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숙취해소 효과에 관한 연구 = Hangover relieving effect of Sanghwang mushroom mycelium extr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260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hangover relieving effect of Sanghwang mushroom mycelium extract (SME). The extract showed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effec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high antioxidant capaci...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hangover relieving effect of Sanghwang mushroom mycelium extract (SME). The extract showed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effec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high antioxidant capacity ($56.67{\pm}1.77%$) when administered at $120{\mu}g/mL$. In addition, SME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05) the aldehyde dehydronase (ALDH) activity ($126.03{\pm}9.11%$) when applied at 8 or $16{\mu}L/mL$. A locomotor activity test showed that the alcohol-water 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motor activity at 90 min post-administration. However, the alcohol-SME treated group showed a 20-fold higher motor activity than that observed in the alcohol-water treated group at 90 min post-administration. Blood was harvested from each mouse at 90 min post-administration, and both alcohol and aldehyd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The alcohol-SME 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 < 0.5) alcohol ($120.13{\pm}12.83{\mu}g/mL$) and aldehyde ($7.26{\pm}1.22{\mu}g/mL$) concentrations than the values observed in the alcohol-water trea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angover relieving effect of SME results from increased ALDH activity, which reduces the aldehyde concentration in the bloo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선민, "헛개나무 열매를 주성분으로 제조한 새로운 처방이 알코올 분해 및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828-834, 2006

      2 박은미,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한 건강음료의 숙취 제거 효과"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71-75, 2006

      3 이명렬, "참나물이 만성적으로 알코올 유도된 흰쥐의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 17 (17): 1406-1413, 2007

      4 신정혜, "전복과 천연 식물류 복합물의 항산화 및 알코올대사 효소 활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182-187, 2008

      5 손호용, "장수상황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고체 발효한약재의 대장암 세포성장 억제 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0 (20): 1268-1275, 2010

      6 안영태, "알코올 투여한 쥐에서 발효유의 섭취가 간조직 내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37 (37): 631-635, 2005

      7 이병의,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면역증진 효능" 한국생약학회 43 (43): 157-162, 2012

      8 구성자, "보이차(Camellia sinensis LINNE) 추출물이 정상인의 알코올 농도와 숙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1 (21): 591-598, 2005

      9 권석형, "버섯 균사체에 의한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16 (16): 15-21, 2003

      10 김민석, "만성적으로 알코올을 섭취한 쥐의 조직 내 Fatty Acid EthylEsters (FAEEs)와 지질과산화물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40 (40): 413-418, 2007

      1 박선민, "헛개나무 열매를 주성분으로 제조한 새로운 처방이 알코올 분해 및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828-834, 2006

      2 박은미,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한 건강음료의 숙취 제거 효과"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71-75, 2006

      3 이명렬, "참나물이 만성적으로 알코올 유도된 흰쥐의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 17 (17): 1406-1413, 2007

      4 신정혜, "전복과 천연 식물류 복합물의 항산화 및 알코올대사 효소 활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4 (24): 182-187, 2008

      5 손호용, "장수상황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고체 발효한약재의 대장암 세포성장 억제 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0 (20): 1268-1275, 2010

      6 안영태, "알코올 투여한 쥐에서 발효유의 섭취가 간조직 내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37 (37): 631-635, 2005

      7 이병의, "상황버섯 균사체 추출물의 면역증진 효능" 한국생약학회 43 (43): 157-162, 2012

      8 구성자, "보이차(Camellia sinensis LINNE) 추출물이 정상인의 알코올 농도와 숙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1 (21): 591-598, 2005

      9 권석형, "버섯 균사체에 의한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16 (16): 15-21, 2003

      10 김민석, "만성적으로 알코올을 섭취한 쥐의 조직 내 Fatty Acid EthylEsters (FAEEs)와 지질과산화물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40 (40): 413-418, 2007

      11 노경희, "건강한 남자 대학생에서 민들레즙 보충이 알코올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숙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683-693, 2009

      12 김정상, "갈근(Radix puerariae)과 죽력(Bambusae caules in Liquamen Phyllostachyos)을 함유한 숙취해소 음료가 알코올을 투여한 생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318-323, 2004

      13 Jernigan TL, "When alcoholism affects memory functions: MRI of the brain" 19 : 104-107, 1995

      14 Konno S, "Potent anticancer effects of bioactive mushroom extracts (Phellinus linteus) on a variety of human cancer cells" 7 : 76-82, 2015

      15 Guang-Hai Yan, "Phellinus linteus Extract Exerts Anti-asthmatic Effects by Suppressing NF-κB and p38 MAPK Activity in an OVA-induced Mouse Model of Asthma" 대한면역학회 14 (14): 107-115, 2014

      16 Pemberton PW, "Non-invasive monitoring of oxidant stress in alcoholic liver disease" 40 : 1102-1108, 2005

      17 Forsander OA, "Metabolites produced in the liver during alcohol oxidation" 235 : 34-36, 1960

      18 Vidal F, "Influence of chronic alcohol abuse and liver disease on hepatic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15 : 3-8, 1998

      19 Lieber CS, "Hepatic, metabolic and toxic effects of ethanol:1991 update" 15 : 573-592, 1991

      20 Takase S, "Hepatic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in liver diseases, with particular emphasis on alcoholic liver disease" 9 : 704-709, 1989

      21 Heinecke JW, "Free radical modific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mechanisms and biological consequences" 3 : 65-73, 1987

      22 Albano E, "Free radical mechanisms in immune reactions associated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32 : 110-114, 2002

      23 Lieber CS, "Ethanol metabolism, cirrhosis and alcoholism" 257 : 59-84, 1997

      24 Morel DW, "Endothelial and smooth muscle cells alter low density lipoprotein in vitro by free radical oxidation" 4 : 357-364, 1984

      25 Glueck CJ, "Effects of alcohol ingestion on lipids and lipoproteins in normal men: isocaloric metabolic studies" 33 : 2287-2293, 1980

      26 Cho SH, "Effect of plant extracts on the activity of alcohol dehydrogenase and the antioxidation in alcohol-treated rat hepatocyte" 30 : 679-683, 2001

      27 Myeong-Seok Lee,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Culture Broth of Phellinus linteu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한국균학회 43 (43): 43-48, 2015

      28 Park IH, "An antioxidant hispidin from the mycelial cultures of Phellinus linteus" 27 : 615-618, 2004

      29 Mezey E, "Alcoholic liver disease: roles of alcohol and malnutrition" 33 : 2709-2718, 1980

      30 Das SK,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81 : 177-187, 2007

      31 Lieber CS, "Alcohol and liver" 106 : 1085-1105, 1994

      32 Aoshima H, "Aging of whiskey increases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52 : 5240-5244,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 of Veterinary Science -> Korean J. of Veterinary Research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5 0.15 0.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1 0.1 0.25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