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대 핵심 역량으로 컴퓨팅 사고력(CT)이 강조되면서, 초중고 교육과정에서도 소프트웨어·인공지능 교육을확대하고 모든 교과과목에서 디지털 융합 수업을 실시할 것을 권고하고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 시대 핵심 역량으로 컴퓨팅 사고력(CT)이 강조되면서, 초중고 교육과정에서도 소프트웨어·인공지능 교육을확대하고 모든 교과과목에서 디지털 융합 수업을 실시할 것을 권고하고 있...
디지털 시대 핵심 역량으로 컴퓨팅 사고력(CT)이 강조되면서, 초중고 교육과정에서도 소프트웨어·인공지능 교육을확대하고 모든 교과과목에서 디지털 융합 수업을 실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 교과 외에 다른 교과에서도CT 함양을 목표로 다양한 형태의 수업들이 설계되고 있고, 대부분 CT 함양에 긍정적 효과를 내는 것으로 보고되고있다. 그런데 최근 중학생의 CT를 평가한 국제비교 연구인 국제컴퓨터·정보소양연구(ICILS) 2018에서는 학교에서CT 관련 학습을 많이 했다고 보고한 학생일수록 CT 측정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이 부적 관계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다른 참여국 모두에서 일관되게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CT 관련 학습 내용에 대해 학생과 동일한 문항으로 교사설문이 실시된 점에 주목했다. t-검정으로 교사-학생 간 응답을 비교한 결과, CT 관련 학습 모든 항목에서 교사가학생에 비해 높게 평가했고, 그 상관관계도 낮다는 점을 발견했다. 다음으로 다층모형을 활용해 교사가 평가한 CT 관련 교수 정도와 CT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적 관계를 갖는 학생 응답과는 반대로 정적 관계를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교수·학습에 대해 교사-학생 설문 중 하나를 기준으로 평가할 경우 갖는 한계를 보여준다. 또한 CT 관련 교수와 CT 간 정적 관계는 다양한 교과에서 CT 핵심 개념을 가르치는 수업이 CT 함양에 긍정적 효과를 낼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교사-학생 간 응답을 직접 비교하지 못하는 한계와 횡단 자료가 갖는 결과 해석의 한계를 밝히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호 ; 김선향, "피지컬 컴퓨팅 기반 소프트웨어 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7 (7): 243-255, 2021
2 정하나 ; 전영석, "플립러닝 기반 피지컬 컴퓨팅 수업을 통한 초등학교 과학영재의 컴퓨팅 사고력 계발" 한국영재학회 30 (30): 1-23, 2020
3 이규완 ; 남현욱, "코딩교육이 초등학생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 31 (31): 269-284, 2018
4 나청수 ; 주현 ; 이진주 ; 김동식,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국내 SW 교육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4 (34): 775-815, 2018
5 박광렬, "컴퓨팅 사고력 학습을 위한 학습자료 개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6 (26): 33-50, 2020
6 김경규 ; 이종연, "컴퓨팅 사고력 기반 프로그래밍 학습의 효과성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9 (19): 27-39, 2016
7 홍석영, "컴퓨팅 사고력 기반 지구과학 언플러그드 활동의 효과와 시사점 탐색: 고체지구 영역의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14 (14): 80-94, 2021
8 이철현, "컴퓨팅 사고력 기반 실생활 문제해결학습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3 (23): 91-107, 2017
9 김현석 ; 최선영, "초등과학 수업에서 절차적 사고과정을 활용한 학습 전략이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소 43 (43): 329-341, 2019
10 맹희주 ; 서혜애, "초등 발명영재 교수-학습에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 분석" 한국영재학회 23 (23): 1003-1017, 2013
1 이재호 ; 김선향, "피지컬 컴퓨팅 기반 소프트웨어 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7 (7): 243-255, 2021
2 정하나 ; 전영석, "플립러닝 기반 피지컬 컴퓨팅 수업을 통한 초등학교 과학영재의 컴퓨팅 사고력 계발" 한국영재학회 30 (30): 1-23, 2020
3 이규완 ; 남현욱, "코딩교육이 초등학생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 31 (31): 269-284, 2018
4 나청수 ; 주현 ; 이진주 ; 김동식,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국내 SW 교육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4 (34): 775-815, 2018
5 박광렬, "컴퓨팅 사고력 학습을 위한 학습자료 개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6 (26): 33-50, 2020
6 김경규 ; 이종연, "컴퓨팅 사고력 기반 프로그래밍 학습의 효과성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9 (19): 27-39, 2016
7 홍석영, "컴퓨팅 사고력 기반 지구과학 언플러그드 활동의 효과와 시사점 탐색: 고체지구 영역의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14 (14): 80-94, 2021
8 이철현, "컴퓨팅 사고력 기반 실생활 문제해결학습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3 (23): 91-107, 2017
9 김현석 ; 최선영, "초등과학 수업에서 절차적 사고과정을 활용한 학습 전략이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소 43 (43): 329-341, 2019
10 맹희주 ; 서혜애, "초등 발명영재 교수-학습에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 분석" 한국영재학회 23 (23): 1003-1017, 2013
11 박소영 ; 장은아 ; 정혜원, "중학생의 컴퓨터·정보 소양 및 컴퓨팅 사고력 관련 주요 변수 탐색: ICILS 2018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60 (60): 231-262, 2022
12 관계부처합동, "전국민 인공지능(AI)·소프트웨어(SW)교육 확산방안" 2020
13 관계부처 합동, "인공지능 국가전략" 관계부처합동 2019
14 이재호 ; 조세희, "언플러그드 순서도 학습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6 (6): 65-75, 2020
15 박상욱,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 ICILS 2018 결과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16 김성원 ; 이영준, "과학·수학·정보 융합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4 (24): 1-10, 2021
17 Hahs-Vaughn, D. L., "Weighting omissions and best practices when using largescale data in educational research. Professional File 101"
18 Allison, P. D., "The Sage Handbook of Quantitative Methods in Psychology" Sage 72-89, 2009
19 Desimone, L. M., "Survey measures of classroom instruction : Comparing student and teacher reports" 24 (24): 267-329, 2010
20 Lye, S., "Review on teaching and learning of computational thinking through programming: What is next for K–12?" 41 : 51-61, 2014
21 Fraillon, J., "Preparing for Life in a Digital World: IEA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2018 International Report" IEA 2018
22 Graham, J. W, "Missing Data: Analysis and Design" Springer 2012
23 Papert, S., "Mindstorms: Children, Computers, and Powerful Ideas" Basic Books 1980
24 Mullens, J. E., "Measuring Classroom Instructional Processes: Using Survey and Case Study Field Test Results to Improve Item Construction"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1999
25 Mikheeva, E,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2018: User Guide for the International Database" IEA 2018
26 Fraillon, J.,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2018: Technical Report" IEA 2018
27 Fraillon, J.,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2018: Assessment Framework" IEA 2018
28 Wooldridge, J. M., "Econometric Analysis of Cross Section and Panel Data" MIT Press 2010
29 Dockterman, D. M., "Discrepanci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ratings of instructional practice: A way to measure classroom intuneness and evaluate teaching quality" UCLA 2017
30 Lodi, M., "Computational thinking, between Papert and Wing" 30 : 883-908, 2021
31 Voogt, J., "Computational thinking in compulsory education : Towards an agenda for research and practice" 20 (20): 715-728, 2015
32 Wing, J. M.,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inking about computing" 366 : 3717-3725, 2008
33 Wing, J. M., "Computational thinking" 49 : 33-35, 2006
34 이재호 ; 윤은혜, "CS 언플러그드 교육이 영재학급 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6 (6): 77-88, 2020
35 Camburn, E. M., "Assessing the validity of an annual survey for measuring the enacted literacy curriculum" 31 (31): 73-107, 2017
36 교육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2021
초등학생 자녀의 원격수업 지원을 위한 학부모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경험 탐색
기초학력향상 지원 프로그램 새라배움(New Learning) 효과성: MTSS(Mutitiered system of support) 모델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