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기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실천 사례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940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이 연구는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교육을 위해 대학환경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의 사례를 체계적으로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발달장애...

      연구목적: 이 연구는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교육을 위해 대학환경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의 사례를 체계적으로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기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기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기 위해서 중등특수교육과의 재학생들을 또래 지원자로 활용하고 다양한 영역의 내용전문가인 여러 학과의 교수들과의 협력을 이루는 등 대학 내의 다양한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결과: 이러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행하기 위해 어떠한 원칙과 전략, 절차 등을 적용할 수 있는지와 수강생, 학부모, 또래지원자 각각에게 프로그램의 운영과 성과에 대한 평가를 어떻게 실시하는지를 밝히고 그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 제시한 사례를 통해 도출한 대학기반의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개발과 운영을 위해 논의해야 할 내용으로서 개발 및 실행과정과 프로그램 평가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밝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ase study of university based post secondary education program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doing so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iversification and improvement of...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ase study of university based post secondary education program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doing so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iversification and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of for these individual. Method: This post secondary education program was described systematically from its planning to development, execution, and evaluation. The focus was on the role of each faculty member, strategies of execution, and main classes and activities that constitute the program. Results: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in which the particip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uld evaluate the classes and activities that they experienced. As a result, various kinds of data from the participants, their families, and peer supporters were collected and reflected upon. Conclusion: We analysed the data from the evaluation of this program and discussed the appropriate direction that post secondary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proce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 Ⅲ.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평가
      • Ⅳ. 논의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 Ⅲ.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평가
      • Ⅳ. 논의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11

      2 김남진, "특수교육 학술지를 통해 본 장애인 평생교육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215-234, 2007

      3 M. Grigal, "지적장애학생의 중등이후교육 대학을 생각하다" 시그마프레스 2015

      4 J. McDonnell,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전환교육의 실제" 학지사 2015

      5 김은하,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미국 대학 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43-71, 2010

      6 박승희, "지적장애 학생 교육의 최선의 실제 - 현재 진전과 미래 진전을 위한 과제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31, 2014

      7 오영석, "정신지체인 평생교육의 필요성과 지원방안"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83-101, 2008

      8 장혜성, "정신지체 중고등학생의 지역사회중심교수 전략에 대한 문헌고찰"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9 (9): 59-80, 2007

      9 Test, D. W., "장애청소년을 위한 전환교육: 증거기반 교수전략" 학지사 2015

      10 P. L. Sitlington, "장애청소년 전환교육" 시그마프레스 2006

      1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11

      2 김남진, "특수교육 학술지를 통해 본 장애인 평생교육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215-234, 2007

      3 M. Grigal, "지적장애학생의 중등이후교육 대학을 생각하다" 시그마프레스 2015

      4 J. McDonnell,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전환교육의 실제" 학지사 2015

      5 김은하,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미국 대학 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43-71, 2010

      6 박승희, "지적장애 학생 교육의 최선의 실제 - 현재 진전과 미래 진전을 위한 과제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31, 2014

      7 오영석, "정신지체인 평생교육의 필요성과 지원방안"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83-101, 2008

      8 장혜성, "정신지체 중고등학생의 지역사회중심교수 전략에 대한 문헌고찰"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9 (9): 59-80, 2007

      9 Test, D. W., "장애청소년을 위한 전환교육: 증거기반 교수전략" 학지사 2015

      10 P. L. Sitlington, "장애청소년 전환교육" 시그마프레스 2006

      11 김영석, "장애인 고등교육 현황과 전망에 대한 전문가 인식 탐색: 교수 및 장애학생지원 담당직원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97-120, 2015

      12 임경원, "장애성인 평생교육 기관의 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6 (26): 207-247, 2010

      13 김주영, "우리나라 발달장애인의 고등교육 형태에 대한 탐색" 국립특수교육원 19 (19): 217-240, 2012

      14 박정식, "발달장애학생의 중등과정이후의 교육을 위한 이중동시등록제도에 관한 교사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35-164, 2014

      15 임은주, "발달장애학생의 대학기반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관계자의 인식 및 현황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263-285, 2013

      16 김건희, "발달장애학생들의 대학기반 중등교육 이후 교육프로그램 참여 경험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65-182, 2014

      17 이문정,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교육 프로그램 인식 비교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229-262, 2013

      18 이성하, "발달장애인의 중등교육이후 전환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255-292, 2012

      19 나운환, "발달장애인의 Empowerment 강화를 위한 전환과정과 프로그램 개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5 (15): 27-47, 2011

      20 이근용, "발달장애인 고등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부모의 요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237-264, 2009

      21 강성구, "발달장애성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시민참여교육 편" 국립특수교육원, 한국복지대학교 2015

      22 박영근, "발달장애 학생들의 고등교육으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실천적 과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231-257, 2013

      23 정동영, "미국의 지적장애학생 중등과정 이후 교육 현황과 함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27-53, 2012

      24 정인숙, "미국의 장애인 평생교육 기반과 시사점"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173-193, 2007

      25 박승희,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발달장애인을 위한 성인교육 프로그램의 개관 및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39 (39): 39-75, 2004

      26 손지영, "국내 장애학생 고등교육의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157-178, 2011

      27 박정식, "고등교육 환경에서의 전환 활동이 발달장애대학생의 직업능력과 학업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81-103, 2013

      28 박정식, "고등교육 환경에서의 전환 활동이 발달장애대학생의 일상생활자립 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23-44, 2013

      29 강종구, "경도장애 학생들에게 고등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K 대학교의 사례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163-189, 2010

      30 Plotner, A. J.,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ies : Facilitators and barriers to implementation" 53 (53): 58-69, 2015

      31 Plotner, A. J., "Navigating university policies to supports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25 (25): 48-58, 2014

      32 Hafner, D., "Cutting-edge: Integrat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o a 4-year liberal arts colleges" 34 (34): 18-30, 2011

      33 Kelley, K., "A focus on natural supports in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Western Carolina University" 38 (38): 67-76,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peci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7 1.77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9 1.64 1.895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