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roposal of Research on Dance Entrepreneurship for the Dance Ecosystem Innov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626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예술 분야는 4차 산업시대에 가장 변화를 맞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며 기술 과 접목한 무형의 예술콘텐츠 활용이 더욱 다양해지면서 산업적 성장과 함께 자생력과 경쟁력 확보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예술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기존의 창작 중심의 활동을 넘어서 예술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를 함께 확장할 수 있도록 앙트러프러너십(entrepreneurship)을 겸비한 예술가의 육성이 요구된다.
      최근 예술분야에서 앙트러프러너십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산업화의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것은 새로운 가치창출과 함께 새로운 기회가 창출된다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그간 우리나라 아트앙트러프러너십의 발현과 방향성은 예술가들의 수평적 네트워크에 기반한 협업이었고 이를 통한 사회의 혁신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무용분야의 댄스 앙트러프러너쉽 연구와 실천이 융합형 연구과정과 결과들을 연계하여 현장에서 댄스 앙트러프러너십 이 활발히 작동할 수 있도록 연구 및 교육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 그리고 경제 적 측면으로 구조화하여 제안한다.
      번역하기

      예술 분야는 4차 산업시대에 가장 변화를 맞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며 기술 과 접목한 무형의 예술콘텐츠 활용이 더욱 다양해지면서 산업적 성장과 함께 자생력과 경쟁력 확보의 가능성이 ...

      예술 분야는 4차 산업시대에 가장 변화를 맞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며 기술 과 접목한 무형의 예술콘텐츠 활용이 더욱 다양해지면서 산업적 성장과 함께 자생력과 경쟁력 확보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예술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기존의 창작 중심의 활동을 넘어서 예술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를 함께 확장할 수 있도록 앙트러프러너십(entrepreneurship)을 겸비한 예술가의 육성이 요구된다.
      최근 예술분야에서 앙트러프러너십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산업화의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것은 새로운 가치창출과 함께 새로운 기회가 창출된다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그간 우리나라 아트앙트러프러너십의 발현과 방향성은 예술가들의 수평적 네트워크에 기반한 협업이었고 이를 통한 사회의 혁신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무용분야의 댄스 앙트러프러너쉽 연구와 실천이 융합형 연구과정과 결과들을 연계하여 현장에서 댄스 앙트러프러너십 이 활발히 작동할 수 있도록 연구 및 교육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 그리고 경제 적 측면으로 구조화하여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코로나19가 문화예술에 미친 영향 및 정책대응방안 연구" 2020

      2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가지접근" 학지사 2012

      3 이성희, "지능정보사회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무용가의 사회참여 확대 방안" 한국무용과학회 36 (36): 1-11, 2019

      4 황인규 ; 이우진 ; 김도현, "제조업 분야 창업가의 기업가정신과 경험특성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학회 12 (12): 189-214, 2017

      5 문영 ; 서예원, "융합형 무용교육자 양성을 위한 교육모형 구조 연구" 대한무용학회 75 (75): 103-122, 2017

      6 송진화, "예술인 창업지원 사례연구" 2019 : 107-110, 2019

      7 송진화 ; 이동수, "예술인 창업교육 지원 사례연구 및 제언" 한국연기예술학회 16 (16): 199-215, 2019

      8 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산업 미래전략 연구보고서" 2016

      9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예술분야 비즈니스 모델 분석을 통한 스타트업 지원 방안 연구" 2016

      10 김보람, "예술대학의 창업교육 교과과정 설계방향에 관한 연구" 91-99, 2011

      1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코로나19가 문화예술에 미친 영향 및 정책대응방안 연구" 2020

      2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가지접근" 학지사 2012

      3 이성희, "지능정보사회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무용가의 사회참여 확대 방안" 한국무용과학회 36 (36): 1-11, 2019

      4 황인규 ; 이우진 ; 김도현, "제조업 분야 창업가의 기업가정신과 경험특성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학회 12 (12): 189-214, 2017

      5 문영 ; 서예원, "융합형 무용교육자 양성을 위한 교육모형 구조 연구" 대한무용학회 75 (75): 103-122, 2017

      6 송진화, "예술인 창업지원 사례연구" 2019 : 107-110, 2019

      7 송진화 ; 이동수, "예술인 창업교육 지원 사례연구 및 제언" 한국연기예술학회 16 (16): 199-215, 2019

      8 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산업 미래전략 연구보고서" 2016

      9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예술분야 비즈니스 모델 분석을 통한 스타트업 지원 방안 연구" 2016

      10 김보람, "예술대학의 창업교육 교과과정 설계방향에 관한 연구" 91-99, 2011

      11 박신의, "예술기업가정신, 개념과 실천영역 - 예술산업 논의와 병행하여 -"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9 (9): 3-27, 2016

      12 강주희 ; 최나영, "예술가 창업지원 정책 개선 방안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12 (12): 51-79, 2017

      13 강주희 ; 김선애 ; 이지연, "예술가 창업 지원 사례 연구 - 예컨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연구소 (14) : 287-321, 2016

      14 김도현 ; 김도형 ; 박계현 ; 이수용 ; 임은천 ; 정동관 ; 정수성 ; 최민혜 ; 최윤수 ; 황병호, "앙트러프러너십은 경영학과 다른 학문인가?" 한국벤처창업학회 12 (12): 1-36, 2017

      15 이우진 ; 손종서 ; 오혜미, "앙트러프러너십 교육과 창업기회인식 역량과의 관계: 숙명여대 앙트러프러너십 전공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3 (13): 71-83, 2018

      16 박신의 ; 장웅조 ; 민정아, "실행연구 방법론을 통한 예술기업가정신 함양 연구" 한국문화경제학회 20 (20): 19-45, 2017

      17 임지영, "미국의 예술 기업가정신 교육 현황 탐색: 4개의 예술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경제학회 19 (19): 91-121, 2016

      18 송남은 ; 장웅조, "디지털 시대의 무용콘텐츠 저작권 이슈와 예술기업가정신 - 비욘세 vs 안느 테레사 사례를 중심으로"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18) : 153-181, 2020

      19 문영 ; 양정현, "대학예술융합교육의 현황연구" 대한무용학회 73 (73): 53-68, 2015

      20 최종인 ; 박치관, "대학 창업교육 핵심 성공요인: 미국 대학 사례의 시사점" 한국벤처창업학회 8 (8): 85-96, 2013

      21 나경아 ; 한석진, "대학 무용과 내 예술 기업가정신 관련 교육과정 분석" 한국무용예술학회 56 (56): 39-56, 2015

      22 강지영 ; 소경희, "국내 교육관련 실행연구(action research) 동향 분석" 교육연구소 12 (12): 197-224, 2011

      23 이성희,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대학무용교육 방향" 대한무용학회 77 (77): 211-227, 2019

      24 Beckman, G. D., "“Adventuring” arts entrepreneurship curricula in higher education:An examination of present efforts, obstacles, and best practices" 37 (37): 87-112, 2007

      25 정종은, "‘예술의 산업화’ 지원정책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연구-예술 스타트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예술경영학회 (43) : 155-184, 2017

      26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코로나19 등 영향으로 예술활동, 수입은 감소했으나 예술활동 계약 체결, 표준계약서 활용 비율은 증가"

      27 Chang, W., "What is arts entrepreneurship? Tracking the development of its definition in scholarly journals" 4 (4): 11-31, 2015

      28 Brandenburg, S., "Toward an adapted business modeling method to improve entrepreneurial skills among art students" 5 (5): 25-33, 2016

      29 White, J. C., "Toward a theory of arts entrepreneurship" 1 (1): 4-23, 2015

      30 Pollard, V., "The ‘entrepreneurial mindset’ in creative and performing arts higher education in Australia" 3 (3): 3-22, 2014

      31 Beckman, G. D., "The entrepreneurship curriculum for music students : Thoughts towards a consensus" 45 : 13-24, 2005

      32 Essig, L., "Same or different? The"cultural entrepreneurship"and"arts entrepreneurship"constructs in European and US higher education" 26 (26): 125-137, 2017

      33 Welsh, D. H. B., "Responding to the needs and challenges of arts entrepreneurs : An exploratory study of arts entrepreneurship in North Carolina higher education" 3 (3): 21-37, 2014

      34 Ezzy, D, "Qualitative Analysis: Practice and Innovation" Routledge 2002

      35 Brown, R., "Performing arts creative enterprise : Approaches to promoting entrepreneurship in arts higher education" 6 (6): 159-167, 2005

      36 Bridgstock, R., "Not a dirty word: Arts entrepreneurship and higher education" 12 (12): 122-137, 2013

      37 Burns, S, "Mapping dance: Entrepreneurship and professional practice in dance higher education" Palatine 2007

      38 Roberts, J., "Infusing entrepreneurship within non-business disciplines : Preparing artist and others for self-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1 (1): 53-63, 2013

      39 Essig, L., "Frameworks for Educating the Artist of the Future : Teaching Habits of Mind for Arts Entrepreneurship" 1 (1): 65-78, 2013

      40 Brown, R, "Entrepreneurship in the creative industries: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Edward Elgar 126-141, 2007

      41 Kolb, B, "Entrepreneurship for the creative and cultural industries" Routledge 2015

      42 Papadopoulos, P. M., "Entrepreneurial pedagogies in the arts @ Aarhus University"

      43 Gangi, J., "Arts entrepreneurship : An essential sub-system of the artist's meta-praxis" 1 (1): 19-47, 2014

      44 Beckman, G. D., "Arts entrepreneurship : A conversation" 1 (1): 1-8, 2012

      45 한국교육개발원, "2019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취업통계연보"

      46 세계일보, "1조 영화시장의 그늘…영화인들 생계 '허덕' 감독 겸 시나리오 작가 최고은씨 죽음으로 본 영화산업"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5 0.71 0.723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