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실전적용을 위한 태권도 품새 수련 프로그램의 개발 가능성 탐색 = An Exploration of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Taekwondo Poomsae Training Program for Practical Appl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88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value of Taekwondo can be viewed as an expression of identity and a result of a process of formalization and intellectualization of various selected techniques usable in combat. Since a deep structure of Taekwondo(the Belief [信] and the Righteousness [義))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Physical Power (武), the ground which brings about a practical phenomenon as such is seamlessly incorporated in the training process of Taekwondo. A changed training system of a multistoried structure that is unappealing to the Physical Power (武) will inevitably lose its original identity. A lack of tension (residency status) in the status quo poomsae training and several limitations from having to deal with virtual opponents pose difficulties in terms of applying distance control and technique timing for real self defense. One-step kyorugi was a practice under the assumption of a real fight, and training such as distance-measuring, timing, and strength control was a practice in preparation of real danger, not a sports game. It is only possible to apply poomsae to real-life self-defense situations afte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ovements and the repeated practice of distance measuring, timing, weight shifting, and strength control to overcome the fear of an opponent’s attack . Interpretation of the substance and application of poomsae can significantly differ by instructor’s view on poomsae. Hence, it is necessary to regularly hold discussion-based presentations and to have a standardized framework for interpreting poomsae based on collective research by a group of experts and professionals.
      번역하기

      The value of Taekwondo can be viewed as an expression of identity and a result of a process of formalization and intellectualization of various selected techniques usable in combat. Since a deep structure of Taekwondo(the Belief [信] and the Righteou...

      The value of Taekwondo can be viewed as an expression of identity and a result of a process of formalization and intellectualization of various selected techniques usable in combat. Since a deep structure of Taekwondo(the Belief [信] and the Righteousness [義))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Physical Power (武), the ground which brings about a practical phenomenon as such is seamlessly incorporated in the training process of Taekwondo. A changed training system of a multistoried structure that is unappealing to the Physical Power (武) will inevitably lose its original identity. A lack of tension (residency status) in the status quo poomsae training and several limitations from having to deal with virtual opponents pose difficulties in terms of applying distance control and technique timing for real self defense. One-step kyorugi was a practice under the assumption of a real fight, and training such as distance-measuring, timing, and strength control was a practice in preparation of real danger, not a sports game. It is only possible to apply poomsae to real-life self-defense situations afte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ovements and the repeated practice of distance measuring, timing, weight shifting, and strength control to overcome the fear of an opponent’s attack . Interpretation of the substance and application of poomsae can significantly differ by instructor’s view on poomsae. Hence, it is necessary to regularly hold discussion-based presentations and to have a standardized framework for interpreting poomsae based on collective research by a group of experts and profession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태권도 품새가 가진 가치는 정체성의 표현이며 실전을 상정한 여러 선별된 기술들이 형식화, 지식화를 이룬 결과물로 볼 수 있다. 태권도의 심층구조인 신(信)과 의(義)는 실제적인 힘인 무(武)를 근본으로 하여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그런 실천적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바탕이 태권도의 수련 과정에 들어 있다. 이러한 무(武)에 적합하지 못한 중층구조의 변화된 수련체계는 그 정체성을 잃고 말 것이다. 현행 품새 수련의 무 긴장성(residency status)과 가상의 상대에 대한 한계점은 상대와의 거리조절, 기술의 타이밍 등에서 실제 호신술로써의 적용에 무리가 있다. 태권도 1보 겨루기는 실전을 가정한 연습이었고 상대와의 간격, 타이밍, 힘의 강약 등의 수련은 경기를 하기 위한 훈련이 아닌 실제상황을 가정한 연습이었다. 품새를 실제 상황에 적용하려면 품새풀이를 통한 설명과 상대연습을 통하여 동작을 이해하고 반복 수련을 통하여 상대와의 거리와 타이밍, 중심이동, 힘의 강약 등을 익혀 상대의 주먹과 발차기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해야 가능하다. 품새풀이라는 것은 지도자의 품새관에 따라 해석과 적용이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다. 이에 품새풀이 공모전이나 발표대회를 주기적으로 열고 전문가 집단의 연구에 의한 표준화된 품새풀이가 지정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태권도 품새가 가진 가치는 정체성의 표현이며 실전을 상정한 여러 선별된 기술들이 형식화, 지식화를 이룬 결과물로 볼 수 있다. 태권도의 심층구조인 신(信)과 의(義)는 실제적인 힘인 무(...

      태권도 품새가 가진 가치는 정체성의 표현이며 실전을 상정한 여러 선별된 기술들이 형식화, 지식화를 이룬 결과물로 볼 수 있다. 태권도의 심층구조인 신(信)과 의(義)는 실제적인 힘인 무(武)를 근본으로 하여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그런 실천적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바탕이 태권도의 수련 과정에 들어 있다. 이러한 무(武)에 적합하지 못한 중층구조의 변화된 수련체계는 그 정체성을 잃고 말 것이다. 현행 품새 수련의 무 긴장성(residency status)과 가상의 상대에 대한 한계점은 상대와의 거리조절, 기술의 타이밍 등에서 실제 호신술로써의 적용에 무리가 있다. 태권도 1보 겨루기는 실전을 가정한 연습이었고 상대와의 간격, 타이밍, 힘의 강약 등의 수련은 경기를 하기 위한 훈련이 아닌 실제상황을 가정한 연습이었다. 품새를 실제 상황에 적용하려면 품새풀이를 통한 설명과 상대연습을 통하여 동작을 이해하고 반복 수련을 통하여 상대와의 거리와 타이밍, 중심이동, 힘의 강약 등을 익혀 상대의 주먹과 발차기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해야 가능하다. 품새풀이라는 것은 지도자의 품새관에 따라 해석과 적용이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다. 이에 품새풀이 공모전이나 발표대회를 주기적으로 열고 전문가 집단의 연구에 의한 표준화된 품새풀이가 지정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석기, "한국의 무도스포츠로서 태권도브랜드이미지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2 국기원 디지털 태권도 백과사전, "품새에 대한 철학적 고찰"

      3 양진방, "품새수련에 대한 새로운 의미 탐색과 품새개념의 재정립 모색" 한국체육철학회 21 (21): 95-125, 2013

      4 이규형, "품새란 무엇인가" 오성출판사 2010

      5 이창후, "태권도의 철학적 원리" 지성사 2000

      6 정찬모, "태권도의 이론과 실제" 혜민기획 1999

      7 김 철, "태권도의 구조적 탐구" 원광대학교 출판국 1997

      8 이종우, "태권도교본"

      9 강원식, "태권도 현대사" 보경문화사 1999

      10 이재봉, "태권도 품새의 미학적 고찰"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0

      1 손석기, "한국의 무도스포츠로서 태권도브랜드이미지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2 국기원 디지털 태권도 백과사전, "품새에 대한 철학적 고찰"

      3 양진방, "품새수련에 대한 새로운 의미 탐색과 품새개념의 재정립 모색" 한국체육철학회 21 (21): 95-125, 2013

      4 이규형, "품새란 무엇인가" 오성출판사 2010

      5 이창후, "태권도의 철학적 원리" 지성사 2000

      6 정찬모, "태권도의 이론과 실제" 혜민기획 1999

      7 김 철, "태권도의 구조적 탐구" 원광대학교 출판국 1997

      8 이종우, "태권도교본"

      9 강원식, "태권도 현대사" 보경문화사 1999

      10 이재봉, "태권도 품새의 미학적 고찰"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0

      11 윤상화, "태권도 품새의 구조 분석적 접근" 22 (22): 201-204, 2011

      12 임관인, "태권도 품새와 태극권 투로의 비교 연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5

      13 임신자, "태권도 품새와 겨루기 기술의 체계정립과 실전성 모색" 한국체육학회 49 (49): 21-31, 2010

      14 이선장, "태권도 품새를 통한 상대수련의 가능성 탐색" 대한무도학회 11 (11): 97-109, 2009

      15 조철수, "태권도 품새 동작 구성의 체계성 연구 : 태극 품새를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대학원 2002

      16 전민우, "태권도 품새 대회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17 안근아, "태권도 태극품새 재작을 위한 근본원리 탐색"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02

      18 한상진, "태권도 지도론" 홍경출판사 2003

      19 김대영, "태권도 자유품새 경기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20 정재환, "태권도 시범단원의 슬럼프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학회 10 (10): 93-103, 2012

      21 국기원, "태권도 교본 수정증보판"

      22 강익필, "태권도 공인 품새와 창작 품새 비교 분석" 중부대학교 인문산업대학원 2006

      23 이경명, "태권도" 대원사 1997

      24 강원식, "우리태권도의 역사" 상아기획 2002

      25 유정애, "왜 스포츠 문화 교육인가?" 한국체육학회 46 (46): 169-181, 2007

      26 장회익, "삶과 온생명" 현암사 2014

      27 변승진, "문화접변으로 본 무도스포츠 : 태권도와 우슈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8

      28 김동규, "무도의 개념정의와 가치지향을 근거로 한 자생적 과제" 한국체육철학회 14 (14): 128-138, 2006

      29 안근아, "무도성을 기반으로 한 태권도 준비운동 탐색"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5

      30 장질환, "동양 무도 정신성의 실재에 대한 고찰" 용인대학교 대학원 2011

      31 Capener Steven D., "동양 무도 수련관의 변천과 현대적 의미"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32 유미숙, "공방기술 품새의 고안과 수련효과" 가천대학교 2018

      33 송형석, "武道"의 槪念에 關한 硏究" 한국연구재단 2001

      34 康戈武, "中国武术实用大全" 中华书局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2 0.665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