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창극 유성기음반의 녹음과 음악적 변화 양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730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02년 근대식 극장의 설립 이후 판소리가 서구 연극의 영향을 받아 창극으로 변화해 가는 과정을 유성기음반 자료를 통해 논증한 것이다. 초창기 창극은 신문 기사나 구술 등 주변 기록밖에 없어서 음악적인 모습과 변화 과정을 자세히 알 수 없지만, 1925~1945년 사이에 취입된 9종류의 창극 유성기음반을 통해 그 면모를 살펴볼 수 있다. 유성기음반을 통해서 보면 창극은 혼자 부르던 판소리에서부터 2~3명이 노래를 주고 받는 입체창으로 변화했으며, 나중에는 여러 사람이 고정된 배역을 나누어 공연하는 창극으로 변화하였다. 판소리는 원래 즉흥성이 강한 이야기였지만, 극장 연주회 형식으로 공연되면서 차츰 노랫말과 음악적 선율이 고정(固定)되어 왔다. 또한 창극이 공연된 이후 대사법(臺詞法)도 판소리 이야기에서부터 연극식 말투로 바뀌었으며, 신파극 대사법은 후대에까지 큰 영향을 끼쳤다. 1925-1935년에 취입된 창극은 대체로 명창 개인의 연주능력에 의지하였고, 판소리 더늠 위주로 구성하여 완창을 압축하여 듣는 듯한 분위기를 지닌다. 그러나 1937년 이후부터는 잘 훈련된 창극 배우들이 호흡을 맞추면서 치밀한 극적 구성을 함으로써 소리 감상보다는 연극적 체험을 가능하게 하였다. 특히 후반기 창극 녹음을 주도했던 오케 레코드의 창극 음반은 대사 창의 적극적인 활용, 기악 반주의 사용, 메기도 받는 소리의 합창 처리, 효과음의 활용 등을 통해 더욱 풍성하고 입체적인 효과를 내고 있어 무대 장면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느낌을 준다.
      번역하기

      이 글은 1902년 근대식 극장의 설립 이후 판소리가 서구 연극의 영향을 받아 창극으로 변화해 가는 과정을 유성기음반 자료를 통해 논증한 것이다. 초창기 창극은 신문 기사나 구술 등 주변 ...

      이 글은 1902년 근대식 극장의 설립 이후 판소리가 서구 연극의 영향을 받아 창극으로 변화해 가는 과정을 유성기음반 자료를 통해 논증한 것이다. 초창기 창극은 신문 기사나 구술 등 주변 기록밖에 없어서 음악적인 모습과 변화 과정을 자세히 알 수 없지만, 1925~1945년 사이에 취입된 9종류의 창극 유성기음반을 통해 그 면모를 살펴볼 수 있다. 유성기음반을 통해서 보면 창극은 혼자 부르던 판소리에서부터 2~3명이 노래를 주고 받는 입체창으로 변화했으며, 나중에는 여러 사람이 고정된 배역을 나누어 공연하는 창극으로 변화하였다. 판소리는 원래 즉흥성이 강한 이야기였지만, 극장 연주회 형식으로 공연되면서 차츰 노랫말과 음악적 선율이 고정(固定)되어 왔다. 또한 창극이 공연된 이후 대사법(臺詞法)도 판소리 이야기에서부터 연극식 말투로 바뀌었으며, 신파극 대사법은 후대에까지 큰 영향을 끼쳤다. 1925-1935년에 취입된 창극은 대체로 명창 개인의 연주능력에 의지하였고, 판소리 더늠 위주로 구성하여 완창을 압축하여 듣는 듯한 분위기를 지닌다. 그러나 1937년 이후부터는 잘 훈련된 창극 배우들이 호흡을 맞추면서 치밀한 극적 구성을 함으로써 소리 감상보다는 연극적 체험을 가능하게 하였다. 특히 후반기 창극 녹음을 주도했던 오케 레코드의 창극 음반은 대사 창의 적극적인 활용, 기악 반주의 사용, 메기도 받는 소리의 합창 처리, 효과음의 활용 등을 통해 더욱 풍성하고 입체적인 효과를 내고 있어 무대 장면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느낌을 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to demonstrate the process in which the pansori epic chant has been influenced by Western plays after modern theaters were established and has been changing to Korean traditional pansori opera. After the modern theater was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1902 in Seoul, the pansori, which had been sung by one singer, began to be performed as the pansori opera where many people sing. However, the musical form of the pansori opera in the initial stage is not known since there are only newspaper articles and oral records about the pansori opera. But pansori operas are partially left in the SP records that were recorded from 1907. There are currently 9 kinds of SP record series of the pansori opera before 1945. These show that the pansori opera changed from pansori in which one singer sing to cubic singing in which two or three singers exchange singing, and later to the pansori opera in which many people perform the role assigned to each performer. Pansori originally began with stories that had strong extemporaneousness and gradually its lyrics and musical melody have been gradually fixed. Dialogue methods also have changed from pansori stories to theatrical way of speaking. And the pansori opera in the 1920s depended on the performance abilities of an individual master singer of pansori, but in the 1930s and afterwards, well-trained pansori opera actors performed elaborate theatrical composition keeping tune with one another. After the 1930s, the form of accompanying the pansori opera with instrumental music was introduced. In the pansori opera, chant in chorus that had not been used in pansori was also introduced. After the 1930s, the pansori opera was a big trend, so pansori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pansori opera. As a result, pansori has changed from the form of orally narrating stories mixed with singing even when one person sings, to the direction in which dramatic expressions are emphasized using theatrical dialogue methods.
      번역하기

      This thesis is to demonstrate the process in which the pansori epic chant has been influenced by Western plays after modern theaters were established and has been changing to Korean traditional pansori opera. After the modern theater was established f...

      This thesis is to demonstrate the process in which the pansori epic chant has been influenced by Western plays after modern theaters were established and has been changing to Korean traditional pansori opera. After the modern theater was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1902 in Seoul, the pansori, which had been sung by one singer, began to be performed as the pansori opera where many people sing. However, the musical form of the pansori opera in the initial stage is not known since there are only newspaper articles and oral records about the pansori opera. But pansori operas are partially left in the SP records that were recorded from 1907. There are currently 9 kinds of SP record series of the pansori opera before 1945. These show that the pansori opera changed from pansori in which one singer sing to cubic singing in which two or three singers exchange singing, and later to the pansori opera in which many people perform the role assigned to each performer. Pansori originally began with stories that had strong extemporaneousness and gradually its lyrics and musical melody have been gradually fixed. Dialogue methods also have changed from pansori stories to theatrical way of speaking. And the pansori opera in the 1920s depended on the performance abilities of an individual master singer of pansori, but in the 1930s and afterwards, well-trained pansori opera actors performed elaborate theatrical composition keeping tune with one another. After the 1930s, the form of accompanying the pansori opera with instrumental music was introduced. In the pansori opera, chant in chorus that had not been used in pansori was also introduced. After the 1930s, the pansori opera was a big trend, so pansori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pansori opera. As a result, pansori has changed from the form of orally narrating stories mixed with singing even when one person sings, to the direction in which dramatic expressions are emphasized using theatrical dialogue metho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본론
      • 3. 결론
      • Abstract
      • 국문초록
      • 1. 서론
      • 2. 본론
      • 3. 결론
      • Abstract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현미, "한국창극사연구" 태학사 223-234, 1997

      2 배연형, "콜럼비아판 창극 춘향전 고찰" 동악어문학회 24 : 437-497, 1989

      3 "일츅죠션소리반 K611-B 古代小說劇 春香傳 再逢歌(六)(御使出道) 李東伯 金秋月 申錦紅 鼓李興元"

      4 "일츅죠션소리반 K609-B 古代小說劇 春香傳 再逢歌(二) 李東伯 金秋月 申錦紅長鼓趙鎭榮"

      5 "일츅죠션소리반 K604-A 古代小說劇 春香傳 春香苦節歌(五) 京城李東伯 慶北金秋月 慶南申錦紅 鼓李興元"

      6 "일츅죠션소리반 K601-B 古代小說劇 春香傳 夢龍春香離別歌(六) 京城李東伯 慶北金秋月 慶南申錦紅 長鼓李興元"

      7 "일츅죠션소리반 K599-B 古代小說劇 春香傳 夢龍春香離別歌(二) 京城李東伯 慶北金秋月 慶南申錦紅 長鼓李興元"

      8 "일츅죠션소리반 K597-B 古代小說劇 春香傳 李夢龍廣寒樓求景歌(八) 京城李東伯 慶北金秋月 慶南申錦紅 長鼓李興元"

      9 "일츅죠션소리반 K596-A 古代小說劇 春香傳 李夢龍廣寒樓求景歌(五) 京城李東伯 慶北金秋月 慶南申錦紅 長鼓李興元"

      10 山內文登, "일제시기 한국 녹음문화의 역사민족지 : 제국질서와 미시정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9

      1 백현미, "한국창극사연구" 태학사 223-234, 1997

      2 배연형, "콜럼비아판 창극 춘향전 고찰" 동악어문학회 24 : 437-497, 1989

      3 "일츅죠션소리반 K611-B 古代小說劇 春香傳 再逢歌(六)(御使出道) 李東伯 金秋月 申錦紅 鼓李興元"

      4 "일츅죠션소리반 K609-B 古代小說劇 春香傳 再逢歌(二) 李東伯 金秋月 申錦紅長鼓趙鎭榮"

      5 "일츅죠션소리반 K604-A 古代小說劇 春香傳 春香苦節歌(五) 京城李東伯 慶北金秋月 慶南申錦紅 鼓李興元"

      6 "일츅죠션소리반 K601-B 古代小說劇 春香傳 夢龍春香離別歌(六) 京城李東伯 慶北金秋月 慶南申錦紅 長鼓李興元"

      7 "일츅죠션소리반 K599-B 古代小說劇 春香傳 夢龍春香離別歌(二) 京城李東伯 慶北金秋月 慶南申錦紅 長鼓李興元"

      8 "일츅죠션소리반 K597-B 古代小說劇 春香傳 李夢龍廣寒樓求景歌(八) 京城李東伯 慶北金秋月 慶南申錦紅 長鼓李興元"

      9 "일츅죠션소리반 K596-A 古代小說劇 春香傳 李夢龍廣寒樓求景歌(五) 京城李東伯 慶北金秋月 慶南申錦紅 長鼓李興元"

      10 山內文登, "일제시기 한국 녹음문화의 역사민족지 : 제국질서와 미시정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9

      11 배연형, "유성기음반으로 보는 근대 판소리 地形" 한국고음반연구회 (20) : 129-210, 2010

      12 배연형, "유성기음반 판소리 사설(7) 오케판 심청전 전집" 판소리학회 15 : 319-356, 2003

      13 배연형, "유성기음반 판소리 사설(6)-일축판 春香傳 전집 사설-" 판소리학회 14 : 383-428, 2002

      14 배연형, "유성기음반 판소리 사설(5) - 오케판 興甫傳(唱劇) -" 판소리학회 13 : 423-459, 2002

      15 배연형, "오케판 春香傳全集" 한국어문학연구학회 45 : 301-353, 2005

      16 배연형, "시에론판 春香傳 全集 사설" 한국어문학연구학회 43 : 291-343, 2004

      17 每日申報, "시에론 新吹込 조선 구가요"

      18 "명인명창선집(5), In 화용도전집(3)" 서울음반 1992

      19 "명인명창선집(4),In 화용도전집(2)" 서울음반 1991

      20 韓國日報, "나의 履歷書(13)"

      21 "김소희 증언 (1989. 7. 24. 소격동 자택에서 필자와의 대담)"

      22 조선일보, "朝鮮音樂硏究會 名唱들이 發起組織 朝鮮樂界의 喜報"

      23 "Victor KJ-1118(KRE210) 春香傳 五里亭離別(二) 春香傳全篇(十五) 丁貞烈 李花中仙 朴綠珠 金素姬 鼓韓成俊"

      24 "Polydor 19273-A (第十四)(軍士点考) 金昌龍․丁貞烈 鼓-韓成俊"

      25 "Polydor 19272-A (第十三)(軍士点考) 丁貞烈․金昌龍 鼓-韓成俊"

      26 "Polydor 19271-B (第十二)(軍士点考) 丁貞烈 鼓-韓成俊"

      27 "Polydor 19238-A(8751BF) 唱劇 沈淸傳全集(第四回) (沈奉事嘆息) 金昌龍․李東伯․文蓮香 鼓-韓成俊"

      28 "Okeh 20141(K1899) 唱劇 沈淸傳(18) (臨塘水지는데) 金演洙․朴綠珠․金玉 蓮․丁南希․金俊燮 伴奏오케-古樂團"

      29 "Okeh 20097(K1651) 興甫傳(唱劇) 놀부박타는대(초랭이나온다)(其二十一) 吳守岩․林芳蔚 伴奏오케-古樂團"

      30 "Okeh 12036(K699) 春香傳(唱劇) 春香母츰추는데(後編 其十八) 林芳蔚․李花中仙․金素姬 伴奏오케-古樂團"

      31 "Columbia 40555(2 22087) 唱劇 春香傳(三十二)(再逢篇) 李花中仙 金昌龍 吳翡翠 權錦珠 鼓韓成俊"

      32 "Columbia 40554(2 22085)~Columbia 40555(1 22086) 唱劇 春香傳(三十~三十一)(再逢篇) 李花中仙 金昌龍 吳翡翠 權錦珠 鼓韓成俊"

      33 "Columbia 40544(1 22064) 唱劇 春香傳(九)(戀愛篇)~Columbia 40547(1 22070)唱劇 春香傳(十五)(離別篇) 李花中仙 金昌龍 吳翡翠 權錦珠 鼓韓成俊"

      34 "Chieron 507-B 春香傳全集 獄中吉夢(下) (第七編) 金正文 申錦紅"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 -> 동악어문학
      외국어명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5-02-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학회 -> 동악어문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Dong-ak Society of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Dong-ak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8 1.224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