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 유치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실태 조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818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치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실태를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유치원에서 지역별 3%를 집락표본 추출한 후, 유치원별 만 4세 담임교사 1명이 응답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70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먼저 운영관리의 경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에는 시설.설비 및 운영방침이 취약하였으며, 환경관리규정조차 전체의 1/3 정도의 유치원만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육내용 및 실시정도와 관련하여 보면,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시비율은 자연교육이나 환경교육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교사 재교육과 관련해서는 그 기회나 정도가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유치원에서 바람직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우선 유치원의 물리적 환경, 운영방침 등 기반 조건이 개선되어야 하며,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교사 재교육 기회가 확대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치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실태를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유치원에서 지역별 3%를 집락표본 추출한 후, 유치원별 만 4세 담임교사 1명이 응답...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치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실태를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유치원에서 지역별 3%를 집락표본 추출한 후, 유치원별 만 4세 담임교사 1명이 응답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70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먼저 운영관리의 경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에는 시설.설비 및 운영방침이 취약하였으며, 환경관리규정조차 전체의 1/3 정도의 유치원만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육내용 및 실시정도와 관련하여 보면,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시비율은 자연교육이나 환경교육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교사 재교육과 관련해서는 그 기회나 정도가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유치원에서 바람직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우선 유치원의 물리적 환경, 운영방침 등 기반 조건이 개선되어야 하며,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교사 재교육 기회가 확대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in order to check Korea kindergartens" state in relation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ur research methodology is to let a teacher of each kindergarten for four-aged children answer the questionnaire after selecting 3% regional intensive samples from all country-wide kindergartens. As the result of analyzing 370 questionnaires, it is found that, in case of operational management, kindergartens have weaknesses in facilities, equipment, and operation policy in executing an efficien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nd also found that only one third of all kindergartens own environmental management rules. Next, compared with nature education or environmental education, a conspicuously low rate of ESD had been conducted if education contents and an extent of its execution are reviewed. Last, an opportunity or extent of continuing education on teachers, in relation to ESD, turned out to be low. Based upon this result, in order to perform a desirable EDS, first, basic conditions such as physical environment and operation policy of kindergartens must be improved. And it is simultaneously proposed that an opportunity of continuing education be extensively given to teachers in order to make an execution of EDS possible.
      번역하기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in order to check Korea kindergartens" state in relation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ur research methodology is to let a teacher of each kindergarten for four-aged children answer the questionnaire after...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in order to check Korea kindergartens" state in relation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ur research methodology is to let a teacher of each kindergarten for four-aged children answer the questionnaire after selecting 3% regional intensive samples from all country-wide kindergartens. As the result of analyzing 370 questionnaires, it is found that, in case of operational management, kindergartens have weaknesses in facilities, equipment, and operation policy in executing an efficien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nd also found that only one third of all kindergartens own environmental management rules. Next, compared with nature education or environmental education, a conspicuously low rate of ESD had been conducted if education contents and an extent of its execution are reviewed. Last, an opportunity or extent of continuing education on teachers, in relation to ESD, turned out to be low. Based upon this result, in order to perform a desirable EDS, first, basic conditions such as physical environment and operation policy of kindergartens must be improved. And it is simultaneously proposed that an opportunity of continuing education be extensively given to teachers in order to make an execution of EDS possib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은혜, "푸른별 지킴이. 유아교사의 전문성 재고와 유아교육 현안" 영유아교육학회 127-144, 2011

      2 지옥정, "퀸즈랜드 주를 중심으로 한 호주 유아기 환경교육의 맥락적인 배경 및 특성 고찰" 한국교육개발원 38 (38): 53-75, 2011

      3 조혜연,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현황과 장애요인 분석" 초등교육연구원 24 (24): 115-131, 2013

      4 박현진, "지속가능발전으로의 유아 공존교육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학회 50 (50): 303-332, 2012

      5 정미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본유치원 교사의 물교육 실태 및 인식"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15-137, 2013

      6 백은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본어린이집 교사의 물교육 실태, 인식 및 요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3 (13): 191-221, 2014

      7 이경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본 숲유아교육 : 한국의 숲유아교육 실천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3

      8 송응식,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과정 지역화의 재방향 설정"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307-321, 2014

      9 박태윤,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사 지침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유엔지속가능발전교육 통영센터(통영RCE) 2006

      10 이인선,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 실행 및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2014

      1 박은혜, "푸른별 지킴이. 유아교사의 전문성 재고와 유아교육 현안" 영유아교육학회 127-144, 2011

      2 지옥정, "퀸즈랜드 주를 중심으로 한 호주 유아기 환경교육의 맥락적인 배경 및 특성 고찰" 한국교육개발원 38 (38): 53-75, 2011

      3 조혜연,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현황과 장애요인 분석" 초등교육연구원 24 (24): 115-131, 2013

      4 박현진, "지속가능발전으로의 유아 공존교육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학회 50 (50): 303-332, 2012

      5 정미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본유치원 교사의 물교육 실태 및 인식"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15-137, 2013

      6 백은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본어린이집 교사의 물교육 실태, 인식 및 요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3 (13): 191-221, 2014

      7 이경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점에서 본 숲유아교육 : 한국의 숲유아교육 실천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3

      8 송응식,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과정 지역화의 재방향 설정"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307-321, 2014

      9 박태윤,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사 지침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유엔지속가능발전교육 통영센터(통영RCE) 2006

      10 이인선,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 실행 및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2014

      11 유영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한국의 교육정책 및 현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319-341, 2013

      12 정기섭,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2 (2): 65-96, 2010

      13 신은수,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과정의 재방향 설정" 한국육아지원학회 7 (7): 27-50, 2012

      14 이금구, "지구환경 살림이" 103-126, 2011

      15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 지원을 위한 유아 녹색성장교육 프로그램" 2012

      16 이선경,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10년을 위한 국가 추진 전략 개발 연구" 대통령자문지속가능발전위원회 2005

      17 이선경,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D'지속가능발전교육') 중간평가를 위한 실태 조사연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0

      18 곽노의,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419-436, 2013

      19 권영임,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방안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8 (8): 211-230, 2009

      20 박은혜,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모형을 활용한 생물다양성교육의 과정과 의미" 교과교육연구소 18 (18): 1-26, 2014

      21 이경민, "유아교사의 행복과 역할수행능력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489-503, 2012

      22 지옥정, "유아교사의 녹색성장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 및 의미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271-294, 2013

      23 유선영, "수업사례를 활용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예비유아교사의 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4 김은정, "독일, 영국, 호주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분석과 학교 교육과정 및 유아교육과정에의 시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75-100, 2013

      25 지옥정, "‘지속가능성을 위한 유아교육’ 사례로서의 ‘무심천 프로젝트’에 나타난 유아들의 지역사회 참여 내용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63-382, 2011

      26 Davis, J., "Young Children and the Environment, Early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42, 2010

      27 Pratt, R., "Young Children and the Environ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4-153, 2010

      28 Lyukshina, O., "We and Nature. Moscow, Russia, Environment and Sustainability" 2008

      29 UNESCO, "United Nations Decade of ESD(2005-2014),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 UNESCO 2005

      30 Inoue, M,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Environment Educa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11 (11): 80-86, 2002

      31 UNESCO., "The Contribu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a Sustainable Society" UNESCO 2008

      32 Qualifications and Curriculum Authority., "Sustainable Development I Action, A Curriculum Planning Guide for Schools" Qualifications and Curriculum Authority 2009

      33 UNESCO, "Shaping the future we want" UNESCO 2014

      34 Beck, Ulrich., "Risk Society" SAGE 1992

      35 Inoue, M.,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International perspectives and provocations" Routledge 79-96, 2014

      36 Davis, J.,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International Perspectives and Provocations" Routledge 79-96, 2014

      37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ur Common Fu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38 UNESCO.,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for Reorienting Teacher Education to Address Sustainability" UNESCO 2005

      39 Engdalh, I.,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Practice, A Report for the OMEP World Assembly and World Congress on the OMEP" 2010

      40 OMEP,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41 Bates, S.,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in the Early Years, Case Study from the Hallet Cove Preschool"

      42 Siraj-Blatchford, J.,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43 Diamond, Jared., "Collapse, How Societies Choose to Fail or Succeed, Revised Edition" Penguin Books 2011

      44 Engdalh, I., "Children's Voices about the State of the Ear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 Report for the OMEP World Assembly and World Congress on the OMEP" 2009

      45 UNECD., "Agenda 21, Programme of Ac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io Declaration on Development" UNCED 1992

      46 Inoue, M., "A Survey of the Natural Environment of Playgrounds in Kindergartens and Nursery School" 15 : 1-11, 2006

      47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1 지속가능발전교육 개황"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1

      48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지속가능발전교육'교재 활용가이드-지속가능한 미래로의 희망"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4 2.04 2.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2 1.95 2.428 0.7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