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황반을 침범하지 않은 망막분지정맥폐쇄에 동반된 황반부종 치료 2예 = Two Cases of Macular Edema Associated with Extramacular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776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황반을 침범하지 않은 망막분지정맥폐쇄에 동반된 황반부종 치료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증례 1) 64세 여성이 우안 상이측의 황반을 침범하지 않은 망막분지정맥폐쇄에 따른 황반부종을 보였다.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과 정맥폐쇄 부위에 레이저 광응고술을 시행하였고, 황반부종 소실과 함께 경성삼출물의 축적을 보였다. 경성삼출물이 흡수되며 교정시력은 0.2에서 0.5로 향상되었다. (증례 2) 53세 남성이 좌안 상이측 혈관궁 바깥쪽의 망막분지정맥폐쇄에 따른 황반부종을 보였다.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을 2회 시행하였고, 정맥폐쇄 부위에 레이저 광응고술을 시행하였다. 황반부종 소실과 함께 경성삼출물의 축적을 보였으나, 경성삼출물이 흡수되며 교정시력은 0.1에서 0.4로 호전되었다. 두 증례 모두 황반부종의 재발을보이지 않았다.
      결론: 황반을 침범하지 않은 망막분지정맥폐쇄에 동반된 황반부종을 베바시주맙 및 레이저 광응고술 복합 요법으로 치료한 증례를 보고한다
      번역하기

      목적: 황반을 침범하지 않은 망막분지정맥폐쇄에 동반된 황반부종 치료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증례 1) 64세 여성이 우안 상이측의 황반을 침범하지 않은 망막분지정맥폐쇄에 ...

      목적: 황반을 침범하지 않은 망막분지정맥폐쇄에 동반된 황반부종 치료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증례 1) 64세 여성이 우안 상이측의 황반을 침범하지 않은 망막분지정맥폐쇄에 따른 황반부종을 보였다.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과 정맥폐쇄 부위에 레이저 광응고술을 시행하였고, 황반부종 소실과 함께 경성삼출물의 축적을 보였다. 경성삼출물이 흡수되며 교정시력은 0.2에서 0.5로 향상되었다. (증례 2) 53세 남성이 좌안 상이측 혈관궁 바깥쪽의 망막분지정맥폐쇄에 따른 황반부종을 보였다.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을 2회 시행하였고, 정맥폐쇄 부위에 레이저 광응고술을 시행하였다. 황반부종 소실과 함께 경성삼출물의 축적을 보였으나, 경성삼출물이 흡수되며 교정시력은 0.1에서 0.4로 호전되었다. 두 증례 모두 황반부종의 재발을보이지 않았다.
      결론: 황반을 침범하지 않은 망막분지정맥폐쇄에 동반된 황반부종을 베바시주맙 및 레이저 광응고술 복합 요법으로 치료한 증례를 보고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report two cases of patients treated for macular edema associated with extramacular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BRVO).
      Case summary: (Case 1) A 64-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macular edema (ME) associated with superotemporal extramacular BRVO. The ME was resolved but hard exudate (HE) deposited after combined therapy of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and laser photocoagulation of the BRVO area.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improved from 0.2 to 0.5 following absorption of HE. (Case 2) A 53-year-old male presented with ME associated with extramacular BRVO outside the superior vascular arcade. ME was treated with 2 monthly injections of bevacizumab and laser photocoagulation in the BRVO area. Although HE deposited after resolution of ME, it was absorbed and BCVA improved from 0.1 to 0.4. The ME did not recur in either patient.
      Conclusions: We report 2 cases managed with combined therapy of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and laser photocoagulation for ME associated with extramacular BRVO.
      번역하기

      Purpose: To report two cases of patients treated for macular edema associated with extramacular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BRVO). Case summary: (Case 1) A 64-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macular edema (ME) associated with superotemporal extramac...

      Purpose: To report two cases of patients treated for macular edema associated with extramacular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BRVO).
      Case summary: (Case 1) A 64-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macular edema (ME) associated with superotemporal extramacular BRVO. The ME was resolved but hard exudate (HE) deposited after combined therapy of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and laser photocoagulation of the BRVO area.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improved from 0.2 to 0.5 following absorption of HE. (Case 2) A 53-year-old male presented with ME associated with extramacular BRVO outside the superior vascular arcade. ME was treated with 2 monthly injections of bevacizumab and laser photocoagulation in the BRVO area. Although HE deposited after resolution of ME, it was absorbed and BCVA improved from 0.1 to 0.4. The ME did not recur in either patient.
      Conclusions: We report 2 cases managed with combined therapy of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and laser photocoagulation for ME associated with extramacular BRVO.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덕수, "황반부종 치료를 위한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의 효용성" 대한안과학회 46 (46): 1650-1656, 2005

      2 이한기, "망막분지정맥폐쇄의 황반부종에 대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효과" 대한안과학회 50 (50): 1800-1808, 2009

      3 Ueda T., "Usefulness of indocyanine green angiography to depict the distant retinal vascular anomalies associated with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causing serous macular detachment" 32 : 308-313, 2012

      4 Ota T., "Subfoveal serous retinal detachment associated with extramacular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7 : 237-241, 2013

      5 Otani T., "Serous macular detachment secondary to distant retinal vascular disorders" 24 : 758-762, 2004

      6 Takahashi K., "Serous macular detachment associated with midperipheral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24 : 299-301, 2004

      7 Yuan A., "Retina, v. 2" Saunders 2013

      8 Christoffersen N., "Precipitation of hard exudate after resorption of intraretinal edema after treatment of retinal branch vein occlusion" 126 : 454-456, 1998

      9 Otani T., "Movement of intraretinal fluid from distant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to the submacular space" 7 : 81-86, 2013

      10 Marmor MF, "Mechanisms of fluid accumulation in retinal edema" 97 : 239-249, 1999

      1 김덕수, "황반부종 치료를 위한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주입의 효용성" 대한안과학회 46 (46): 1650-1656, 2005

      2 이한기, "망막분지정맥폐쇄의 황반부종에 대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의 효과" 대한안과학회 50 (50): 1800-1808, 2009

      3 Ueda T., "Usefulness of indocyanine green angiography to depict the distant retinal vascular anomalies associated with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causing serous macular detachment" 32 : 308-313, 2012

      4 Ota T., "Subfoveal serous retinal detachment associated with extramacular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7 : 237-241, 2013

      5 Otani T., "Serous macular detachment secondary to distant retinal vascular disorders" 24 : 758-762, 2004

      6 Takahashi K., "Serous macular detachment associated with midperipheral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24 : 299-301, 2004

      7 Yuan A., "Retina, v. 2" Saunders 2013

      8 Christoffersen N., "Precipitation of hard exudate after resorption of intraretinal edema after treatment of retinal branch vein occlusion" 126 : 454-456, 1998

      9 Otani T., "Movement of intraretinal fluid from distant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to the submacular space" 7 : 81-86, 2013

      10 Marmor MF, "Mechanisms of fluid accumulation in retinal edema" 97 : 239-249, 1999

      11 Takahashi K., "Massive macular hard exudates associated with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49 : 527-529, 2005

      12 Finkelstein D., "Distant effect of peripheral branch vein occlusion on the macula" 86 : 380-388,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366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