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췌)간재의 이기(理氣)에 대한 이해는 주자 이론에 기초함과 동시에 가까이는 율곡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계승한 것이다. 따라서 기(氣)는 유위(有爲)하고, 이(理)는 무위(無...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발췌)간재의 이기(理氣)에 대한 이해는 주자 이론에 기초함과 동시에 가까이는 율곡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계승한 것이다. 따라서 기(氣)는 유위(有爲)하고, 이(理)는 무위(無...
(발췌)간재의 이기(理氣)에 대한 이해는 주자 이론에 기초함과 동시에 가까이는 율곡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계승한 것이다. 따라서 기(氣)는 유위(有爲)하고, 이(理)는 무위(無爲)하다는 것으로 집약된다. 그런데 이(理)가 무위(無爲)하다고 하는 것은 유행의 측면을 말한 것이다. 유행상으로 말하면 이(理)는 기(氣)의 움직임에 따르기 때문에 무위하다고 한 것이다. 그러나 본원상으로 기가 동정하게 되는 것은 반드시 이(理)의 주재(主宰)가 있기 때문이다라고 본다. 그래서 이와 기의 관계를 사(師)와 역(役)으로 비유하고 있다. 이때의 주재는 자연하다는 의미로서, 이(理)가 기(氣)로 하여금 그렇게 하도록 하는 원인으로서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이 아니고, ‘규범(規範)’으로 있으면 기가 그것을 보고 알아서 그 규범대로 한다는 것이다.
국문 초록 (Abstract)
저널명 - 한국사상과 문화;23집;353-371쪽;2004 제출일미상
저널명 - 한국사상과 문화;23집;353-371쪽;2004
제출일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