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181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특수교육 현장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은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들에게 주어지는 역할인데, 많은 교사들이 교육과정 운영에 어려움을 경험한다는 선행연구들이 ...

      특수교육 현장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은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들에게 주어지는 역할인데, 많은 교사들이 교육과정 운영에 어려움을 경험한다는 선행연구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들의 교육과정 운영 경험 및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과 제안사항 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통해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을 모색하고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적합한 지원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력 15년 이상의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모든 면담은 일대일 심층면담으로 실시하였다. 모든 면담을 전사본으로 작성 후, 지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대주제 6가지와 하위주제 12가지가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대주제와 하위 주제는 다음과 같다; 교사마다 다른 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 적용의 어려움, 부족한 지원체계, 전문적 자질 문제, 통합학급에서 더 어려운 특수교육 교육과정, 통학학급 교사의 매일의 고민. 논의에서는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과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적합한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며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special education, the operation of curriculum for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is a role given to special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and there are prior studies that many teachers experience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curr...

      In special education, the operation of curriculum for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is a role given to special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and there are prior studies that many teachers experience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curriculum.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special education courses and appropriate support measures for the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courses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special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difficulties and suggestions in operating the curriculum.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pecial and integrated teachers with more than 15 years of experience, and all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one-on-one in-depth interviews. After all the interviews have been prepared in full-length versions, the analysis has resulted in six major subjects and twelve subtopics; each teacher has different curriculum operations,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curriculum, insufficient support systems, professional qualifications, and daily concerns of teachers in integrated classes. In the discussion,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courses for students and appropriate support measures for the operation of curriculum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research were presented and propo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성규,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구조 비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69-90, 2013

      2 이미경, "지체장애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관한 운영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299-325, 2011

      3 박소영, "중학생의 진로 결정 예측변수 탐색 : 머신러닝 기법 적용" 교육연구소 21 (21): 727-753, 2020

      4 김주홍, "중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교사요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433-454, 2007

      5 이미경,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적 지원에 대한 질적 연구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 특수학급 교사 및 특수학교 초등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국립특수교육원 16 (16): 33-65, 2009

      6 이숙정,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특구" 56 (56): 19-42, 2013

      7 박경옥, "중도 지체장애학생의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 13 (13): 1-19, 2011

      8 박향숙, "정신지체학생의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운영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255-280, 2016

      9 정은영, "정신지체 특수학교 과학수업을 통한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253-281, 2006

      10 박재국, "일반학교에 있어서 건강장애학생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123-144, 2012

      1 최성규,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구조 비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69-90, 2013

      2 이미경, "지체장애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관한 운영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299-325, 2011

      3 박소영, "중학생의 진로 결정 예측변수 탐색 : 머신러닝 기법 적용" 교육연구소 21 (21): 727-753, 2020

      4 김주홍, "중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교사요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433-454, 2007

      5 이미경,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적 지원에 대한 질적 연구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 특수학급 교사 및 특수학교 초등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국립특수교육원 16 (16): 33-65, 2009

      6 이숙정,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특구" 56 (56): 19-42, 2013

      7 박경옥, "중도 지체장애학생의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 13 (13): 1-19, 2011

      8 박향숙, "정신지체학생의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운영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255-280, 2016

      9 정은영, "정신지체 특수학교 과학수업을 통한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8 (8): 253-281, 2006

      10 박재국, "일반학교에 있어서 건강장애학생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123-144, 2012

      11 김성원, "소외계층 초등 정보영재학생을 위한 머신러닝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28 (28): 633-634, 2020

      12 김재환, "빅데이터와 머신러닝 기반의 학생 맞춤형 인공지능 STEM 교육 플랫폼" 805-807, 2017

      13 정주영, "교육 내용의 특성에 따른개별화교육계획 교육 목표 개발 방법 고찰"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171-194, 2008

      14 김태강, "광주·전남지역 특수학교 초등특수교사들의 교과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통합교육학회 10 (10): 79-102, 2015

      15 J.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grounded theory" Sage 2007

      16 김동일, "2011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내용 및 운영 실태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49-66,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