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4
2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4
3 허영, "헌법이론과 헌법" 박영사 2015
4 헌법연구자문위원회, "헌법연구자문위원회 결과보고서" 2009
5 국회 법제실, "헌법개정 자문위원회 헌법개정안"
6 국회도서관, "핀란드 시민발의법" 2017
7 이우영, "직접민주주의제도에 대한 입법학적 관점에서의 분석-국민발안(Initiative) 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입법학회 3 : 2008
8 정상호, "직접민주주의의 국제 현황과 이론적 쟁점에 관한 연구: 국민투표ㆍ국민발안ㆍ국민소환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16 (16): 3-47, 2018
9 최희경, "직접민주주의로서의 국민입법" 법학연구소 22 (22): 179-208, 2017
10 장용근, "직접민주주의규정의 헌법개정에 대한 검토" 한국헌법학회 12 (12): 2006
1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4
2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4
3 허영, "헌법이론과 헌법" 박영사 2015
4 헌법연구자문위원회, "헌법연구자문위원회 결과보고서" 2009
5 국회 법제실, "헌법개정 자문위원회 헌법개정안"
6 국회도서관, "핀란드 시민발의법" 2017
7 이우영, "직접민주주의제도에 대한 입법학적 관점에서의 분석-국민발안(Initiative) 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입법학회 3 : 2008
8 정상호, "직접민주주의의 국제 현황과 이론적 쟁점에 관한 연구: 국민투표ㆍ국민발안ㆍ국민소환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16 (16): 3-47, 2018
9 최희경, "직접민주주의로서의 국민입법" 법학연구소 22 (22): 179-208, 2017
10 장용근, "직접민주주의규정의 헌법개정에 대한 검토" 한국헌법학회 12 (12): 2006
11 정재각, "직접민주제도의 확산과 정책적 영향 - 스위스를 중심으로 -" 한독사회과학회 18 (18): 9-47, 2008
12 장영수, "직접민주제 강화 개헌의 쟁점과 성공조건" 한양법학회 28 (28): 59-90, 2017
13 차진아, "시민의 입법참여와 헌법 - 국민발안제 도입논의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42 (42): 214-238, 2018
14 "스위스헌법"
15 유홍채, "민주주의 원리로서 국민발안제 도입의 필요성" 한국정치정보학회 21 (21): 129-156, 2018
16 "미국 캘리포니아 주 헌법"
17 김문현, "대화문화아카데미 2016 새헌법안" 대화문화아카데미 2016
18 "대한민국헌법 개정안 (국회의안정보시스템)"
19 송석윤, "대표제개념의 헌법사적 연구" 한국헌법학회 6 (6): 2000
20 권영설, "대의민주주의와 직접민주주의- 그 긴장과 조화의 과제" 한국공법학회 33 (33): 125-158, 2004
21 박경철, "대의민주주의국가에서 직접민주제적 제도의 헌법적 의미" 한국토지공법학회 29 : 483-510, 2005
22 김종철, "권력구조 및 사법개혁과 관련된 헌법개정안 검토― ‘대통령 4년 1차연임제 개헌안’의 내용과 특징을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46 (46): 29-64, 2018
23 김종철, "권력구조 개헌의 기본방향과 내용 : 견제적・균형적 민주주의론을 토대로" 서울대학교 법학평론편집위원회 (8) : 2018
24 "국회회의록 시스템"
25 국회헌법개정특별위원회 자문위원회, "국회헌법개정특별위원회 자문위원회 보고서" 2018
26 최정인, "국민발안제 도입 관련 쟁점" 국회입법조사처 2017
27 김종서, "광장 한 가운데서, 촛불 이후를 생각한다" 민주주의법학연구회 (63) : 77-137, 2017
28 Ian Budge, "The New Challenge of Direct Democracy" Polity Press 1996
29 Venice Commission, "Referendums in Europe -An Analysis of the Legal Rules in Europe States"
30 Julian N. Eule, "Judicial Review of Direct Democracy" 99 (99): 1990
31 Joshua J. Dyck, "Initiatives without Engagement: A Realistic Appraisal of Direct Democracy’s Secondary Effect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9
32 Gregory A. Fossedal, "Direct democracy in Switzerland" Transaction Publishers 2002
33 Thomas E. Cronin, "Direct Democracy : the Politics of Initiative, Referendum, and Recall"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34 Shauna Reilly, "Direct Democracy : A Double-edged Sword" Lynne Rienner Publishers 2018
35 Matt Qvortrup, "Direct Democracy : A Comparative Study of the Theory and Practice of Government by the Peop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17
36 David Altman, "Citizenship and Contemporary Direct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
37 송석윤, "4월 혁명의 헌정사적 영향과 의회민주주의 실현의 과제 - 헌법개정 및 정치개혁과 관련하여 -" 한국헌법학회 16 (16): 147-192, 2010
38 장영수, "2018년 3월 26일 발의된 대통령 개헌안의 문제점 ― 권력구조를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46 (46): 1-27, 2018
39 정재황, "2014년 국회 헌법개정자문위원회 개헌안에 대한 검토"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3 (23): 1-84,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