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도소 출소자를 위한 사회적기업의 교정적 의의 = A study on the social enterprise for Ex-offenders in the correctional welfa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349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ttle is known about concepts of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enterpreneurship which is now making amazing breakthroughs in all the regions of social welfare including correctional social welfare which is connected directly with correction for prisoners and Ex-offenders before the year 2006 in Korea. But in 2007, korea parliament adopted a law for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enterpreneurship to meet the needs of the current of the time of the law about social enterprise which is dated back the Italian law of it in 1991. Thus they have shown rapidly increasing interest about social enterprise and under way. On the 18th of the last month, the minister of Justice announced the planning of the task-force team of the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enterpreneurship for Ex-offenders who can commit a second offense on account of the economic problems and poverty which has brought about directly and indirectly second offense. Thus in this study, after th analysis korean social enterprise history, model and the foreign institution inclusive of the united states(PHS) and Europe about the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enterpreneurship which is related with Ex-offenders We would like to explore korean social enterprise model for Ex-offenders. It follows from what has been discussed thus for that the social enterprise in korea can be of consequence for reducing second offense rate which is attributed with economic problems and restorative social enterprise in korea including victims to say nothing of Ex-offenders should be introduced.
      번역하기

      Little is known about concepts of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enterpreneurship which is now making amazing breakthroughs in all the regions of social welfare including correctional social welfare which is connected directly with correction for prison...

      Little is known about concepts of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enterpreneurship which is now making amazing breakthroughs in all the regions of social welfare including correctional social welfare which is connected directly with correction for prisoners and Ex-offenders before the year 2006 in Korea. But in 2007, korea parliament adopted a law for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enterpreneurship to meet the needs of the current of the time of the law about social enterprise which is dated back the Italian law of it in 1991. Thus they have shown rapidly increasing interest about social enterprise and under way. On the 18th of the last month, the minister of Justice announced the planning of the task-force team of the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enterpreneurship for Ex-offenders who can commit a second offense on account of the economic problems and poverty which has brought about directly and indirectly second offense. Thus in this study, after th analysis korean social enterprise history, model and the foreign institution inclusive of the united states(PHS) and Europe about the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enterpreneurship which is related with Ex-offenders We would like to explore korean social enterprise model for Ex-offenders. It follows from what has been discussed thus for that the social enterprise in korea can be of consequence for reducing second offense rate which is attributed with economic problems and restorative social enterprise in korea including victims to say nothing of Ex-offenders should be introduc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에서는 2006년까지는 오늘날 범죄자나 출소자에 대한 교정복지를 포함한 사회복지의 모든 영역에서 놀랄만한 혁신적 패러다임을 가져오고 있는 사회적 기업이나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개념에 관해서는 거의 논의 되지 않았다. 그러나 오늘날 사회적 기업에 관한 법적 형태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1991년의 이탈리아의 사회적 기업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이래 유럽각국은 물론 미국 등 선진국에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사회적 기업에 관한 패러다임은 이제 보편적인 시대의 조류이며 이런 시대의 조류에 부응하여 한국에서도 2007년에 와서 드디어 사회적 기업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고 현재는 지방자치단체마다 경쟁적으로 조례제정에 나설 만큼 중요성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런 추세에 부응하여 2010년 8월18일 법무부 장관은 오늘날 출소자의 높은 재범률의 중요한 원인으로서 출소자의 경제적 기반의 취약을 들고 이제 출소자를 위한 사회적 기업의 당위성과 실천을 위하여 법무부내에 타스크 포스팀을 구성하여 출소자를 위한 사회적 기업을 만들겠다고 발표하였다. 이 논문은 시의적절하게 이런 추세에 맞추어 교정복지차원에서 사회적기업의 필요성과 실천적 전략을 다루고 있다. 먼저 오늘날 출소자의 높은 재범률의 한 원인으로서 출소자들의 경제적 어려움과 낙인에 대하여 다양한 접근을 통하여 운론하였으며 출소자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 기존의 갱생보호제도의 관료적인 문제점과 한계를 지적 하여 출소자의 경제적 자립을 위하여 보다 다른 차원의 패러다임의 필요성을 언급하였고 그런 패러다임이 바로 소외된 출소자를 고용하여 그들의 자립을 돕는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경영이익을 도모하는 기업적 측면을 동시에 가진다는 사회적 기업이란 점을 언급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사회적 기업에 관한 의의와 역사 및 배경 등에 관하여 외국의 일반이론을 살펴 보고나서 우리나라의 사회적 기업의 제도화와 발전과정 및 형태를 언급하여 이런 것들이 출소자를 위한 사회적 기업의 설립에 어떤 영향과 시사점을 주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재 외국의 출소자에 대한 사회적 기업의 사례를 미국의 PHS사례와 영국과 이탈리아 등의 사례를 언급하고 미국식의 대기업과 연계된 출소자지원 사회적 기업의 필요성을 언급하여 앞으로 출소자를 위한 사회적 기업에 시사점이 되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출소자들의 재범률의 한 원인인 경제적 취약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갱생보호제도와 병행하여 출소자에 대한 사회적 기업의 필요성이 교정복지적 차원에서 절실함을 언급하였으며 나아가 출소자나 수형자에 대한 사회적 기업에서 진전하여 외부통근수형자 등도 포함시킬 필요성을 언급하였으며 나아가서는 회복적 사법이념과 필자가 만든 “천정환의 복지적 사법론”에 부응하여 피해자도포함하되 더소외된자들을 차별적으로 고용하는 회복복지적 사회적 기업의 필요성에 대하여 교정복지적 차원에서 독창적으로 운론하였다.
      번역하기

      한국에서는 2006년까지는 오늘날 범죄자나 출소자에 대한 교정복지를 포함한 사회복지의 모든 영역에서 놀랄만한 혁신적 패러다임을 가져오고 있는 사회적 기업이나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

      한국에서는 2006년까지는 오늘날 범죄자나 출소자에 대한 교정복지를 포함한 사회복지의 모든 영역에서 놀랄만한 혁신적 패러다임을 가져오고 있는 사회적 기업이나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개념에 관해서는 거의 논의 되지 않았다. 그러나 오늘날 사회적 기업에 관한 법적 형태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1991년의 이탈리아의 사회적 기업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이래 유럽각국은 물론 미국 등 선진국에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사회적 기업에 관한 패러다임은 이제 보편적인 시대의 조류이며 이런 시대의 조류에 부응하여 한국에서도 2007년에 와서 드디어 사회적 기업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고 현재는 지방자치단체마다 경쟁적으로 조례제정에 나설 만큼 중요성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런 추세에 부응하여 2010년 8월18일 법무부 장관은 오늘날 출소자의 높은 재범률의 중요한 원인으로서 출소자의 경제적 기반의 취약을 들고 이제 출소자를 위한 사회적 기업의 당위성과 실천을 위하여 법무부내에 타스크 포스팀을 구성하여 출소자를 위한 사회적 기업을 만들겠다고 발표하였다. 이 논문은 시의적절하게 이런 추세에 맞추어 교정복지차원에서 사회적기업의 필요성과 실천적 전략을 다루고 있다. 먼저 오늘날 출소자의 높은 재범률의 한 원인으로서 출소자들의 경제적 어려움과 낙인에 대하여 다양한 접근을 통하여 운론하였으며 출소자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 기존의 갱생보호제도의 관료적인 문제점과 한계를 지적 하여 출소자의 경제적 자립을 위하여 보다 다른 차원의 패러다임의 필요성을 언급하였고 그런 패러다임이 바로 소외된 출소자를 고용하여 그들의 자립을 돕는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경영이익을 도모하는 기업적 측면을 동시에 가진다는 사회적 기업이란 점을 언급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사회적 기업에 관한 의의와 역사 및 배경 등에 관하여 외국의 일반이론을 살펴 보고나서 우리나라의 사회적 기업의 제도화와 발전과정 및 형태를 언급하여 이런 것들이 출소자를 위한 사회적 기업의 설립에 어떤 영향과 시사점을 주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재 외국의 출소자에 대한 사회적 기업의 사례를 미국의 PHS사례와 영국과 이탈리아 등의 사례를 언급하고 미국식의 대기업과 연계된 출소자지원 사회적 기업의 필요성을 언급하여 앞으로 출소자를 위한 사회적 기업에 시사점이 되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출소자들의 재범률의 한 원인인 경제적 취약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갱생보호제도와 병행하여 출소자에 대한 사회적 기업의 필요성이 교정복지적 차원에서 절실함을 언급하였으며 나아가 출소자나 수형자에 대한 사회적 기업에서 진전하여 외부통근수형자 등도 포함시킬 필요성을 언급하였으며 나아가서는 회복적 사법이념과 필자가 만든 “천정환의 복지적 사법론”에 부응하여 피해자도포함하되 더소외된자들을 차별적으로 고용하는 회복복지적 사회적 기업의 필요성에 대하여 교정복지적 차원에서 독창적으로 운론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천정환, "한국교정론(천정환의 복지적 사법론)" 한국학술정보 2008

      2 이영근, "한국 교정, 보호 조직의 발전방향" 한국교정학회 21 (21): 275-297, 2003

      3 이윤호, "출소자의 사회적 차별에 관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6

      4 이광우,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2009

      5 신철호, "지속가능경영의 현황과 과제" (가을) : 72-81, 2008

      6 천정환, "신판교정학" 대왕사 2005

      7 천정환, "신범죄심리학" 대왕사 2006

      8 천정환, "신범죄 피해자학" 대왕사 2007

      9 김희철, "서민금융(Microfinance)의 법적 기반에 관한 연구 - 서민금융기관의 설립과 운영을 중심으로 -" 한국경영법률학회 18 (18): 431-458, 2007

      10 김성기, "사회적기업 특성에 관한 쟁점과 함의"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139-166, 2009

      1 천정환, "한국교정론(천정환의 복지적 사법론)" 한국학술정보 2008

      2 이영근, "한국 교정, 보호 조직의 발전방향" 한국교정학회 21 (21): 275-297, 2003

      3 이윤호, "출소자의 사회적 차별에 관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6

      4 이광우,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2009

      5 신철호, "지속가능경영의 현황과 과제" (가을) : 72-81, 2008

      6 천정환, "신판교정학" 대왕사 2005

      7 천정환, "신범죄심리학" 대왕사 2006

      8 천정환, "신범죄 피해자학" 대왕사 2007

      9 김희철, "서민금융(Microfinance)의 법적 기반에 관한 연구 - 서민금융기관의 설립과 운영을 중심으로 -" 한국경영법률학회 18 (18): 431-458, 2007

      10 김성기, "사회적기업 특성에 관한 쟁점과 함의"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139-166, 2009

      11 노동부,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2008~2012)" 2008

      12 김신양, "사회적 일자리 창출 사업 평가 및 전망" 2007

      13 정무성, "사회적 기업의 동향 : 시장과 복지 그리고 사회적 기업" 2009

      14 이정봉, "사회적 기업의 노동조건 현황과 과제" 노동사회 58-64, 2010

      15 천정환, "범죄학" 백산 2006

      16 김상희, "국정감사 정책보고서Ⅱ" 2009

      17 천정환, "교정학" 대왕사 2005

      18 천정환, "교정복지학" 대왕사 2005

      19 천정환, "교정복지학" 창지사 2010

      20 "http://www.womeninprison.org.uk"

      21 "http://www.socialenterprise.or.kr"

      22 "http://www.pioneerhumanservices.org"

      23 "http://www.narco.org.uk"

      24 "http://www.mw.go.kr"

      25 "http://www.baco.org.uk"

      26 "http://seoulcorr.corrections.go.kr"

      27 Bonoli, G., "The Politics of Pension Reform. Institutions and Policy Change in tern 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28 Castaldo, S., "The Missing Link Between"

      29 Brown, T. J., "The Company and the Product: Corporate Associations and Consumer Product Responses" 6 : 8-84, 1997

      30 Benner, M., "Sweden and Denmark: defending the welfare state. in: Welfare and work in the open economy"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31 Seelos, C., "Social entrepreneurship: Creating new business models to serve the poor" Elsevier Science B.V. 48 (48): 2005

      32 Bonoli, G., "Social Policy Through Labour Markets. Understanding National Differences in the Provision of Economic Security to Wage Earners" 36 : 983-1006, 2003

      33 Kerlin, J, A., "Social Enterprise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Understanding and Learning from the Difference" 17 : 247-263, 2006

      34 Maurrice, S., "Lessons from the Equater Initiative: Honey Care Africa’s Be Keeping in Rural Kenya Center for Community- Based Resource Management" University of Manitoba 2004

      35 Cha Heungbong, "Hanguk Uiryo Bojang Jedoui Jeongae Gwajeong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Medical Security Program in South Korea). in: Gungmin Uiryo Bojangnon (A Study on National Medical Security)" Nanam Publishing House 245-357, 1992

      36 Choi Gyun, "Hanguk Gieop Bokjiui Sahoe Gyeongjejeok Seonggyeok (Socio-Economic Features of the Korean Company Welfar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2

      37 Moshe Sharir, "Gauging the Success of Social Ventures Initiated by Individule Social Entrepreneurs" 41 : 6-20, 2006

      38 Poter, Michael E., "Competitive Strategy" The Free Press 1980

      39 Amsden, Alice, "Aisa’s Next Giant: South Korea and Late Industrial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40 Bélanger, A., "A comparative study of recent trends in Canadian and American fertility, 1980-1999. in: Report on the demographic situation in Canada" Ottawa 107-136, 2001

      41 경찰청, "2009 범죄백서" 경찰청 2009

      42 노동부, "2008 사회적 기업 성과분석" 노동부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s Service KCI등재
      2016-04-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矯正硏究 -> 교정연구
      외국어명 : Correction Review -> Corrections Review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121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