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미래교육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인 미래교육연구에서 연구되었던 다문화교육과 관련 한 연구동향과 쟁점을 분석하고 미래지향적이며, 실천지향적 관점으로 다문화교육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미래교육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인 미래교육연구에서 연구되었던 다문화교육과 관련 한 연구동향과 쟁점을 분석하고 미래지향적이며, 실천지향적 관점으로 다문화교육에...
본 연구는 한국미래교육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인 미래교육연구에서 연구되었던 다문화교육과 관련 한 연구동향과 쟁점을 분석하고 미래지향적이며, 실천지향적 관점으로 다문화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모색 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미래교육연구』 2011년 창간호부터 2020년 4월까지 게재된 다문 화교육관련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다문화교육 연구동향 유형 및 범주를 분석한 결과, 실증연구 75%, 이론연구 25%로 실증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가 50%, 양적연구 12.5%로 질적연구가 4배나 높은 게재율을 보였다. 연구주제 분석결과, 실태 및 현황과 인식 및 태도에 관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에 대해 다룬 연구도 다수 존재 했다. 연구대상은 성인 특히 학교교육 밖에 있는 다수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였 다. 연구주제 측면에서는 앞서 언급했던 학령기 이후 성인을 위한 다문화교육이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and issu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future education research and to find future educational implications. This study was analyzed the papers related to multicultural 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and issu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future education research and to find future educational implications. This study was analyzed the paper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published in the first issue of 2011 through 2020 in the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a representative academic journal discussing future education. As a result of thesis analysis, empirical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type of research trend of multicultural education, 75% of empirical research and 25% of theoretical research. As a result of research subjec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ost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current status, current status, perception and attitude, and there were many studies dealing with curriculum and program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earch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it seems that research on adults targeting a large number of adults outside of school education is necessary. As shown in the study on multicultural acceptance, it was analyzed that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sensitivity were lower in adults in their 30s and older than in their 10-20s. Therefore, research on education for adults outside the school should be conducted. In terms of research topic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or educational programs for adults after school ag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운선, "한국 사회과 다문화 교육의 연구 동향에 관한 메타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0 (50): 153-170, 2011
2 문화진, "한국 대학생 대상의 다문화교육 연구 동향" 아시아여성연구원 12 (12): 181-215, 2019
3 정해수, "한국 다문화교육의 이중언어정책에 관한 비교사례 연구 -프랑스·일본 사례 중심으로-" 한국미래교육학회 5 (5): 59-82, 2015
4 장인실, "한국 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 Bennett이론에 근거하여" 안암교육학회 18 (18): 283-302, 2012
5 이명종, "한국 다문화교육 정책의 내용 및 실태 분석"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3
6 조혜영, "중도입국청소년의 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미래교육학회 10 (10): 75-105, 2020
7 원종숙, "중국인 이주여성이 적응과정에서 경험하는 배움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미래교육학회 10 (10): 53-74, 2020
8 곽윤숙, "유아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교육 관련연구 분석 : 「유아교육연구」(2000년-2010년)을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3 (3): 141-161, 2010
9 최일선, "유아 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과 과제" 1 (1): 119-133, 2010
10 김용숙, "유아 다문화교육 연구동향 - KCI 등재 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403-422, 2015
1 강운선, "한국 사회과 다문화 교육의 연구 동향에 관한 메타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0 (50): 153-170, 2011
2 문화진, "한국 대학생 대상의 다문화교육 연구 동향" 아시아여성연구원 12 (12): 181-215, 2019
3 정해수, "한국 다문화교육의 이중언어정책에 관한 비교사례 연구 -프랑스·일본 사례 중심으로-" 한국미래교육학회 5 (5): 59-82, 2015
4 장인실, "한국 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 Bennett이론에 근거하여" 안암교육학회 18 (18): 283-302, 2012
5 이명종, "한국 다문화교육 정책의 내용 및 실태 분석"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3
6 조혜영, "중도입국청소년의 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미래교육학회 10 (10): 75-105, 2020
7 원종숙, "중국인 이주여성이 적응과정에서 경험하는 배움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미래교육학회 10 (10): 53-74, 2020
8 곽윤숙, "유아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교육 관련연구 분석 : 「유아교육연구」(2000년-2010년)을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3 (3): 141-161, 2010
9 최일선, "유아 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과 과제" 1 (1): 119-133, 2010
10 김용숙, "유아 다문화교육 연구동향 - KCI 등재 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403-422, 2015
11 김상림, "유아 다문화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11 (11): 147-171, 2011
12 박희은, "유아 다문화 연구에 대한 동향 분석" 8 (8): 73-91, 2011
13 김현경, "유아 다문화 교육과 관련한 국내 연구 동향에 관한 소고"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105-115, 2008
14 김성길, "시민교육을 위한 공유력(Communitability, 共有力)의 해발(Release, 解發)" 2019
15 김효선,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의 다문화가정 아동 학습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미래교육학회 2 (2): 75-93, 2012
16 이승훈, "베트남 연구반 활동을 통한 미래지향적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 한국미래교육학회 5 (5): 65-78, 2015
17 최항석, "배움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문학적 논고(論考)" 한국미래교육학회 5 (5): 23-36, 2015
18 최항석, "배움 기반 미래 다문화시대의 시민교육에 대한 고찰" 한국미래교육학회 7 (7): 51-75, 2017
19 김성길, "미래 학교교육의 비전과 방향" 한국미래교육학회 1 (1): 57-64, 2011
20 한진상, "미래 교육으로서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정책적 제언에 관한 연구" 한국미래교육학회 2 (2): 67-74, 2012
21 오현주, "동아리 활동을 통한 다문화 감수성 함양 방안" 한국미래교육학회 7 (7): 31-49, 2017
22 이민정, "다문화인 강사의 관점에서 분석한 한국 다문화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미래교육학회 2 (2): 1-18, 2012
23 김효선, "다문화대안학교의 다문화가정 청소년 문제행동 유형 및 원인 분석 연구" 한국미래교육학회 4 (4): 61-83, 2014
24 김상돈,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25 김효선, "다문화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지심리에 관한 연구" 한국미래교육학회 7 (7): 1-30, 2017
26 김효선, "다문화교육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미래교육학회 8 (8): 1-20, 2018
27 이영순, "다문화교육 학습프로그램을 적용한 민주시민의식 함양" 한국미래교육학회 3 (3): 57-76, 2013
28 채영란,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연구 동향: 1999년 이후의 학위논문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551-571, 2014
29 Banks, "다문화교육 입문" 아카데미프레스 2010
30 라영숙, "다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중등 사회과 중심으로" 11 (11): 69-85, 2009
31 김종훈, "다문화교육 분야의 교사 관련 연구동향 분석: 현황과 향후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7 (7): 81-100, 2014
32 QUAN WENHUA, "다문화 영역 이중언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931-959, 2019
33 박영림, "다문화 어울림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자의 올바른 문화정체성 기르기" 한국미래교육학회 3 (3): 41-56, 2013
34 엄수정, "다문화 교사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및 연구 방향 제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2 (12): 51-80, 2012
35 여성가족부,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 2015
36 이기용,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초등 다문화교육 관련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9 (19): 297-317, 2013
37 이기용,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유아교육 중심으로"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5 (25): 1192-1204, 2013
38 장은영, "국내 다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4 (24): 501-522, 2018
39 김효선,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발전 방향 모색" 한국미래교육학회 5 (5): 1-15, 2015
40 한준상, "‘착한’ 시민의 길 Erudition and Convivial 공동체" 충북평생교육포럼 제4차 평생교육정책세미나 기조강연자료 2019
41 이민경, "‘다문화교육’ 연구동향과 쟁점: 교육사회학 연구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177-205, 2013
42 박하나, "‘다문화 감수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다문화교육학회 8 (8): 47-68, 2015
43 교육부, "2014년 교육부 지정 다문화교육 중점학교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 교육부 201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7-1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6 | 0.706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