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프뢰벨과 몬테소리의 교육 이론에 관한 소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884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현 유아교육에서의 학문적, 실천적 불균형과 부족함의 문제를 인식함으로써, 유아교육자로서의 자세로 돌아가는 반성적 과정을 가질 필요에 의하여 유아교육의 시작이며 대표적인 프뢰벨과 몬테소리에게서 유아를 위한 교육이 무엇인가에 대해 같은 목소리로 주장했던 바를 되새겨보고자 한다. 이에 프뢰벨과 몬테소리의 교육사상에 대한 정확한 본질 해석과 의미를 되새겨 현 유아교육 이론 및 현장에 반영하고자 프뢰벨과 몬테소리의 교육 이론을 유아들은 누구인가에서 비롯된 유아관, 왜 유아들을 가르치려 하는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에 대한 교육원리와 교육목적, 유아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 그리고 누구와 함께 유아들을 가르칠 것인가를 고려하는 부모와의 관계 측면에서 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현 유아교육에서의 학문적, 실천적 불균형과 부족함의 문제를 인식함으로써, 유아교육자로서의 자세로 돌아가는 반성적 과정을 가질 필요에 의하여 유아교육의 시작이며 ...

      >본 연구에서는 현 유아교육에서의 학문적, 실천적 불균형과 부족함의 문제를 인식함으로써, 유아교육자로서의 자세로 돌아가는 반성적 과정을 가질 필요에 의하여 유아교육의 시작이며 대표적인 프뢰벨과 몬테소리에게서 유아를 위한 교육이 무엇인가에 대해 같은 목소리로 주장했던 바를 되새겨보고자 한다. 이에 프뢰벨과 몬테소리의 교육사상에 대한 정확한 본질 해석과 의미를 되새겨 현 유아교육 이론 및 현장에 반영하고자 프뢰벨과 몬테소리의 교육 이론을 유아들은 누구인가에서 비롯된 유아관, 왜 유아들을 가르치려 하는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에 대한 교육원리와 교육목적, 유아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 그리고 누구와 함께 유아들을 가르칠 것인가를 고려하는 부모와의 관계 측면에서 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석, "현대부모교육론" 형설출판사 1999

      2 곽노의, "프뢰벨의 유아교육이론 연구" 학민사 1990

      3 Fröbel, F., "프뢰벨의 어머니의 노래와 애무의 노래" 양서원 1993

      4 박덕규, "프뢰벨의 교육사상과 킨더가르텐" 민성사 1993

      5 김의석, "프뢰벨과 몬테소리의 유아교육이론 비교연구" 10 : 387-398, 1996

      6 최양미, "프뢰벨과 몬테소리의 교육이론 비교연구 : ‘놀이’와 ‘작업’의 개념을 중심으로" 17 (17): 5-22, 1997

      7 권장진, "프뢰벨과 몬테소리 교육이론이 현대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8 Schmutzler, H-J., "프뢰벨과 몬테소리" 밝은누리 2001

      9 곽노의, "프뢰벨-생애와 교육" 양서원 1996

      10 이상욱, "프뢰벨 유아교육 사상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15 (15): 79-89, 1995

      1 이영석, "현대부모교육론" 형설출판사 1999

      2 곽노의, "프뢰벨의 유아교육이론 연구" 학민사 1990

      3 Fröbel, F., "프뢰벨의 어머니의 노래와 애무의 노래" 양서원 1993

      4 박덕규, "프뢰벨의 교육사상과 킨더가르텐" 민성사 1993

      5 김의석, "프뢰벨과 몬테소리의 유아교육이론 비교연구" 10 : 387-398, 1996

      6 최양미, "프뢰벨과 몬테소리의 교육이론 비교연구 : ‘놀이’와 ‘작업’의 개념을 중심으로" 17 (17): 5-22, 1997

      7 권장진, "프뢰벨과 몬테소리 교육이론이 현대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8 Schmutzler, H-J., "프뢰벨과 몬테소리" 밝은누리 2001

      9 곽노의, "프뢰벨-생애와 교육" 양서원 1996

      10 이상욱, "프뢰벨 유아교육 사상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15 (15): 79-89, 1995

      11 서석남, "프뢰벨 생명교육" 국민서관 2001

      12 정혜진, "칸트철학과의 관계에서 본 프뢰벨의 교과이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13 Fröbel, F., "인간의 교육" 양서원 2005

      14 김숙자, "유아수학교육과정의 원리와 과정" 8 (8): 13-30, 1992

      15 Montessori, M., "유아들에 관하여 알아야 할 모든 것들" 보육사 1992

      16 Osborn, D. K., "유아교육의 역사적 고찰" 정민사 1981

      17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6

      18 윤기영, "유아교육기관 학부모 연구" 서원대학교 출판부 2005

      19 이기숙, "유아교육과정" 교문사 1992

      20 Spodek, B., "유아교육개론" 창지사 1997

      21 곽노의, "유아교육개론" 학지사 2001

      22 정금자, "유아교육 사상사" 교육과학사 2001

      23 Montessori, M., "어린이 발견" 창지사 1995

      24 Montessori, M., "아이들의 비밀" 도서출판 아이 1992

      25 Montessori, M., "부모교육을 위한 몬테소리 교육 입문" 보육사 1982

      26 이원영, "부모교육론" 교문사 1985

      27 이재연, "부모교육" 양서원 1989

      28 정혜영, "발달적 교육인간학과 인간 이해" 8 (8): 67-92, 2003

      29 Beatty, B., "미국유아교육사" 교육과학사 1998

      30 Montessori, M., "몬테소리의 어린이의 신비" 창지사 1991

      31 김정환, "몬테소리의 교육사상에 대한 거시적 평가와 분석적 비판 연구" 10 : 55-78, 1992

      32 최용미, "몬테소리 자유개념의 교육적 의미"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33 신화식, "몬테소리 이론의 탐구" 학지사 2006

      34 Lillard, P. P., "몬테소리 교육에 대한 현대적 접근" 학문사 1994

      35 정희영, "몬테소리 교육사상의 기독교적 조명" 21 : 5-36, 2002

      36 이상금, "몬테소리 교육-이론과 실제" 교문사 1987

      37 조성자, "몬테소리 과학적 교육학" 신정 2006

      38 구경선, "마리아 몬테소리의 정신사적 배경연구" 1 (1): 51-67, 1996

      39 조성자, "마리아 몬테소리 자서전" 신정 2006

      40 Montessori, M., "마리아 몬테소리 자서전" 신정 2006

      41 김성희, "교육인류학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4 : 77-103, 1995

      42 김정임, "교육사조에 의한 전인교육사상가 고찰" 24 (24): 59-80, 1997

      43 Lazerson, M., "The historical anteced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eventy first yearbook of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Part Ⅱ("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3-35, 1972

      44 Weber, E., "The Kindergarten: It's Encounter with Educational Thought in America"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Teachers College Press 1969

      45 Nuffield Mathematics., "Teaching handbook" Published for the Nuffield Foundation by Longman Group Ltd 1964

      46 Blow, S. E., "Symbolic Education" D. Appleton and Company 1895

      47 Von Marenholtz-Bullow, B., "Reminiscences of Friedrich Fröbel" Lee and Shephard Publishers 1877

      48 Manning, J. P., "Rediscovering Froebel: A Call to Re-examine his Life & Gifts" 32 (32): 371-376, 2005

      49 Fröbel, F., "Pedagogics of Kindergarten" Sidney Appleton 1906

      50 이향숙, "Montessori의 부모교육" 5 : 57-72, 2000

      51 Oswald, P., "Montessori Controversy" Delmar 1974

      52 Standing, E. M., "Maria Montessori: Her life and work" A Plume Book 1984

      53 이영자, "Froebel과 Montessori의 유아 수학교육론의 비교" 3 : 37-50, 1981

      54 정미경, "Froebel 이론에 나타난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399-420, 2005

      55 Lilley, I. M., "Friedrich Froebel: A selection from his writings" University Press 1967

      56 김규수, "F. 프뢰벨과 J. 듀이의 아동중심교육에 관한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1994

      57 Leeb-Lundberg, K., "F. Froebel's mathematics for kindergarten philosophy program and implementation in the united states" 1972

      58 Hainstock, E. G., "Essential Montessori" New American Library, Plume Books 1986

      59 Montessori, Jr., "Education for human development : Understanding Montessori" Schocken 1976

      60 Fröbel, F., "Autobiography of Friedrich Froebel" Swan Sonnenschenschein & Co., Lim 1908

      61 Biebricher, H., "2~6세 어린이를 위한 몬테소리 교구와 교육법" 밝은누리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Association for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26 2.26 2.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6 2.22 2.445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