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여성의 ‘인적자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The Effect of Korean Women's Human Capital on the Employ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220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개인들의 노동공급행위를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 중 하나인 ‘인적 자본론’이 여성들의 취업특성을 설명하는 데에 여전히 유효한지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여성들이 지닌 인적자본이 여성들의 취업결정과 취업직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했다. 이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가설은 크게 두 가지로서, 첫째는 여성들의 인적자본이 여성들의 취업률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이며, 둘째는 여성들의 인적 자본이 여성들의 취업직종에는 어떤 영항을 미치는지이다. 한국사회 고학력 여성들의 경제활동참여율이 매우 저조하다는 데에서 알 수 있듯이, 여성들이 지닌 인적자본이 여성들의 취업률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점이 이 연구의 주된 가설이다. 하지만 일단 취업을 한 여성들의 경우에는 그들이 갖고 있는 인적자본이 취업직종에서는 상당한 설명력을 지닐 것으로 여겨져 이러한 내용으로 두 번째 가설이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가설에서 설정한 대로 인적자본론의 이론적 예측과 달리, 여성들의 취업결정에 인적자본은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거나 혹은 정반대로 부(-)적인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장 중요한 인적자본 중의 하나인 ‘학력’의 효과를 살펴보면, 학력이 높을수록 뚜렷하게 일률적으로 취업률이 낮아짐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그밖에, 여성들이 지닌 자격증이나 취업훈련 여부, 또 건강 상태 등과 같은 인적자본 요소도 여성들의 취업결정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적자본은 여성들의 취업직종에는 상당한 정도의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 분석결과도 실질적인 내용을 따져보니 그다지 유효한 영향 효과라고 보기 어려웠다. 취업직종과 연령 및 학력과의 회귀분석결과 여성 취업직종의 열악한 상황을 재확인해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사회 여성들의 인적자본은 여성들의 취업 결정 및 취업유형에 의미있는 변수가 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개인들의 노동공급행위를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 중 하나인 ‘인적 자본론’이 여성들의 취업특성을 설명하는 데에 여전히 유효한지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했다. 구체적으로 ...

      이 연구는 개인들의 노동공급행위를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 중 하나인 ‘인적 자본론’이 여성들의 취업특성을 설명하는 데에 여전히 유효한지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여성들이 지닌 인적자본이 여성들의 취업결정과 취업직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했다. 이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가설은 크게 두 가지로서, 첫째는 여성들의 인적자본이 여성들의 취업률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이며, 둘째는 여성들의 인적 자본이 여성들의 취업직종에는 어떤 영항을 미치는지이다. 한국사회 고학력 여성들의 경제활동참여율이 매우 저조하다는 데에서 알 수 있듯이, 여성들이 지닌 인적자본이 여성들의 취업률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점이 이 연구의 주된 가설이다. 하지만 일단 취업을 한 여성들의 경우에는 그들이 갖고 있는 인적자본이 취업직종에서는 상당한 설명력을 지닐 것으로 여겨져 이러한 내용으로 두 번째 가설이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가설에서 설정한 대로 인적자본론의 이론적 예측과 달리, 여성들의 취업결정에 인적자본은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거나 혹은 정반대로 부(-)적인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장 중요한 인적자본 중의 하나인 ‘학력’의 효과를 살펴보면, 학력이 높을수록 뚜렷하게 일률적으로 취업률이 낮아짐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그밖에, 여성들이 지닌 자격증이나 취업훈련 여부, 또 건강 상태 등과 같은 인적자본 요소도 여성들의 취업결정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적자본은 여성들의 취업직종에는 상당한 정도의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 분석결과도 실질적인 내용을 따져보니 그다지 유효한 영향 효과라고 보기 어려웠다. 취업직종과 연령 및 학력과의 회귀분석결과 여성 취업직종의 열악한 상황을 재확인해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사회 여성들의 인적자본은 여성들의 취업 결정 및 취업유형에 의미있는 변수가 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of Korean women's human capital on their employment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which Korean women's human capital increase the rate of women's employment. And then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which Korean women's human capital affect the kind of women's job. In general, women's representative human capital indicates the educational attainment, the training of job skill, the certificate of job, and the their health. Human capital theoriests insist that individual's human capital determines the participation into the labor market, the type of job and wage. But in Korea it is well known that highly educated women's rate of employment is very low. The method of this research is logit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cross-sectional data.
      We find in this research that women's human capital does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women's employment rate. The longer women's schooling period is, the less women's participation rates into the labor market are. Women's training of job skill, certificate of job and health does not also have a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ir employment rate. Besides women's human capital does not affect the kind of job. So human capital theory is very limited explanation on Korean women's economic activities.
      번역하기

      This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of Korean women's human capital on their employment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which Korean women's human capital increase the rate of women's employment. And then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which Korean wo...

      This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of Korean women's human capital on their employment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which Korean women's human capital increase the rate of women's employment. And then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which Korean women's human capital affect the kind of women's job. In general, women's representative human capital indicates the educational attainment, the training of job skill, the certificate of job, and the their health. Human capital theoriests insist that individual's human capital determines the participation into the labor market, the type of job and wage. But in Korea it is well known that highly educated women's rate of employment is very low. The method of this research is logit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cross-sectional data.
      We find in this research that women's human capital does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women's employment rate. The longer women's schooling period is, the less women's participation rates into the labor market are. Women's training of job skill, certificate of job and health does not also have a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ir employment rate. Besides women's human capital does not affect the kind of job. So human capital theory is very limited explanation on Korean women's economic activ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국어 초록
      • Ⅰ. 문제 제기
      • Ⅱ. ‘인적자본론(human capital theory)’에 대한 비판적 검토
      • Ⅲ. 연구가설과 연구방법
      • Ⅳ. 분석 결과
      • 한국어 초록
      • Ⅰ. 문제 제기
      • Ⅱ. ‘인적자본론(human capital theory)’에 대한 비판적 검토
      • Ⅲ. 연구가설과 연구방법
      • Ⅳ. 분석 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