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북한 조선어학의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하여: 『사회과학원학보』와 『조선어문』을 중심으로 = On the Latest Research Trends in North Korean Linguistic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북한의 『사회과학원학보』와 『조선어문』에 나타난 조선어학의 최신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남북 한국어학-조선어학 분야 교류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주제와 연구자등의 정보를 정리한다. 본고에서는 남북의 언어학이 상호보완적 입장에서 상생할 수 있어야 한다는 관점을 토대로, 우선 남한 한국어학계가 북한의 언어사상리론 분야를 적극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상대를 설득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남한 어미류의 단어 지위 인정 문제 및 시점과 관련하여 남북 언어학 교류가 그러한 계기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며, 북한 조선어학의 분야 중 발전 가능성이 예상되는 외국인을 위한 조선어교육 영역에 남한의 견인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밖에도 남북이 함께 논의할 만한 언어학의 주제들을 보임으로써 앞으로의 남북 언어 통합 정책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이 글은 북한의 『사회과학원학보』와 『조선어문』에 나타난 조선어학의 최신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남북 한국어학-조선어학 분야 교류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주제와 연구자등의 정...

      이 글은 북한의 『사회과학원학보』와 『조선어문』에 나타난 조선어학의 최신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남북 한국어학-조선어학 분야 교류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주제와 연구자등의 정보를 정리한다. 본고에서는 남북의 언어학이 상호보완적 입장에서 상생할 수 있어야 한다는 관점을 토대로, 우선 남한 한국어학계가 북한의 언어사상리론 분야를 적극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상대를 설득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남한 어미류의 단어 지위 인정 문제 및 시점과 관련하여 남북 언어학 교류가 그러한 계기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며, 북한 조선어학의 분야 중 발전 가능성이 예상되는 외국인을 위한 조선어교육 영역에 남한의 견인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밖에도 남북이 함께 논의할 만한 언어학의 주제들을 보임으로써 앞으로의 남북 언어 통합 정책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the latest research trends of the Korean language in the North Korean “Gazette of the Academy of Social Sciences” and “Joson Omun (Korean linguistics)”, and summarizes the topics and researchers information needed to prepare for inter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linguistics. In this paper, based on the viewpoint that the linguistics of the south and the north should be mutually complementary, it is suggested that South Korean linguistics should persuade their opponents by actively understanding the field of linguistic ideology in North Korea. In addition, the exchange of linguistics between the two Koreas will provide a momentum to recognize the ending as a word. And South Korea should support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expected to develop in the field of North Korean linguistics. Also I tried to help the future of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integration policy by showing the subjects of linguistics which the two Koreas can discuss together.
      번역하기

      This article analyzes the latest research trends of the Korean language in the North Korean “Gazette of the Academy of Social Sciences” and “Joson Omun (Korean linguistics)”, and summarizes the topics and researchers information needed to prep...

      This article analyzes the latest research trends of the Korean language in the North Korean “Gazette of the Academy of Social Sciences” and “Joson Omun (Korean linguistics)”, and summarizes the topics and researchers information needed to prepare for inter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linguistics. In this paper, based on the viewpoint that the linguistics of the south and the north should be mutually complementary, it is suggested that South Korean linguistics should persuade their opponents by actively understanding the field of linguistic ideology in North Korea. In addition, the exchange of linguistics between the two Koreas will provide a momentum to recognize the ending as a word. And South Korea should support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expected to develop in the field of North Korean linguistics. Also I tried to help the future of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integration policy by showing the subjects of linguistics which the two Koreas can discuss togeth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기 2. 연구 대상과 방법 3. 분석과 논의 4. 나가기
      • 1. 들어가기 2. 연구 대상과 방법 3. 분석과 논의 4. 나가기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