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지각적 요소를 갖춘 건축물 위험징후 측정 모니터링 시스템 설치 가이드라인 개발연구 = Developing the Installation Guideline of Building Monitoring Systems for Hazardous Symptom Measurements with Visual Perce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82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Recently, structural defects in old safety management facilities have led to the collapse of buildings and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guidelines for the installation of regular monitoring systems that determine the optimal sensor location for monitoring exhibition space building sensors equipped with visual elements in order to analyze the risk signs of exhibition space buildings and develop measurement technology.
      Method: The components, installation locations, alarm criteria, and management measures of the instrument are presented.
      Result: A measure was propos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sensors, secure signal processing technology for analysis by having unified visual perception, and configure optimal 'risk sign detection' based on sensor monitoring through test-bed oper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prepared against the disasters that may arise from the collapse of exhibition buildings, and contribute to strengthening safety management capabilities.
      번역하기

      Purpose: Recently, structural defects in old safety management facilities have led to the collapse of buildings and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guidelines for the installation of regular monitoring systems that determine the op...

      Purpose: Recently, structural defects in old safety management facilities have led to the collapse of buildings and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guidelines for the installation of regular monitoring systems that determine the optimal sensor location for monitoring exhibition space building sensors equipped with visual elements in order to analyze the risk signs of exhibition space buildings and develop measurement technology.
      Method: The components, installation locations, alarm criteria, and management measures of the instrument are presented.
      Result: A measure was propos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sensors, secure signal processing technology for analysis by having unified visual perception, and configure optimal 'risk sign detection' based on sensor monitoring through test-bed oper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prepared against the disasters that may arise from the collapse of exhibition buildings, and contribute to strengthening safety management cap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최근 노후한 안전관리 미비 시설물의 구조적 결함으로 인한 건축물 및 시설물 붕괴사고 등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축물의 위험징후를 분석하고 계측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시지각적 요소를 갖춘 전시공간 건축물 센서 모니터링을 위한 최적의 센서 위치를 결정하는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 설치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위험징후 계측 기기의 구성요소, 설치위치, 기기의 경보 기준, 관리 방안 등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센서의 위치를 결정하고, 통일된 시지각을 갖춤으로서 분석을 위한 신호처리 기술을 확보하고, Test-bed 운영 통해서 센서 모니터링 기반의 최적 ‘위험징후 감지장치’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전시 공간 건축물 붕괴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으로부터 대비하고, 안전관리 역량을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최근 노후한 안전관리 미비 시설물의 구조적 결함으로 인한 건축물 및 시설물 붕괴사고 등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축물의 위험징후를 분석하고 계측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

      연구목적: 최근 노후한 안전관리 미비 시설물의 구조적 결함으로 인한 건축물 및 시설물 붕괴사고 등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축물의 위험징후를 분석하고 계측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시지각적 요소를 갖춘 전시공간 건축물 센서 모니터링을 위한 최적의 센서 위치를 결정하는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 설치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위험징후 계측 기기의 구성요소, 설치위치, 기기의 경보 기준, 관리 방안 등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센서의 위치를 결정하고, 통일된 시지각을 갖춤으로서 분석을 위한 신호처리 기술을 확보하고, Test-bed 운영 통해서 센서 모니터링 기반의 최적 ‘위험징후 감지장치’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전시 공간 건축물 붕괴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으로부터 대비하고, 안전관리 역량을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희, "전시공간의 화재안전을 위한 통합적 방재 가이드라인" 대한건축학회 26 (26): 399-407, 2010

      2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Sustainable Repair and Reinforcement Technique for Concrete Structures" Kimoondang 2016

      3 Rice, J. A.,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ensor development for the Imote2 platform"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1-12, 2008

      4 Swartz, R. A., "Design of a wireless sensor for scalable distributed in-network computation in a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1570-1577, 2005

      5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Actual Measurement Analysis for Hazardous Movements of Facilities Based on Sensor Monitoring"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2016

      6 Straser, E. G., "A Modular, Wireless Damage Monitoring System for Structures"

      1 이지희, "전시공간의 화재안전을 위한 통합적 방재 가이드라인" 대한건축학회 26 (26): 399-407, 2010

      2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Sustainable Repair and Reinforcement Technique for Concrete Structures" Kimoondang 2016

      3 Rice, J. A.,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ensor development for the Imote2 platform"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1-12, 2008

      4 Swartz, R. A., "Design of a wireless sensor for scalable distributed in-network computation in a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1570-1577, 2005

      5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Actual Measurement Analysis for Hazardous Movements of Facilities Based on Sensor Monitoring"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2016

      6 Straser, E. G., "A Modular, Wireless Damage Monitoring System for Structur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7-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방재정보학회 -> 한국재난정보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742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