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지역사회조직화 전략의 중간 결과평가 = 경남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 3년 경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532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주민이 주도하는 건강증진사업으로서 지역사회 조직화 전략인 경상남도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 4년차 지역에서 건강행태를 중심으로 사업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건...

      이 연구는 주민이 주도하는 건강증진사업으로서 지역사회 조직화 전략인 경상남도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 4년차 지역에서 건강행태를 중심으로 사업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은 건강불평등 완화를 목적으로 표준화사망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17개 읍(면, 동)에서 2010년부터 추진되고 있으며, 15-20명으로 구성된 건강위원회가 보건소와 자문 교수의 도움을 받아 우선순위 건강문제를 선정하고, 구체적인 세부 사업 실행을 주도하는 사업이다. 사업 대상 17개 읍(면, 동) 지역에서는 사업 시작 연도인 2010년에, 이 중 6개 지역에서는 사업 4년차인 2013년에도 계통적 표본추출 가구의 19세 이상 성인(가구당 생월일이 가장 빠른 한 명)을 대상으로 가정방문 건강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제 조사율은 2010년 73.9%(범위 45.9-93.2%), 2013년 75.9%(64.5-89.5%)였다. 최종 조사대상자는 2010년 1,320명(지역별 220명), 2013년 1,200명(지역별 200명)이었다. 조사는 2010년과 2013년의 8-10월 사이에 면, 동 지역별로 이루어졌다. 전체 대상자 및 6개 지역 각각에서 주요 건강행태 결과 변수인 남자의 흡연율, 일주일에 5일 이상 걷기 실천율, 2년 내 건강검진율, 40세 이상의 2년 내 위암검진율, 지역사회 행사 참여율, 그리고 인지된 통제력 설문으로 측정된 개인 및 지역사회 수준의 임파워먼트 점수[14]에 대해 2010년과 2013년을 비교하였다.
      남자 흡연율은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47.7%, 2013년 47.4%로 비슷하였다. 일주일에 5일 이상 걷기 실천율은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46.2%, 2013년 35.6%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최근 2년 내 건강검진율은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57.7%, 2013년 63.6%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40세 이상에서 최근 2년 내 위암 검진율은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49.3%, 2013년 55.0%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개인수준의 임파워먼트 평균점수는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7.3, 2013년 7.0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지역사회수준의 임파워먼트 평균점수는 전체 대상자에서 2010년 12.6, 2013년 14.0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3년간의 지역사회조직화 전략은 지역주민의 흡연율 감소나 걷기 실천율의 증가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암검진을 포함한 건강검진율의 향상에는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신뢰성 있는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 organization as a strategy for health promotion. Methods: We used data from community health interviews from 6 administrative sections (eup, myeon, or dong) with high mor...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 organization as a strategy for health promotion.
      Methods: We used data from community health interviews from 6 administrative sections (eup, myeon, or dong) with high mortality from August to October, conducted once in both 2010 and 2013 as part of the Health Plus Happiness Plus Projects based on the concept of community empowerment in Gyeongsangnam-do Province. For 2010,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a systematic sampling of 220 adults from each of the six sections for a total of 1320 subjects, and for 2013, 200 from each section for a total of 1200 subjects. We compared main health behavior indicators and empowerment score between these two years.
      Results: Smoking prevalence in men was 47.4% in 2013, and 47.7% in 2010, respectively. Prevalence of walking 5 days or more per week was 35.6% in 2013, significantly lower than 46.2% in 2010. Also, during that period, both biennial health examination rate and biennial gastric cancer screening rate among those 40 years of age and over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57.7% to 63.6% and from 49.3% to 55.0%, respectively. Mean empowerment score at the community level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12.6 to 14.0.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hree-year implementation of community organization might have helped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of biennial health examinations including cancer screenings in the community. However, this was not the case for smoking cessation and walking.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evidence-based health promo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대상 및 방법
      • 연구 결과
      • 고찰
      • Abstract
      • 서론
      • 대상 및 방법
      • 연구 결과
      • 고찰
      • 요약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경상남도, 경상남도 건강증진사업지원단, "주민주도 건강증진 사업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사업 사례집" 경상남도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12

      2 김장락, "사망률이 높은 지역사회에서 임파워먼트 및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건강수준의 연관성"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37 (37): 131-144, 2012

      3 질병관리본부 건강영양조사과, "건강행태및 만성질환통계(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3차년도(2012) 및 제8차(2012)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4 Eisen A, "Survey of neighborhood-based, comprehensive community empowerment initiatives" 21 (21): 235-252, 1994

      5 Judd J, "Setting standards in the evaluation of community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mes-a unifying approach" 16 (16): 367-380, 2001

      6 Laverack G, "Improving health outcomes through community empowerm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24 (24): 113-120, 2006

      7 "ILO -Evaluation Unit. Midterm evaluations"

      8 Yoon T, "Healthy Upper Bansong Community Project for talking health inequalities in deprived area: the Roseto effect in South Korea?" 2013

      9 Israel BA, "Health education and community empowerment: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perceptions of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community control" 21 (21): 149-170, 1994

      10 Minkler M,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John Willey & Sons, Inc 298-299, 2008

      1 경상남도, 경상남도 건강증진사업지원단, "주민주도 건강증진 사업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사업 사례집" 경상남도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12

      2 김장락, "사망률이 높은 지역사회에서 임파워먼트 및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건강수준의 연관성"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37 (37): 131-144, 2012

      3 질병관리본부 건강영양조사과, "건강행태및 만성질환통계(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3차년도(2012) 및 제8차(2012)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4 Eisen A, "Survey of neighborhood-based, comprehensive community empowerment initiatives" 21 (21): 235-252, 1994

      5 Judd J, "Setting standards in the evaluation of community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mes-a unifying approach" 16 (16): 367-380, 2001

      6 Laverack G, "Improving health outcomes through community empowerm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24 (24): 113-120, 2006

      7 "ILO -Evaluation Unit. Midterm evaluations"

      8 Yoon T, "Healthy Upper Bansong Community Project for talking health inequalities in deprived area: the Roseto effect in South Korea?" 2013

      9 Israel BA, "Health education and community empowerment: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perceptions of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community control" 21 (21): 149-170, 1994

      10 Minkler M,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John Willey & Sons, Inc 298-299, 2008

      11 Mackenzie M, "Health action zones" Routledge 43-66, 2005

      12 Windsor R, "Evaluation of health promotion, health education, and disease prevention programs. 2nd ed" Mayfield Publishing Company 146-156, 1994

      13 Tones K, "Evaluating health promotion: a tale of three errors" 39 : 227-236, 2000

      14 Liao Y1, "Decreases in smoking prevalence in Asian communities served by the Racial and Ethnic Approaches to Community Health (REACH) project" 100 (100): 853-860, 2010

      15 Green LW, "Community health promotion:applying the science of evaluation to the initial sprint of a marathon" 13 (13): 225-228, 1997

      16 Raeburn J, "Community capacity building and health promotion in a globalized world" 21 (21): 84-90, 2007

      17 CART Project Team, "Community action for health promotion: a review of methods and outcomes 1990-1995" 13 (13): 229-239, 1997

      18 Laverack G, "Building capable communities:experiences in a rural Fijian context" 18 (18): 99-106, 2003

      19 CDC: Racial and ethnic approaches to community health(REACH), "Atlanta: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 Laverack G, "A planning framework for community empowerment goals within health promotion" 15 (15): 255-262, 2000

      21 Gibson CH., "A concept analysis of empowerment" 16 (16): 354-361, 1991

      22 정백근, "<사례보고> 경상남도 지역 간 건강불평등 완화사업: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37 (37): 36-51, 2012

      23 김장락, "<사례보고> 건강증진을 위한 참여 학습의 적용 사례"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36 (36): 130-142, 2011

      24 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관리과, "2008-2013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지역사회건강조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8-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KCI등재후보
      2007-06-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촌의학회지 -> 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외국어명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Rural Health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Community Health
      KCI등재후보
      2007-01-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촌의학회 ->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Rural Health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6-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촌의학회 ->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Rural Health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4 1.12 2.09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