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조사는 배우자 폭력의 여성 피해자에 대한 해결중심 개별상담의 효과성에 대한 경험적 자료 수집을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은 쉼터라는 공간의 특성으로 인해 통제집단을 형성하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68082
-
Korean
가정폭력 ; 가해자 ; 강점시각 ; 과정연구 ; 긍정적 경험 ; 배우자 폭력 ; 성과 연구 ; 임상개입 연구 ; 클라이언트 중심 ; 피해자 ; 척도개발 ; 해결중심 치료 ; 효과성 연구 ; family violence ; offender ; strengths perspective ; process study ; positive experience ; spousal violence ; outcome study ; clinical intervention study ; solution-focused therapy ; client-centered approach ; victim ; outcome measure development ; effectiveness study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조사는 배우자 폭력의 여성 피해자에 대한 해결중심 개별상담의 효과성에 대한 경험적 자료 수집을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은 쉼터라는 공간의 특성으로 인해 통제집단을 형성하기 ...
이 조사는 배우자 폭력의 여성 피해자에 대한 해결중심 개별상담의 효과성에 대한 경험적 자료 수집을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은 쉼터라는 공간의 특성으로 인해 통제집단을 형성하기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보호시설의 실제 현장에서 생활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되, 해결중심 개별상담을 받지 않는 비참여자들을 비교집단으로 두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조사는 배우자 폭력의 여성 피해자에 대한 해결중심 개별상담의 효과성에 대한 경험적 자료 수집을 위해 실시되었다. 현장에서 실시되는 임상개입의 효과성 평가연구에서는 치료집단 및...
이 조사는 배우자 폭력의 여성 피해자에 대한 해결중심 개별상담의 효과성에 대한 경험적 자료 수집을 위해 실시되었다. 현장에서 실시되는 임상개입의 효과성 평가연구에서는 치료집단 및 통제집단을 무작위로 배정하는 전통적 실험연구설계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본 연구에서는 유사실험설계인 비동일통제집단설계(non-equivalentcontrolgroupdesign)를 하였다. 즉.임상개입이 이루어지는 상담집단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비교집단을 확보하고 해결중심 상담개입 사전,사후에 실시하는 조사를 유사통제집단에도 비슷한 시기에 실행한 후 두 집단이 보이는 변화의 차이를 비교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Rubin & Babbie, 1997). 이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무작위로 배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통제집단(controlgroup)대신 비교집단(comparisongroup)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은 쉼터 등 보호시설에서 생활하는 여성들이며, 해결중심의 개별상담을 받은 참여자들의 치료 사전,사후 상태를 배우자 폭력을 경험하고 쉼터에 거주하지만 해결중심 개별상담에 참여하지 않은 여성들의 4-8주 간격을 둔 사전,사후 조사의 상태와 비교하여 유사실험 설계에 기반한다(Rubin & Babbie,1997).상담에 참여한 여성들과 비참여자들 모두 조사에 앞서 연구에대한 설명을 듣고 연구동의서를 자발적으로 작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