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이루어진 특수교사의 쌍방향 원격수업 운영 경험 분석 = Analyz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on 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Within Inclusive High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03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이 연구는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쌍방향 원격수업을 계획하고 운영한 특수교사들의 경험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쌍방향 원격수업을 한 학기 이상 운영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6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지속적 비교 분석 기법을 통해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사는 일반학교의 구성원으로서 원격수업의 방침에 공감하고, 학생참여를 강화하기 위해 특수학급에서 쌍방향 원격수업 운영을 도전 하였다. 쌍방향 원격수업에 성공하기 위해 수업 연구 활동을 강화하고 스마트 기기 및 수업 플랫폼 사용을 지원하며 교육내용과 수업 활동 및 방식의 변화를 추구하였다. 하지만 원격수업 인프라와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역량 부족, 충분하지 않은 교사 피드백이 어려움이었다. 그러나 쌍방향 원격수업을 통해 장애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수업 중 학생의 적극성이 확대되었다는 점에서 특수교육에서 쌍방향 원격수업의 활용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다. 논의: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장애학생을 위한 쌍방향 원격수업 운영 실태와 활성화 제언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이 연구는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쌍방향 원격수업을 계획하고 운영한 특수교사들의 경험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쌍방향 원격수업을 한 학기 이상 운영한 ...

      연구목적: 이 연구는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쌍방향 원격수업을 계획하고 운영한 특수교사들의 경험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쌍방향 원격수업을 한 학기 이상 운영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6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지속적 비교 분석 기법을 통해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사는 일반학교의 구성원으로서 원격수업의 방침에 공감하고, 학생참여를 강화하기 위해 특수학급에서 쌍방향 원격수업 운영을 도전 하였다. 쌍방향 원격수업에 성공하기 위해 수업 연구 활동을 강화하고 스마트 기기 및 수업 플랫폼 사용을 지원하며 교육내용과 수업 활동 및 방식의 변화를 추구하였다. 하지만 원격수업 인프라와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역량 부족, 충분하지 않은 교사 피드백이 어려움이었다. 그러나 쌍방향 원격수업을 통해 장애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수업 중 학생의 적극성이 확대되었다는 점에서 특수교육에서 쌍방향 원격수업의 활용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다. 논의: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장애학생을 위한 쌍방향 원격수업 운영 실태와 활성화 제언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on 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 for inclusive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Six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implemented 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 for over a semester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These interviews were analyzed with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cepted their schools’ overall online instruction policies and pursued the synchronous type to facilitate their student success. They increased research on online instruction practices and adjusted them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They also supported their students’ use of online learning platforms. A shortage of online learning infrastructure, lack of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insufficient teacher feedback impeded 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 However, it gave students opportunities to pay more attention to lessons and to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in academic and social engagement. Conclusion: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 of special education in inclusive high schools are provided.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on 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 for inclusive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Six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implemented 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 ...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on 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 for inclusive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Six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implemented 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 for over a semester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These interviews were analyzed with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cepted their schools’ overall online instruction policies and pursued the synchronous type to facilitate their student success. They increased research on online instruction practices and adjusted them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They also supported their students’ use of online learning platforms. A shortage of online learning infrastructure, lack of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insufficient teacher feedback impeded 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 However, it gave students opportunities to pay more attention to lessons and to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in academic and social engagement. Conclusion: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 of special education in inclusive high schools are provi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 참고문헌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미, "학습계약서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 효과: 원격수업 상황에서의 초등 저학년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원 41 (41): 135-160, 2021

      2 김승주, "특수교육 원격수업 무엇이 왜 어려운가?: 문제 요인과 도움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8 (28): 131-158, 2021

      3 서선진, "특수교사의 학교 밖 전문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탐구" 한국학습장애학회 18 (18): 99-125, 2021

      4 권성연, "코로나19에 따른 초중등 교사들의 온라인 수업 경험과 인식에 대한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36 (36): 745-774, 2020

      5 강미애, "코로나19로 인한 쌍방향 원격수업에 관한 연구: 세종시 초등학교 교사들과 FGI 질적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89-116, 2020

      6 강승모, "코로나19 이후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75-704, 2020

      7 이해란,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초등특수교사의 온라인수업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연구소 26 (26): 589-612, 2020

      8 김대용, "코로나-19로 인한 특수교육 온라인 학습 실태 및 온라인 학습 인식 조사" 한국특수교육학회 55 (55): 85-108, 2020

      9 교육부, "코로나-19 감염병 대응 2020학년도 장애학생 원격수업 지원(안)" 2020

      10 박휴용, "코로나 이펙트: 팬데믹과 기술 중심의 사회에서의 교육적 위기와 기회" 178 : 16-18, 2020

      1 이경미, "학습계약서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 효과: 원격수업 상황에서의 초등 저학년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원 41 (41): 135-160, 2021

      2 김승주, "특수교육 원격수업 무엇이 왜 어려운가?: 문제 요인과 도움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8 (28): 131-158, 2021

      3 서선진, "특수교사의 학교 밖 전문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탐구" 한국학습장애학회 18 (18): 99-125, 2021

      4 권성연, "코로나19에 따른 초중등 교사들의 온라인 수업 경험과 인식에 대한 탐색" 한국교육공학회 36 (36): 745-774, 2020

      5 강미애, "코로나19로 인한 쌍방향 원격수업에 관한 연구: 세종시 초등학교 교사들과 FGI 질적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89-116, 2020

      6 강승모, "코로나19 이후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75-704, 2020

      7 이해란,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초등특수교사의 온라인수업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연구소 26 (26): 589-612, 2020

      8 김대용, "코로나-19로 인한 특수교육 온라인 학습 실태 및 온라인 학습 인식 조사" 한국특수교육학회 55 (55): 85-108, 2020

      9 교육부, "코로나-19 감염병 대응 2020학년도 장애학생 원격수업 지원(안)" 2020

      10 박휴용, "코로나 이펙트: 팬데믹과 기술 중심의 사회에서의 교육적 위기와 기회" 178 : 16-18, 2020

      11 권정민, "코로나 시대 초등원격수업이부실한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32 (32): 399-424, 2021

      12 윤태성, "충남지역 특수학교 교사의 원격수업 운영 경험과 그 의미"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3 (13): 179-209, 2020

      13 이준, "초중등학교 온라인 수업 도입을 위한 법제도적 과제" 대한교육법학회 24 (24): 125-146, 2012

      14 오영범, "초등학교 원격수업 사례분석을 통한 원격수업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초등교육학회 34 (34): 109-139, 2021

      15 김현집,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원격교육 실태 및 운영 방안 탐색" 한국특수교육학회 55 (55): 1-33, 2021

      16 도재우,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중·고등학교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 사례 분석" 한국질적탐구학회 6 (6): 637-681, 2020

      17 서봉언, "원격수업에서 교사의 역할: 학업열의, 디지털 기기, 피드백의 상호작용" 한국교육사회학회 30 (30): 173-197, 2020

      18 함미애, "원격수업에 대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탐색" 국립특수교육원 27 (27): 1-43, 2020

      19 박선희, "실시간 원격 수업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이중언어학회 (81) : 59-99, 2020

      20 한경돈,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원격교육지원 콘텐츠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10 : 247-256, 2012

      21 오영범, "비대면 원격수업 사례분석을 통한 교수자의 원격수업 역량 탐색: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6 (36): 715-744, 2020

      22 신서영, "기본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특수교사의 온라인 수업 경험 탐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8 (8): 147-167, 2020

      23 이쌍철, "교육 분야 감염병 [COVID-19] 대응과제: 정규 수업 인정 원격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20

      24 류신희, "건강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및 교육 실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157-176, 2008

      25 Bogdan, R. C.,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Allyn & Bacon 2007

      26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85

      27 계보경, "COVID-19에 따른 초중등학교 원격교육 경험 및 인식분석-기초 통계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20

      28 Corbin, J.,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s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peci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7 1.77 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9 1.64 1.895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