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국어과 사이버가정학습 수준별 콘텐츠 내용 개발 연구 (1) - 초등학교 4학년용을 중심으로 = A Research for Developing Cyber-Home Learning System Contents of Korean Subject (1) - for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511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ke a guidance of the project that we are to develop the 4th grade Cyber Home Learning System contents in accordance with the 2007 revision Curriculum. So that we examine carefully the 2007 revision Curriculum and analysis the previously made Cyber Home Learning System, and create the principle of 3 kind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contents.
      The Basic Cyber Home Learning System is made for student's summarizing, confirming, organizing, and applying the material or school lesson. We help student check their achievement through self-guide learning by using typical and familiar text. In order to do, we supply students content subject explicitly, and make them monitor and regulate their learning process by themselves.
      The Supplementary Cyber Home Learning System is made for student's understanding subject content when he(or she) were not grasp any class or without taking part in the class. We assist student understand a concept and a principle by using detailed explanation and setting an example. So as to do, we encourage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content subject and to be engaged in learning through narrative structure.
      The Advanced Cyber Home Learning System is made for student's expanding their cognitive power toward advanced level when he(or she) wants to do beyond a material or content subject. We support that student perform the activities organized according to the level by using complex and advanced text. So that we furnish the students content subject by the way of challengeable task and evaluate and identify the resul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ke a guidance of the project that we are to develop the 4th grade Cyber Home Learning System contents in accordance with the 2007 revision Curriculum. So that we examine carefully the 2007 revision Curriculum and a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ke a guidance of the project that we are to develop the 4th grade Cyber Home Learning System contents in accordance with the 2007 revision Curriculum. So that we examine carefully the 2007 revision Curriculum and analysis the previously made Cyber Home Learning System, and create the principle of 3 kind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contents.
      The Basic Cyber Home Learning System is made for student's summarizing, confirming, organizing, and applying the material or school lesson. We help student check their achievement through self-guide learning by using typical and familiar text. In order to do, we supply students content subject explicitly, and make them monitor and regulate their learning process by themselves.
      The Supplementary Cyber Home Learning System is made for student's understanding subject content when he(or she) were not grasp any class or without taking part in the class. We assist student understand a concept and a principle by using detailed explanation and setting an example. So as to do, we encourage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content subject and to be engaged in learning through narrative structure.
      The Advanced Cyber Home Learning System is made for student's expanding their cognitive power toward advanced level when he(or she) wants to do beyond a material or content subject. We support that student perform the activities organized according to the level by using complex and advanced text. So that we furnish the students content subject by the way of challengeable task and evaluate and identify the resul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사이버가정학습 초등학교 4학년 수준별 콘텐츠 내용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사이버가정학습 기개발 콘텐츠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집필 방향을 설정하였다.
      기본 콘텐츠는 학습자가 교과서 및 학교 수업 내용을 바탕으로 학습내용을 정리, 확인, 체계화하고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전형적이고 친숙한 텍스트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활동을 통한 성취기준 도달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에게 학습내용을 명시적으로 제시하여 학습과정을 스스로 확인하고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보충 콘텐츠는 학습자가 학교 수업을 이해하지 못했거나 수업을 듣지 않고도 교과서의 내용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단순하고 흥미있는 텍스트를 제시하며, 교사의 친절한 설명과 시범을 통해 개념 및 원리를 습득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가 내러티브 구조 속에서 학습내용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고 학습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한다.
      심화 콘텐츠는 학습자가 교과서 내용보다 심화된 수준으로 사고력 확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복합적이고 확장된 텍스트를 활용하여 난이도에 따른 수준별 학습활동을 과제 중심으로 해결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에게 학습내용을 도전 과제를 형식으로 제공하여 수행하도록 하고, 이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확인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사이버가정학습 초등학교 4학년 수준별 콘텐츠 내용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사이버가정학...

      이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사이버가정학습 초등학교 4학년 수준별 콘텐츠 내용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사이버가정학습 기개발 콘텐츠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집필 방향을 설정하였다.
      기본 콘텐츠는 학습자가 교과서 및 학교 수업 내용을 바탕으로 학습내용을 정리, 확인, 체계화하고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전형적이고 친숙한 텍스트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활동을 통한 성취기준 도달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에게 학습내용을 명시적으로 제시하여 학습과정을 스스로 확인하고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보충 콘텐츠는 학습자가 학교 수업을 이해하지 못했거나 수업을 듣지 않고도 교과서의 내용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단순하고 흥미있는 텍스트를 제시하며, 교사의 친절한 설명과 시범을 통해 개념 및 원리를 습득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가 내러티브 구조 속에서 학습내용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고 학습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한다.
      심화 콘텐츠는 학습자가 교과서 내용보다 심화된 수준으로 사고력 확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복합적이고 확장된 텍스트를 활용하여 난이도에 따른 수준별 학습활동을 과제 중심으로 해결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에게 학습내용을 도전 과제를 형식으로 제공하여 수행하도록 하고, 이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확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호권, "현대교수이론" 교육출판사. 1995

      2 정인성, "최신교수설계이론" 1996

      3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국어 4-1(실험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9

      4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국어 4-1 교사용 지도서(실험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9

      5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국어, 도덕, 사회" 한솔사 2008

      6 Bank, A, "수업모형의 적용기술" 성원사 1988

      7 Bruce, j, "수업모형" 형설출판사. 1995

      8 강현석,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 아카데미프레스 2005

      9 "http://www.edunet4u.net/"

      10 교육과학기술부,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국어 국정도서 개발 집필 안내(3-2, 4-2)"

      1 김호권, "현대교수이론" 교육출판사. 1995

      2 정인성, "최신교수설계이론" 1996

      3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국어 4-1(실험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9

      4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국어 4-1 교사용 지도서(실험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9

      5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국어, 도덕, 사회" 한솔사 2008

      6 Bank, A, "수업모형의 적용기술" 성원사 1988

      7 Bruce, j, "수업모형" 형설출판사. 1995

      8 강현석,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 아카데미프레스 2005

      9 "http://www.edunet4u.net/"

      10 교육과학기술부,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국어 국정도서 개발 집필 안내(3-2, 4-2)"

      11 교육과학기술부,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국어 국정도서 개발 집필 안내(3-1, 4-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1 1.378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