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양수명철학에 나타난 인심관 문제 = Issues of the Perspective on the mind Appeared in Liang Shu-ming Philosop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310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양수명은 말년 저작인 『인심과 인생』에서 인심관을 종합하였다. 그는 인심을 진화의 과정 및 사회화의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본능과 이지와 도덕성의 유기적 결합체이며, 생명의 본성을 구현하는 활력소로 여긴다. 그는 인심을 기원의 측면에서 비록 몸으로부터 형성되었을지라도, 형성된 이후에 몸에 대해 반작용하며 몸을 주재할 수 있는 존재로 생각한다. 그는 이러한 자율적이고 주동적이며 영활하고 계획성을 갖춘 자각능동성을 인심의 주요한 특징으로 여긴다. 그런데 이러한 자각능동성의 활동은 외적 요인에 의하지 않고, 그 자체의 내적인 역량에 의해서다.
      또한 양수명은 마음과 도덕적 삶을 긴밀하게 관계시키고, 도덕의 참됨을 자각과 자율에 맡긴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일이 마음을 감동시키는 것은 도덕의식이 그 사회의 보편적인 풍속을 따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사회의 풍속은 역사의 진행 과정에서 형성되는 새로운 질서의식의 필요에 의해 기존 질서에 대해 변화, 개혁, 혁명 등의 상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처럼 양수명은 도덕성의 구현을 생명의 본성을 실현하는 것으로 여긴다. 이러한 삶은 타율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마음의 자각능동성에 의해 자율적으로 형성된다. 마음과 생명과 도덕성의 연계에 관한 그의 이러한 관점은 한편으로 전통 유학 가운데 기철학적 계열을 계승한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 모택동의 주관능동성에 관한 이론을 계승한 것이다.
      번역하기

      양수명은 말년 저작인 『인심과 인생』에서 인심관을 종합하였다. 그는 인심을 진화의 과정 및 사회화의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본능과 이지와 도덕성의 유기적 결합체이며, 생명의 본성을 ...

      양수명은 말년 저작인 『인심과 인생』에서 인심관을 종합하였다. 그는 인심을 진화의 과정 및 사회화의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본능과 이지와 도덕성의 유기적 결합체이며, 생명의 본성을 구현하는 활력소로 여긴다. 그는 인심을 기원의 측면에서 비록 몸으로부터 형성되었을지라도, 형성된 이후에 몸에 대해 반작용하며 몸을 주재할 수 있는 존재로 생각한다. 그는 이러한 자율적이고 주동적이며 영활하고 계획성을 갖춘 자각능동성을 인심의 주요한 특징으로 여긴다. 그런데 이러한 자각능동성의 활동은 외적 요인에 의하지 않고, 그 자체의 내적인 역량에 의해서다.
      또한 양수명은 마음과 도덕적 삶을 긴밀하게 관계시키고, 도덕의 참됨을 자각과 자율에 맡긴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일이 마음을 감동시키는 것은 도덕의식이 그 사회의 보편적인 풍속을 따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사회의 풍속은 역사의 진행 과정에서 형성되는 새로운 질서의식의 필요에 의해 기존 질서에 대해 변화, 개혁, 혁명 등의 상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처럼 양수명은 도덕성의 구현을 생명의 본성을 실현하는 것으로 여긴다. 이러한 삶은 타율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마음의 자각능동성에 의해 자율적으로 형성된다. 마음과 생명과 도덕성의 연계에 관한 그의 이러한 관점은 한편으로 전통 유학 가운데 기철학적 계열을 계승한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 모택동의 주관능동성에 관한 이론을 계승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ang Shu-ming have synthesized Perspective on the mind from the last time books, such as mind and life. He considers mind as an organic combination of instinct, intellect, and morality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evolution and socialization, and regards it as a elements of vitality for realizing the nature of life. He regards the mind as being capable of resisting and presiding over the body after its formation, even if formed from the body, in terms of origin. He considers these autonomous, subjective, vigorous and planned self-awareness activities as a key feature of mind. However, the activity of this self-awareness activities is not by external factors but by its own internal capabilities.
      In addition, Liang Shu-ming relate closely to the mind and moral life, and entrust the truth of morality to self-awareness and autonomy. According to his view, the working are touching the mind because the moral consciousness follows the universal customs of the society. However, the customs of this society can cause changes, reforms, revolutions, etc, to existing order by the necessity of new order consciousness formed in the process of history.
      Thus, Liang Shu-ming regards the realization of morality to realize the nature of life. This life is formed not autonomously but autonomously by the self-awareness activities of the mind. This life is formed not external rule but autonomously by the self-awareness activities of the mind. His view of the connection between mind, life, and morality is, on the one hand, inherited from the Qi(氣) philosophy of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hip, and on the other hand, inheriting the theory of Mao's subjective autonomy.
      번역하기

      Liang Shu-ming have synthesized Perspective on the mind from the last time books, such as mind and life. He considers mind as an organic combination of instinct, intellect, and morality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evolution and socialization, and re...

      Liang Shu-ming have synthesized Perspective on the mind from the last time books, such as mind and life. He considers mind as an organic combination of instinct, intellect, and morality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evolution and socialization, and regards it as a elements of vitality for realizing the nature of life. He regards the mind as being capable of resisting and presiding over the body after its formation, even if formed from the body, in terms of origin. He considers these autonomous, subjective, vigorous and planned self-awareness activities as a key feature of mind. However, the activity of this self-awareness activities is not by external factors but by its own internal capabilities.
      In addition, Liang Shu-ming relate closely to the mind and moral life, and entrust the truth of morality to self-awareness and autonomy. According to his view, the working are touching the mind because the moral consciousness follows the universal customs of the society. However, the customs of this society can cause changes, reforms, revolutions, etc, to existing order by the necessity of new order consciousness formed in the process of history.
      Thus, Liang Shu-ming regards the realization of morality to realize the nature of life. This life is formed not autonomously but autonomously by the self-awareness activities of the mind. This life is formed not external rule but autonomously by the self-awareness activities of the mind. His view of the connection between mind, life, and morality is, on the one hand, inherited from the Qi(氣) philosophy of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hip, and on the other hand, inheriting the theory of Mao's subjective autonom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석표, "梁漱溟의 동서문화론과 중국문화부흥의 학술적 담론" 중국어문학회 (35) : 39-76, 2011

      2 최홍식, "梁漱溟 文化哲學의 理論體系에 관한 연구" 동양철학연구회 33 : 361-392, 2003

      3 권용옥, "현대신유가의 창시자 양수명" 29 (29): 1999

      4 송종서, "현대 신유학의 형이상학과 문화의식 : 신육왕학 계열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5 황종원, "처음읽는 중국 현대철학" 동녘 2016

      6 강중기, "양수명의 현대 신유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7 김덕균, "양수명의 유가철학 이해" 동양철학연구회 28 : 339-364, 2002

      8 최홍식, "양수명의 문화철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9 이철승, "마오쩌둥(毛泽东) : 현대중국의 초석과 철학사상" 태학사 2007

      10 신정근, "량수밍[梁潄溟] 문화철학의 動線 : 근대의 모방과 좌절에서 탈근대의 기획과 선취로" 동양철학연구회 (58) : 265-300, 2009

      1 홍석표, "梁漱溟의 동서문화론과 중국문화부흥의 학술적 담론" 중국어문학회 (35) : 39-76, 2011

      2 최홍식, "梁漱溟 文化哲學의 理論體系에 관한 연구" 동양철학연구회 33 : 361-392, 2003

      3 권용옥, "현대신유가의 창시자 양수명" 29 (29): 1999

      4 송종서, "현대 신유학의 형이상학과 문화의식 : 신육왕학 계열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5 황종원, "처음읽는 중국 현대철학" 동녘 2016

      6 강중기, "양수명의 현대 신유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7 김덕균, "양수명의 유가철학 이해" 동양철학연구회 28 : 339-364, 2002

      8 최홍식, "양수명의 문화철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9 이철승, "마오쩌둥(毛泽东) : 현대중국의 초석과 철학사상" 태학사 2007

      10 신정근, "량수밍[梁潄溟] 문화철학의 動線 : 근대의 모방과 좌절에서 탈근대의 기획과 선취로" 동양철학연구회 (58) : 265-300, 2009

      11 김성재, "갑골에 새겨진 신화와 역사" 동녘출판사 2000

      12 陸九淵, "雜說"

      13 王夫之, "讀四書大全說"

      14 許愼, "說文解字注" 天工書局 1987

      15 "詩經"

      16 연재흠, "現代新儒學의 形成과 展開 : 梁漱溟과 熊十力을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연구회 (22) : 361-418, 2007

      17 "毛泽东选集 第2卷, 「论持久戰」"

      18 "毛泽东选集 第1卷, 「實踐论」"

      19 張載, "正蒙"

      20 梁漱溟, "東西文化及其哲學" 山東人民出版社 1989

      21 王夫之, "尙書引義"

      22 "孟子"

      23 "國語"

      24 "周易"

      25 王守仁, "傳習錄"

      26 梁漱溟, "人心與人生" 三聯書店(香港)有限公司 1985

      27 中國 山東大學 儒學高等硏究院, "『梁漱溟鄉村建設理論與當代鄉村振興國際學術研討會』論文集"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5-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교사상연구 -> 유교사상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STUDY OF CONFUCIANISM -> THE STUDY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Y OF CONFUCIANISM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1.43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