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뉴스를 소비하는 개인이 의도적으로 뉴스를 찾아보는 행위 없이도 사회적으로 중요한 쟁점들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뉴스파인즈미(News-Finds-Me; NFM)의 개념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074078
2020
Korean
뉴스파인즈미(News-Finds-Me ; NFM) ; 인지된 뉴스파인즈미 ; 소셜미디어 ; 전통매체 ; 뉴스 소비 ; 뉴스 주제 ; News-Find-Me ; News-Find-Me Perception ; SNS ; Traditional Media ; News Consumption ; News Topic
KCI등재
학술저널
227-257(3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뉴스를 소비하는 개인이 의도적으로 뉴스를 찾아보는 행위 없이도 사회적으로 중요한 쟁점들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뉴스파인즈미(News-Finds-Me; NFM)의 개념을 ...
본 연구는 뉴스를 소비하는 개인이 의도적으로 뉴스를 찾아보는 행위 없이도 사회적으로 중요한 쟁점들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뉴스파인즈미(News-Finds-Me; NFM)의 개념을 하나의 뉴스 소비 형태로 보고 소셜미디어(SNS)의 이용, NFM 인식, NFM 만족도, 전통매체를 통한 뉴스 이용의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또한, 뉴스의 주제를 경성/연성으로 구분한 후 NFM 인식과 NFM 만족도에 뉴스 주제별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인터넷 사용량이 높은 20-30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먼저 SNS 이용량은 NFM 인식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NFM 인식은 전통매체를 통한 뉴스 이용의도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FM 뉴스 만족도는 NFM 인식과 전통매체를 통한 뉴스 이용의도와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NFM 인식이 높고, NFM 뉴스 만족도가 높은 경우 전통매체를 통한 뉴스 이용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경성뉴스 이용은 NFM 인식과 부(-)적 관계를 나타낸 것과 반대로 연성뉴스 이용은 NFM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NFM 뉴스 만족도의 경우 뉴스 주제에 상관없이 모두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이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siders "News-Finds-Me" (NFM), the concept that individuals who refrain from intentionally searching for news can continue to obtain information on socially important issues without intentionality, and its relationships with SNS usage, NF...
This study considers "News-Finds-Me" (NFM), the concept that individuals who refrain from intentionally searching for news can continue to obtain information on socially important issues without intentionality, and its relationships with SNS usage, NFM perception, NFM satisfaction, and using traditional media. Categorizing news topics as either "hard" or "soft", we examined the influence news topics had on NFM perception and NFM satisfaction. Through a survey targeting those in their 20-30s, a cohort with high internet usage, this study found that as SNS usage increases, NFM perception increases, and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news-finding intentionality in traditional media. Furthermore, NFM satisfaction was found to indirectly influence NFM perception and intentionality in traditional media. Lastly, while the degree of influence on NFM perception depended on whether the news topic was considered hard or soft new, both categories showed significant influences for NFM satisfac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정욱, "한중 수용자의 뉴스 미디어 신뢰도 비교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0 (30): 115-152, 2013
2 송경재, "포털 저널리즘의 등장과 의제설정: 의제설정 과정의 문제와 대안을 중심으로" 2005
3 최민재, "포털 사이트 뉴스서비스의 의제설정 기능에 관한 연구 : 제공된 뉴스와 선호된 뉴스의 특성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437-463, 2006
4 임종수, "포털 미디어 재매개에서의 뉴스 소비 하나의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회 19 (19): 8-46, 2005
5 김효경, "포털 모바일 18대 대선 뉴스 서비스의 공정성과 여론조사 비교 연구: 네이버와 다음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0 (30): 5-40, 2013
6 반현, "포털 뉴스와 기존 뉴스 매체의 이용행위에 대한상관관계성 연구" 한국언론학회 51 (51): 399-426, 2007
7 한진만, "텔레비전 뉴스의 연성화에 관한 연구: KBS 1, MBC, SBS 의 주시청시간대 뉴스를 중심으로" 15 (15): 333-366, 2001
8 정수영, "지상파TV 3사 종합뉴스프로그램의 무보도와 단독보도 뉴스에 관한 연구 : 뉴스 주제와 뉴스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6 (26): 265-309, 2012
9 김위근, "젊은 세대의 뉴스 미디어 이용: 현황과 전망" 한국언론진흥재단 2013
10 안종묵, "인터넷 미디어의 뉴스서비스에 관한 비교 연구:포털사이트와 신문사닷컴의 관련뉴스, 하이퍼링크, 댓글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7 (7): 335-372, 2007
1 장정욱, "한중 수용자의 뉴스 미디어 신뢰도 비교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0 (30): 115-152, 2013
2 송경재, "포털 저널리즘의 등장과 의제설정: 의제설정 과정의 문제와 대안을 중심으로" 2005
3 최민재, "포털 사이트 뉴스서비스의 의제설정 기능에 관한 연구 : 제공된 뉴스와 선호된 뉴스의 특성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437-463, 2006
4 임종수, "포털 미디어 재매개에서의 뉴스 소비 하나의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회 19 (19): 8-46, 2005
5 김효경, "포털 모바일 18대 대선 뉴스 서비스의 공정성과 여론조사 비교 연구: 네이버와 다음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0 (30): 5-40, 2013
6 반현, "포털 뉴스와 기존 뉴스 매체의 이용행위에 대한상관관계성 연구" 한국언론학회 51 (51): 399-426, 2007
7 한진만, "텔레비전 뉴스의 연성화에 관한 연구: KBS 1, MBC, SBS 의 주시청시간대 뉴스를 중심으로" 15 (15): 333-366, 2001
8 정수영, "지상파TV 3사 종합뉴스프로그램의 무보도와 단독보도 뉴스에 관한 연구 : 뉴스 주제와 뉴스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6 (26): 265-309, 2012
9 김위근, "젊은 세대의 뉴스 미디어 이용: 현황과 전망" 한국언론진흥재단 2013
10 안종묵, "인터넷 미디어의 뉴스서비스에 관한 비교 연구:포털사이트와 신문사닷컴의 관련뉴스, 하이퍼링크, 댓글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7 (7): 335-372, 2007
11 김위근, "인터넷 뉴스미디어, 한국의 뉴스 미디어" 한국언론진흥재단 148-174, 2013
12 김사승, "인공지능 시대의 뉴스 제작과 소비" 60 (60): 188-261, 2018
13 최영, "온라인 뉴스이용에 관한 연구 : 조선닷컴 뉴스의 연성화 및 제목 선정성과 조회수간의 상관관계"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7 (17): 31-53, 2009
14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2019
15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2017
16 이미나, "소셜미디어에서의 뉴스 정보 수용과 전통 미디어 뉴스 읽기의 비교: 카카오톡의 대화와 신문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81 (81): 299-328, 2017
17 한국언론진흥재단, "소셜미디어 이용자 조사" 2017
18 김영주, "소셜 뉴스 유통 플랫폼: SNS와 뉴스 소비" 한국언론진흥재단 2014
19 김영주, "소셜 뉴스 유통 플랫폼: SNS와 뉴스 소비" 한국언론진흥재단 2014
20 루홍위, "바일 뉴스 콘텐츠의 정보품질 요소가사용자 만족도와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31 (31): 113-132, 2015
21 이언 데브루, "미디어의 이해" 명인문화사 2016
22 김선호, "모바일 뉴스 포맷과 디자인" 한국언론진흥재단 2015
23 터크만, "메이킹 뉴스: 현대사회와 현실의 재구성 연구" 나남출판 1995
24 김인숙, "매체 유형에 따른 정보생산자와 정보이용자 상호인식에 관한 연구: 경성매체와 연성매체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2 (12): 73-101, 2004
25 닐슨코리아, "닐슨코리아 미디어 리포트" 2020
26 조윤성, "뉴스의 제공 형태 차이에 따른 호감도·이해도·신뢰도·만족도·지속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383-391, 2017
27 이정훈, "뉴스 리터러시 자기 효능감의 뉴스콘텐츠 이용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20대 뉴스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80-190, 2013
28 최진봉, "뉴미디어 시대 뉴스 소비자들의 뉴스 콘텐츠 소비실태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7 (17): 207-218, 2017
29 박광순, "기포털사이트 프론트(front)페이지 뉴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성/경성뉴스, 소제목, 하이퍼링크, 뉴스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199-226, 2006
30 김영주, "국민의 뉴스소비" 한국언론진흥재단 2010
31 Hermida, A., "Twittering the news: The emergence of ambient journalism" 4 (4): 297-308, 2010
32 Bell, E., "The rise of mobile and social news and what it means for journalism" Reuters Institute 2015
33 Schramm, W., "The nature of news" 26 : 259-269, 1949
34 Alves, R. C., "The future of online journalism: mediamorphosis or mediacide?" 3 (3): 63-72, 2001
35 Pariser, Eli, "The filter bubble: What the Internet is hiding from you" Penguin 2011
36 Strömbäck, Jesper, "The dynamics of political interest and news media consumption: A longitudinal perspective" 25 (25): 414-435, 2013
37 Gil de Zuniga, H., "The citizen communication mediation model across countries: A multilevel mediation model of news use and discussion on political participation" 69 (69): 144-167, 2019
38 Lancaster, L. C., "The M-factor" 66-70, 2010
39 J. Abbruzzese, "The Full New York Times Innovation Report"
40 Shehata, Adam, "Television channel content profiles and differential knowledge growth: A test of the inadvertent learning hypothesis using panel data" 32 (32): 377-395, 2015
41 Kim, Y., "Stumbling upon news on the Internet: Effects of incidental news exposure and relative entertainment use on political engagement" 29 (29): 2607-2614, 2013
42 Pew Research Center, "State of the News Media"
43 Gil de Zuniga, H., "Social media and democracy" 27 (27): 1172-1180, 2018
44 Hopmann, David-Nicholas, "Selective media exposure and increasing knowledge gaps in Swiss referendum campaigns" 28 (28): 73-95, 2016
45 Bode, Leticia, "Political news in the news feed: Learning politics from social media" 19 : 24-48, 2016
46 Mitchell, A., "Pathways to news"
47 Hübner, A., "Operations management in multi-channel retailing: an exploratory study" 8 (8): 84-100, 2015
48 Gil de Zuniga, H., "News Finds Me Perception and Democracy: Effects on Political Knowledge, Political Interest, and Voting" 14 (14): 1-19, 2018
49 Hübner, A., "Last mile fulfilment and distribution in omni-channel grocery retailing: A strategic planning framework" 44 (44): 228-247, 2016
50 Ward, M., "Journalism online" Focal Press 2002
51 Segado-Boj, F., "Influence of the 'News Finds Me' Perception on News Sharing and News Consumption on Social Media" 10 (10): 2019
52 Reinemann, C., "Hard and soft news: A review of concepts, operationalizations and key findings" 13 (13): 221-239, 2011
53 Gil de Zuniga, H., "Effects of the news-finds-me perception in communication: Social media use implications for news seeking and learning about politics" 22 (22): 105-123, 2017
54 Prensky, M.,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part 1" 9 (9): 1-6, 2001
55 Bimber, Bruce, "Digital media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moderating role of political interest across acts and over time" 33 (33): 21-42, 2015
56 Reuters, "Digital News Report 2019" 2019
57 Reuters, "Digital News Report 2017" 2017
58 Eveland Jr, W. P., "Beyond deliberation: New directions for the study of informal political conversation from a communication perspective" 61 (61): 1082-1103, 2011
59 Fletcher, R., "Are people incidentally exposed to news on social media? A comparative analysis" 20 (20): 2450-2468, 2018
60 Müller, Philipp, "Appetizer or main dish? Explaining the use of Facebook news posts as a substitute for other news sources" 65 : 431-441, 2016
61 Sunstein, Cass, "#Republic: Divided democracy in the age of social med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
지역화폐 기획과 운영 간 상호 조응성에 관한 연구: 지역사랑상품권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에서의 연동형 비례대표제 실험: 21대 총선을 통해 본 선거제도와 정당체제
The Creation of the Korean Welfare State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7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5 | 0.87 | 0.865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