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행정형벌의 입법재량성과 그 한계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legislative discretion on Administrative penalty and the limit of i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615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dministrative penalty is the use of criminall punishment such as a imprisonment or fine to realize administrative purposes. These administrative punishments have the modality of administrative punishments for violating administrative orders or obligations of administrative agencies. This is expanding further from belief that criminal penalties are most efficient to realize administraive purposes. In the expansion of administrative penalty, there is an critical analysis of abuse of criminal punishment on administrative law.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favorable position that the expansion of administrative penalty is a natural phenomenon. In this regard, the Constitutional Court of Justice held that it is essentially the decision of the legislator whether to choose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or criminal punishment separately.
      In this paper, I have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punishment and examined the discretion of the legislature mention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Administrative punishment has the modality that are characterized to promote efficiency and convenience in administration. Therefore, Illegality of punishable act is characterized by harming the efficiency and convenience necessary for administration rather than the moral code of conduct that should be inherent in the criminal law. Even if there is the legislative discretion to determine whether sanctions for violations of administrative duties, it has the limit of discretion. By pointing out the limitations of this discretion, I suggest using the limitations of a direction to prevent the indiscriminate expansion of administrative penalties. In addition, when these limitations are applied to actual administrative punishment, acts that are not criminally illegal or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should be decriminalized.
      번역하기

      Administrative penalty is the use of criminall punishment such as a imprisonment or fine to realize administrative purposes. These administrative punishments have the modality of administrative punishments for violating administrative orders or obliga...

      Administrative penalty is the use of criminall punishment such as a imprisonment or fine to realize administrative purposes. These administrative punishments have the modality of administrative punishments for violating administrative orders or obligations of administrative agencies. This is expanding further from belief that criminal penalties are most efficient to realize administraive purposes. In the expansion of administrative penalty, there is an critical analysis of abuse of criminal punishment on administrative law.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favorable position that the expansion of administrative penalty is a natural phenomenon. In this regard, the Constitutional Court of Justice held that it is essentially the decision of the legislator whether to choose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or criminal punishment separately.
      In this paper, I have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punishment and examined the discretion of the legislature mention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Administrative punishment has the modality that are characterized to promote efficiency and convenience in administration. Therefore, Illegality of punishable act is characterized by harming the efficiency and convenience necessary for administration rather than the moral code of conduct that should be inherent in the criminal law. Even if there is the legislative discretion to determine whether sanctions for violations of administrative duties, it has the limit of discretion. By pointing out the limitations of this discretion, I suggest using the limitations of a direction to prevent the indiscriminate expansion of administrative penalties. In addition, when these limitations are applied to actual administrative punishment, acts that are not criminally illegal or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should be decriminaliz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행정형벌은 행정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형사처벌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행정형벌은 행정청의 조치나 의무를 위반한 경우 이를 형사처벌하는 행정명령위반적 행위양태를 가진다. 현대사회에서 형사법 이외 다른 법영역에서 형사처벌이 행정목적을 달성하는데 효과적이라는 믿음에서 행정형벌은 더욱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행정형벌의 확대와 관련하여 행정의 효율성을 위한 형벌 남용이라는 비판이 있다. 반면, 행정영역에서 형벌부과는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이해하는 견해도 있다. 이에 대하여 헌법재판소는 본질적으로 어떠한 행위에 대하여 행정질서벌 또는 행정형벌을 부과할 것인지는 입법자의 결단이라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행정형벌이 가지는 특징을 살펴보고 헌법재판소가 언급한 입법자의 선택 재량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행정형벌은 행정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측면이 높은 질서범의 성격을 띤 행위들이 많다. 이러한 의무 위반 행위들은 형법규범이 내재하여야할 도덕적 행위규범의 성격보다는 행정에 필요한 효율성과 편의성을 해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행정의무위반행위에 대한 제재를 행정형벌로 할지, 행정질서벌로 할지에 대한 입법 재량도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재량성의 한계로서 명확성원칙 등과 같은 형법상의 원칙과 비례성원칙을 언급하며 행정형벌의 무분별한 확대를 방지하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한계를 실제 행정형벌에 적용할 경우 비범죄화되어야 할 영역을 언급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행정형벌은 행정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형사처벌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행정형벌은 행정청의 조치나 의무를 위반한 경우 이를 형사처벌하는 행정명령위반적 행위양태를 가진다. 현...

      행정형벌은 행정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형사처벌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행정형벌은 행정청의 조치나 의무를 위반한 경우 이를 형사처벌하는 행정명령위반적 행위양태를 가진다. 현대사회에서 형사법 이외 다른 법영역에서 형사처벌이 행정목적을 달성하는데 효과적이라는 믿음에서 행정형벌은 더욱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행정형벌의 확대와 관련하여 행정의 효율성을 위한 형벌 남용이라는 비판이 있다. 반면, 행정영역에서 형벌부과는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이해하는 견해도 있다. 이에 대하여 헌법재판소는 본질적으로 어떠한 행위에 대하여 행정질서벌 또는 행정형벌을 부과할 것인지는 입법자의 결단이라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행정형벌이 가지는 특징을 살펴보고 헌법재판소가 언급한 입법자의 선택 재량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행정형벌은 행정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측면이 높은 질서범의 성격을 띤 행위들이 많다. 이러한 의무 위반 행위들은 형법규범이 내재하여야할 도덕적 행위규범의 성격보다는 행정에 필요한 효율성과 편의성을 해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행정의무위반행위에 대한 제재를 행정형벌로 할지, 행정질서벌로 할지에 대한 입법 재량도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재량성의 한계로서 명확성원칙 등과 같은 형법상의 원칙과 비례성원칙을 언급하며 행정형벌의 무분별한 확대를 방지하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한계를 실제 행정형벌에 적용할 경우 비범죄화되어야 할 영역을 언급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지영, "형사입법의 실제와 주요 형사정책별 입법 평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21

      2 김성룡, "형사벌․행정형벌과 과태료 부과기준 및 산업안전보건법상 처벌규정의 적정성 검토" 비교법학연구소 34 : 61-111, 2011

      3 류전철, "형법상 불법판단에 있어서 행정행위의 종속성" 법학연구소 33 (33): 125-147, 2013

      4 이근우, "형법과 행정법의 교차점" 2014

      5 이상돈, "형법강론" 박영사 2015

      6 이호용 ; 박수희, "행정형벌의 과태료 전환의 이유와 기준에 관한 연구" 한양법학회 (24) : 357-384, 2008

      7 박효근, "행정질서벌의 체계 및 법정책적 개선방안" 한국법정책학회 19 (19): 53-83, 2019

      8 박정일, "행정질서벌에 대한 再考" 법학연구소 25 (25): 229-248, 2009

      9 최봉석, "행정제재와 형벌의 관계에 관한 소고" 한국법제연구원 (40) : 271-301, 2011

      10 남궁배홍, "법정형 입법기준 설정을 위한 현행 형벌규정의 유형별 분류 연구" 국회사무처 법제실 2009

      1 윤지영, "형사입법의 실제와 주요 형사정책별 입법 평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21

      2 김성룡, "형사벌․행정형벌과 과태료 부과기준 및 산업안전보건법상 처벌규정의 적정성 검토" 비교법학연구소 34 : 61-111, 2011

      3 류전철, "형법상 불법판단에 있어서 행정행위의 종속성" 법학연구소 33 (33): 125-147, 2013

      4 이근우, "형법과 행정법의 교차점" 2014

      5 이상돈, "형법강론" 박영사 2015

      6 이호용 ; 박수희, "행정형벌의 과태료 전환의 이유와 기준에 관한 연구" 한양법학회 (24) : 357-384, 2008

      7 박효근, "행정질서벌의 체계 및 법정책적 개선방안" 한국법정책학회 19 (19): 53-83, 2019

      8 박정일, "행정질서벌에 대한 再考" 법학연구소 25 (25): 229-248, 2009

      9 최봉석, "행정제재와 형벌의 관계에 관한 소고" 한국법제연구원 (40) : 271-301, 2011

      10 남궁배홍, "법정형 입법기준 설정을 위한 현행 형벌규정의 유형별 분류 연구" 국회사무처 법제실 2009

      11 박상희, "과태료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법제연구원 1994

      12 윤동호, "고소고발사건 전건입건법제에서 선별입건법제로"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2 (22): 169-192, 2020

      13 박혜림, "감염병예방법에 따른 형사처벌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입법 방향"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9 (29): 151-179, 2021

      14 박원규, "감염병예방법상 이동제한조치에 대한 법적 검토 - 코로나19 관련 독일의 법적상황 및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경찰법학회 18 (18): 105-142, 2020

      15 김명길, "行政罰의 法理 - 行政刑罰과 行政秩序罰의 병과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49 (49): 109-132,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