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藥泉 記文의 山水美 形象과 敍述的 특징-?咸興十景圖記?와 ?北關十景圖記?를 중심으로- = Scenic Description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in Yakcheon's ki -Focused on Hamheung-sipkyungdo-ki and Bukkwan-sipkyungdo-k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270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middle of the Chosun dynasty, Yakcheon, Nam, Gu-man (1629~1711) wrote Hamheung-sipkyungdo-ki and Bukkwan-sipkyungdo-ki in which he described fine scenery of Hamheung and Hamkyung-bukdo. Since ancient times, most of literary men mainly described fine scenery of Guemkang-san, Jiri-san, Baekdu-san or the seashore of Gwandong. But Yakcheon's this two works especially described fine scenery of the northeastern provinces. This two works had an influence on North-frontier literary works which Soron-party literary men of after ages created, so they have important positions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is two works praised hometown of Taejo, described beautiful scenery vividly, praised faithfulness, and showed attachment to a lost territory. So I think this two works should not yield to any good travel piece of mountains and waters. In this paper, I examined scenic description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is two works through an analysis of work.
      번역하기

      In the middle of the Chosun dynasty, Yakcheon, Nam, Gu-man (1629~1711) wrote Hamheung-sipkyungdo-ki and Bukkwan-sipkyungdo-ki in which he described fine scenery of Hamheung and Hamkyung-bukdo. Since ancient times, most of literary men mainly described...

      In the middle of the Chosun dynasty, Yakcheon, Nam, Gu-man (1629~1711) wrote Hamheung-sipkyungdo-ki and Bukkwan-sipkyungdo-ki in which he described fine scenery of Hamheung and Hamkyung-bukdo. Since ancient times, most of literary men mainly described fine scenery of Guemkang-san, Jiri-san, Baekdu-san or the seashore of Gwandong. But Yakcheon's this two works especially described fine scenery of the northeastern provinces. This two works had an influence on North-frontier literary works which Soron-party literary men of after ages created, so they have important positions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is two works praised hometown of Taejo, described beautiful scenery vividly, praised faithfulness, and showed attachment to a lost territory. So I think this two works should not yield to any good travel piece of mountains and waters. In this paper, I examined scenic description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is two works through an analysis of wor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중기에 藥泉 南九萬(1629~1711)은 함흥과 함경북도 변방의 勝景을 形象한 咸興十景圖記와 北關十景圖記라는 두 記文을 창작했다. 이 두 記文은 여타의 문인들이 대부분 金剛山智異山白頭山 등과 關東 海岸 一帶의 絶景을 묘사한 것과는 달리, 처음으로 朝鮮 東北面의 山水美를 形象하여 주목된다. 또한 이 두 記文은 後代의 少論系 관료문인들이 北塞文學을 발전시키는 데 영향을 끼쳐, 文學史的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게다가 함흥십경도기와 북관십경도기는 朝鮮 太祖의 고향을 드러내 禮讚하고, 山水美를 生動的이고 寫實的으로 묘사하였으며, 忠烈을 表彰하고 失地에 대한 愛着을 드러내는 등 여느 훌륭한 山水遊記 못지않은 記文이다. 이에 本稿는 이 두 기문이 산수미를 어떻게 형상했으며 그 서술적 특징은 어떠한가를 작품 분석을 통해 살펴본 글이다.
      번역하기

      조선 중기에 藥泉 南九萬(1629~1711)은 함흥과 함경북도 변방의 勝景을 形象한 咸興十景圖記와 北關十景圖記라는 두 記文을 창작했다. 이 두 記文은 여타의 문인들이 대부분 金剛山智異山白...

      조선 중기에 藥泉 南九萬(1629~1711)은 함흥과 함경북도 변방의 勝景을 形象한 咸興十景圖記와 北關十景圖記라는 두 記文을 창작했다. 이 두 記文은 여타의 문인들이 대부분 金剛山智異山白頭山 등과 關東 海岸 一帶의 絶景을 묘사한 것과는 달리, 처음으로 朝鮮 東北面의 山水美를 形象하여 주목된다. 또한 이 두 記文은 後代의 少論系 관료문인들이 北塞文學을 발전시키는 데 영향을 끼쳐, 文學史的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게다가 함흥십경도기와 북관십경도기는 朝鮮 太祖의 고향을 드러내 禮讚하고, 山水美를 生動的이고 寫實的으로 묘사하였으며, 忠烈을 表彰하고 失地에 대한 愛着을 드러내는 등 여느 훌륭한 山水遊記 못지않은 記文이다. 이에 本稿는 이 두 기문이 산수미를 어떻게 형상했으며 그 서술적 특징은 어떠한가를 작품 분석을 통해 살펴본 글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문산문의 미학" 고려대학교출판부 216-217, 1998

      2 "藥泉 南九萬의 古土 回復意志" 우리한문학회 제10집 : 158-162, 2004

      3 "文章辨體序說" 太平書局 41-42, 1977

      1 "한문산문의 미학" 고려대학교출판부 216-217, 1998

      2 "藥泉 南九萬의 古土 回復意志" 우리한문학회 제10집 : 158-162, 2004

      3 "文章辨體序說" 太平書局 41-42, 197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