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자연친화적 숲 체험활동이 특수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n the 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rough Nature Friendly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8977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연친화적인 숲 체험활동이 특수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특수아동이란 생후 8세 이전의 발달 과정에서 정상적인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인해 발달 지연이나 발달 지체로 인해 독특한 발달 양상을 보이는 아동으로 장애인복지법 제2조에 의해 10종류의 대표적 장애로 구분되며, 지체장애, 뇌병변, 정신장애, 심장, 발달장애(자폐증), 신장, 시각, 청각, 언어, 정신지체장애 등으로 장애정도가 경증의 수준에 해당되는 다수의 아동들을 말한다.
      특수아동을 대상으로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기초조사 및 프로그램 개발, 사전검사, 프로그램 진행, 사후검사의 순서로 수행하여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자연친화적인 숲 체험활동 프로그램(이하 자연친화숲체험프로그램이라 한다.)은 기초조사를 바탕으로 ADDIE 모델을 적용하여 개발·구성한 후 특수아동에게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의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 아동은 9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경제적, 사회적으로 가정환경이 비슷한 특수대상 아동 53명으로 선정하였고, 특수대상 아동들에게 적합하도록 개발한 자연친화숲체험프로그램을 적용하여 2020년 5월부터 11월까지 8회를 진행하였다.
      자연친화숲체험프로그램 기초조사로는 특수대상 아동에 대한 특이성 조사와 특수전담교사들과의 사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검사로는 프로그램 만족도를 도출하기 위해 프로그램 매 회차 마다 표정스티커 검사를 진행하고 기록하였다. 그리고 특수아동의 행동변화를 특수전담교사와 연구자가 직접 관찰·기록하였고,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사회성 발달 및 정서지능에 대한 영향과 변화도를 분석하였다.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대한 영향과 변화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친화숲체험프로그램 만족도는 프로그램 진행 사전·사후검사의 비교결과에서 전반적으로 모든 회차에서 향상된 만족도를 보였고, 체험적 요소가 많은 프로그램일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사회성 발달은 사회성 발달을 구성하고 있는 네 가지 하위요인 즉 협동성, 타인 이해성, 자율성, 또래 간 상호작용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정서지능은 신체 발달 5개 영역 중, 지적장애, 자폐성·정서행동장애 아동의 경우 의사소통 영역, 인지적 영역, 정서적 영역, 사회적 영역 등의 4개 영역에서 모두 긍정적인 향상을 보였으며, 뇌병변·발달지체장애 아동의 경우는 정서적 영역에서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자연친화숲체험프로그램이 특수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대해 긍정적인 행동 변화가 관찰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같은 결과를 통해 숲 체험활동이 특수대상 아동들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대해 기여했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자연친화적인 숲 체험활동이 특수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특수아동이란 생후 8세 이전의 발달 과정에서 정상적인 발달이 ...

      본 연구는 자연친화적인 숲 체험활동이 특수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특수아동이란 생후 8세 이전의 발달 과정에서 정상적인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인해 발달 지연이나 발달 지체로 인해 독특한 발달 양상을 보이는 아동으로 장애인복지법 제2조에 의해 10종류의 대표적 장애로 구분되며, 지체장애, 뇌병변, 정신장애, 심장, 발달장애(자폐증), 신장, 시각, 청각, 언어, 정신지체장애 등으로 장애정도가 경증의 수준에 해당되는 다수의 아동들을 말한다.
      특수아동을 대상으로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기초조사 및 프로그램 개발, 사전검사, 프로그램 진행, 사후검사의 순서로 수행하여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자연친화적인 숲 체험활동 프로그램(이하 자연친화숲체험프로그램이라 한다.)은 기초조사를 바탕으로 ADDIE 모델을 적용하여 개발·구성한 후 특수아동에게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의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 아동은 9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경제적, 사회적으로 가정환경이 비슷한 특수대상 아동 53명으로 선정하였고, 특수대상 아동들에게 적합하도록 개발한 자연친화숲체험프로그램을 적용하여 2020년 5월부터 11월까지 8회를 진행하였다.
      자연친화숲체험프로그램 기초조사로는 특수대상 아동에 대한 특이성 조사와 특수전담교사들과의 사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검사로는 프로그램 만족도를 도출하기 위해 프로그램 매 회차 마다 표정스티커 검사를 진행하고 기록하였다. 그리고 특수아동의 행동변화를 특수전담교사와 연구자가 직접 관찰·기록하였고,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사회성 발달 및 정서지능에 대한 영향과 변화도를 분석하였다.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대한 영향과 변화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친화숲체험프로그램 만족도는 프로그램 진행 사전·사후검사의 비교결과에서 전반적으로 모든 회차에서 향상된 만족도를 보였고, 체험적 요소가 많은 프로그램일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사회성 발달은 사회성 발달을 구성하고 있는 네 가지 하위요인 즉 협동성, 타인 이해성, 자율성, 또래 간 상호작용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정서지능은 신체 발달 5개 영역 중, 지적장애, 자폐성·정서행동장애 아동의 경우 의사소통 영역, 인지적 영역, 정서적 영역, 사회적 영역 등의 4개 영역에서 모두 긍정적인 향상을 보였으며, 뇌병변·발달지체장애 아동의 경우는 정서적 영역에서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자연친화숲체험프로그램이 특수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대해 긍정적인 행동 변화가 관찰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같은 결과를 통해 숲 체험활동이 특수대상 아동들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대해 기여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nature friendly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on the 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re those who show delayed or abnormal development, which are classified by 10 major disabilities such as Physical and mental disorders, mental retardation, brain lesions, heart disorders, developmental disorders (autism), kidney disorders, sight disorders, hearing disorders, language disorders by Article 2 of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ic data were secured by conducting basic surveys and program development, pre-examination, program progress, and post-examination to analyze the impact on 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o bring positive influence of 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to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nature friendly forest experience program was developed and constructed by applying the ADDIE model based on basic surveys.

      The study was focused on 53 elementary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ho had similar economic and social home environments and were attending special classes in nine elementary schools Eight sessions were held from May to November 2020 by applying the nature-friendly forest experience program developed to be suitable for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s a basic survey of the nature friendly forest experience program, a specificity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ubject to special treatment and interview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as a pre- and post-inspection survey, facial stickers were inspected and recorded every episode of the program.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searchers directly observed and recorded changes in behavior of the subjects and analyzed the subjects’ program satisfaction level, social development, and affects and changes in emotional intelligence. A response sample t-test was conducted as a way to analyze the influence and change on 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is study’s findings:
      First,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showed improved satisfaction level in all episode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e- and post-inspection survey of the program, and the more experiential element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Second, the social develop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all four sub_factors that make up social development, which are cooperation, understanding of the others, autonomy, and peer-to-peer interactions.
      Third,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positive improvement in all four areas of emotional intelligence, except for the physical areas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ism, and emotional disor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nature friendly forest experience program contributed to the 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hat the nature friendly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contributed to the 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nature friendly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on the 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re those who show delayed or ab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nature friendly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on the 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re those who show delayed or abnormal development, which are classified by 10 major disabilities such as Physical and mental disorders, mental retardation, brain lesions, heart disorders, developmental disorders (autism), kidney disorders, sight disorders, hearing disorders, language disorders by Article 2 of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ic data were secured by conducting basic surveys and program development, pre-examination, program progress, and post-examination to analyze the impact on 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o bring positive influence of 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to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nature friendly forest experience program was developed and constructed by applying the ADDIE model based on basic surveys.

      The study was focused on 53 elementary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ho had similar economic and social home environments and were attending special classes in nine elementary schools Eight sessions were held from May to November 2020 by applying the nature-friendly forest experience program developed to be suitable for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s a basic survey of the nature friendly forest experience program, a specificity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ubject to special treatment and interview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as a pre- and post-inspection survey, facial stickers were inspected and recorded every episode of the program.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searchers directly observed and recorded changes in behavior of the subjects and analyzed the subjects’ program satisfaction level, social development, and affects and changes in emotional intelligence. A response sample t-test was conducted as a way to analyze the influence and change on 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is study’s findings:
      First,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showed improved satisfaction level in all episode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e- and post-inspection survey of the program, and the more experiential element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Second, the social develop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all four sub_factors that make up social development, which are cooperation, understanding of the others, autonomy, and peer-to-peer interactions.
      Third,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positive improvement in all four areas of emotional intelligence, except for the physical areas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ism, and emotional disor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nature friendly forest experience program contributed to the 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hat the nature friendly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contributed to the 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내용 및 범위 2
      • Ⅱ. 이론적 배경 4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내용 및 범위 2
      • Ⅱ. 이론적 배경 4
      • 1. 산림교육 4
      • 1) 산림교육의 개념 4
      • 2) 숲 체험활동 5
      • 2. 특수아동 7
      • 3. 사회성 발달 및 정서지능 9
      • 1) 사회성 발달 9
      • 2) 정서지능 10
      • 4. 특수아동에게 필요한 누리과정 발달 영역 11
      • Ⅲ. 연구 방법 15
      • 1. 연구대상자 구성현황 15
      • 2. 자연친화숲체험프로그램 효과분석을 위한 평가척도 개발 16
      • 1) 특수아동 기초조사 16
      • 2) 사회성 발달 분석을 위한 설문지 17
      • 3) 특수아동의 진단평가표 18
      • 4) 프로그램 만족도 분석을 위한 마음상태 변화 검사지 18
      • 5) 대상아동의 행동변화와 관찰을 위한 숲 교육 관찰일지 18
      • 3. 특수아동을 위한 자연친화숲체험프로그램 운영절차 19
      • 1) 프로그램 개발과정 20
      • 2) 사전검사 23
      • 3) 숲 체험 프로그램 24
      • 4) 사후검사 33
      • 4. 자료 분석 및 처리 33
      • Ⅳ. 연구결과 및 고찰 34
      • 1. 자연친화숲체험프로그램 만족도 34
      • 1) 전체 프로그램 만족도 34
      • 2) 회차별 프로그램 만족도 35
      • 3) 장애별 숲 체험교육이 미치는 영향 36
      • (1) 지적장애 아동에 대한 숲 체험활동의 효과성 37
      • (2) 자폐성·정서행동장애 아동에 대한 숲 체험활동의 효과성 38
      • (3) 뇌병변·발달지체장애아동에 대한 숲 체험활동의 효과성 38
      • 2. 숲 체험활동이 특수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39
      • 1) 전체 대상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대한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 39
      • 2) 특수아동의 장애별 사회성 발달 하위요인에 대한 영향 41
      • (1) 지적장애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대한 하위요인 41
      • (2) 자폐성·정서행동장애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대한 하위요인 43
      • (3) 뇌병변·발달지체장애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대한 하위요인 45
      • 3. 숲 체험활동이 특수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47
      • 1) 전체 대상아동의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48
      • 2) 특수아동의 장애별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49
      • (1) 지적장애 아동의 정서지능에 대한 효과성 49
      • (2) 자폐성·정서행동장애 아동의 정서지능에 대한 효과성 50
      • (3) 뇌병변·발달지체장애 아동의 정서지능에 대한 효과성 51
      • Ⅴ. 결론 53
      • 참고문헌 55
      • 부록 58
      • Abstract 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