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무용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제 문제 = Issues Caused by the Paradigm Change of College Danc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059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무용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제 문제를 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바람직한 발전 방안을 수립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대학 무용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기존의 문헌 및 자료를 바탕으로, 대학 무용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를3개의 교육기관으로 나누어 대학 무용교육을 비교 및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규 대학의 경우 매년 2000여명의 졸업생을 배출하고 있으나, 교육 경쟁력 향상의 측면에서 학과통폐합이 얼마만큼의 기여를 할지 의문이다. 특히, 지방 교육기관의 학생 유치 및 운영상 어려움의 문제와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일반적으로 지향하는 교육목적 아래, 소속 단과대학이나 교육기관의 특성을 배제한 채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교육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셋째, 정규 대학의 경우 소속 단과대학의 특성 및 교육목표에 따른 무용교육과정의 대부분이 실기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다변화된 교육기관인 학점은행제의 경우 표준교육과정 중 하나인 전공 필수와 전공 선택 과목이 실용무용을 비롯한 무용 유사 전공자들을 위한 과목이 부족하다. 학과의 특성상 전공이 다양하기 때문에 다양한 과목의 개설이 필요하다. 넷째, 중도탈락학생 현황에서는 정규대 학교와 유사한 사유로 중도 탈락 학생이 나왔으나, ‘수업연한초과’로 인한 중도탈락 학생이 교육기관마다 다르므로, 그 실태와 원인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무용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제 문제를 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바람직한 발전 방안을 수립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대학 무용교육의 실태를 파악...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무용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제 문제를 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바람직한 발전 방안을 수립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대학 무용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기존의 문헌 및 자료를 바탕으로, 대학 무용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를3개의 교육기관으로 나누어 대학 무용교육을 비교 및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규 대학의 경우 매년 2000여명의 졸업생을 배출하고 있으나, 교육 경쟁력 향상의 측면에서 학과통폐합이 얼마만큼의 기여를 할지 의문이다. 특히, 지방 교육기관의 학생 유치 및 운영상 어려움의 문제와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일반적으로 지향하는 교육목적 아래, 소속 단과대학이나 교육기관의 특성을 배제한 채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교육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셋째, 정규 대학의 경우 소속 단과대학의 특성 및 교육목표에 따른 무용교육과정의 대부분이 실기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다변화된 교육기관인 학점은행제의 경우 표준교육과정 중 하나인 전공 필수와 전공 선택 과목이 실용무용을 비롯한 무용 유사 전공자들을 위한 과목이 부족하다. 학과의 특성상 전공이 다양하기 때문에 다양한 과목의 개설이 필요하다. 넷째, 중도탈락학생 현황에서는 정규대 학교와 유사한 사유로 중도 탈락 학생이 나왔으나, ‘수업연한초과’로 인한 중도탈락 학생이 교육기관마다 다르므로, 그 실태와 원인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roblems caused by paradigm shift in college dance education and to develop the future development plan.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college dance education and analyzed the paradigm shift in college dance education into three educational institutional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and stat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ular universities produce 2,000 graduates nationwide each year. In this regard, it is doubtful how much contribution the consolidation will make to improving educ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also believed to be related to the difficulty of local educational institutions in attracting and manage students. Second, under the general objective of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ffiliated colleges and universities are excluded. Third, in regular universities, most of the dance curriculum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ir colleges. Due to the diversity of major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open a variety of subjects. Fourth, the status of the drop-out students indicates that the reason for the drop-out was similar to the regular universities, but it is requir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tus of the school-leaved students and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roblems caused by paradigm shift in college dance education and to develop the future development plan.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college dance education and analyzed the paradigm shift i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roblems caused by paradigm shift in college dance education and to develop the future development plan.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college dance education and analyzed the paradigm shift in college dance education into three educational institutional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and stat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ular universities produce 2,000 graduates nationwide each year. In this regard, it is doubtful how much contribution the consolidation will make to improving educ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also believed to be related to the difficulty of local educational institutions in attracting and manage students. Second, under the general objective of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ffiliated colleges and universities are excluded. Third, in regular universities, most of the dance curriculum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ir colleges. Due to the diversity of major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open a variety of subjects. Fourth, the status of the drop-out students indicates that the reason for the drop-out was similar to the regular universities, but it is requir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tus of the school-leaved students and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무용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제 문제를 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바람직한 발전 방안을 수립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대학 무용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기존의 문헌 및 자료를 바탕으로, 대학 무용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를3개의 교육기관으로 나누어 대학 무용교육을 비교 및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규 대학의 경우 매년 2000여명의 졸업생을 배출하고 있으나, 교육 경쟁력 향상의 측면에서 학과통폐합이 얼마만큼의 기여를 할지 의문이다. 특히, 지방 교육기관의 학생 유치 및 운영상 어려움의 문제와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일반적으로 지향하는 교육목적 아래, 소속 단과대학이나 교육기관의 특성을 배제한 채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교육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셋째, 정규 대학의 경우 소속 단과대학의 특성 및 교육목표에 따른 무용교육과정의 대부분이 실기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다변화된 교육기관인 학점은행제의 경우 표준교육과정 중 하나인 전공 필수와 전공 선택 과목이 실용무용을 비롯한 무용 유사 전공자들을 위한 과목이 부족하다. 학과의 특성상 전공이 다양하기 때문에 다양한 과목의 개설이 필요하다. 넷째, 중도탈락학생 현황에서는 정규대 학교와 유사한 사유로 중도 탈락 학생이 나왔으나, ‘수업연한초과’로 인한 중도탈락 학생이 교육기관마다 다르므로, 그 실태와 원인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무용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제 문제를 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바람직한 발전 방안을 수립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대학 무용교육의 실태를 파악...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무용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제 문제를 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바람직한 발전 방안을 수립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대학 무용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기존의 문헌 및 자료를 바탕으로, 대학 무용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를3개의 교육기관으로 나누어 대학 무용교육을 비교 및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규 대학의 경우 매년 2000여명의 졸업생을 배출하고 있으나, 교육 경쟁력 향상의 측면에서 학과통폐합이 얼마만큼의 기여를 할지 의문이다. 특히, 지방 교육기관의 학생 유치 및 운영상 어려움의 문제와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일반적으로 지향하는 교육목적 아래, 소속 단과대학이나 교육기관의 특성을 배제한 채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교육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셋째, 정규 대학의 경우 소속 단과대학의 특성 및 교육목표에 따른 무용교육과정의 대부분이 실기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다변화된 교육기관인 학점은행제의 경우 표준교육과정 중 하나인 전공 필수와 전공 선택 과목이 실용무용을 비롯한 무용 유사 전공자들을 위한 과목이 부족하다. 학과의 특성상 전공이 다양하기 때문에 다양한 과목의 개설이 필요하다. 넷째, 중도탈락학생 현황에서는 정규대 학교와 유사한 사유로 중도 탈락 학생이 나왔으나, ‘수업연한초과’로 인한 중도탈락 학생이 교육기관마다 다르므로, 그 실태와 원인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roblems caused by paradigm shift in college dance education and to develop the future development plan.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college dance education and analyzed the paradigm shift in college dance education into three educational institutional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and stat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ular universities produce 2,000 graduates nationwide each year. In this regard, it is doubtful how much contribution the consolidation will make to improving educ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also believed to be related to the difficulty of local educational institutions in attracting and manage students. Second, under the general objective of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ffiliated colleges and universities are excluded. Third, in regular universities, most of the dance curriculum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ir colleges. Due to the diversity of major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open a variety of subjects. Fourth, the status of the drop-out students indicates that the reason for the drop-out was similar to the regular universities, but it is requir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tus of the school-leaved students and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roblems caused by paradigm shift in college dance education and to develop the future development plan.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college dance education and analyzed the paradigm shift i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roblems caused by paradigm shift in college dance education and to develop the future development plan.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college dance education and analyzed the paradigm shift in college dance education into three educational institutional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and stat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ular universities produce 2,000 graduates nationwide each year. In this regard, it is doubtful how much contribution the consolidation will make to improving educ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also believed to be related to the difficulty of local educational institutions in attracting and manage students. Second, under the general objective of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ffiliated colleges and universities are excluded. Third, in regular universities, most of the dance curriculum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ir colleges. Due to the diversity of major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open a variety of subjects. Fourth, the status of the drop-out students indicates that the reason for the drop-out was similar to the regular universities, but it is requir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tus of the school-leaved students and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대학 무용교육의 개념과 체계의 다양화
      • III. 무용학 전문 교육기관의 비교 및 분석: 정규교육 기관, 실기전문 교육기관, 평생교육기관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 IV.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I. 서론
      • II. 대학 무용교육의 개념과 체계의 다양화
      • III. 무용학 전문 교육기관의 비교 및 분석: 정규교육 기관, 실기전문 교육기관, 평생교육기관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 IV.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