013)의 연 구와 비교할 때 차이가 있었다. 정규 또는 비정규과정으로 한국어 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대학으로는 런던 정경대,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레스터 대학, 더럼 대학, 이스트 앵글리아 대학 등 11개의 대학이 있었고, 더럼 대학, 레스터 대학,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정경대, 퀸즈유니버시티 벨파 스트의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한국어 교육의 지역별 특수성과 현 황을 살펴보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