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주공의 종합 공정관리 전산시스템 구축시안(Ⅰ)  :  (A Study on a Plan for the Operation Improvement of Schedule Management Computer System to KNH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259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eing through general construction performance environment in our country as compared with advanced nations, it have been behind in the management side rather than the technical side. It does not mean that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construction engineers stand behind but mean that the management system which has an ability to make judgement objectively, make exchange of information and make presentation of excellent experience and accumulated knowledge systematically.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for the systematic, social environments of construction industries, the scale of construction and the performance condition of a given work are not held fast to traditional way of thinking, with a sudden change. It is at this moment that the reasonable way of thinking is increased and the effectively controlled necessity is correctly understood. Therefore, we must establish the scientific, the systematic and the continuous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cope positively with this environment change. Above all, the work to be first of all prior questions is the introduction of scheduling management techniques for the field of construction management consisted of schedule management, cost management, safety control management, quality management etc. In order to have managers of KNHC and subcontractors understand and know schedule management, the present study aims to present basic compositions of schedule management system, contents of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in executing surveys which are connected with schedule management, as the object of KNHC subcontractor and contractors which build APT, and present contents to b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chedule management system. Besides this research present the projection of schedule management system, the work rules of schedule management which supervisors of KNHC will controll in order to lead subcontractor to do schedule management system and projection in the future for schedule management system which reflected the construction management structure of KNHC. If KNHC shall operate a schedule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of much help not only for KNHC supervisors but also subcontrators.
      번역하기

      Seeing through general construction performance environment in our country as compared with advanced nations, it have been behind in the management side rather than the technical side. It does not mean that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construction...

      Seeing through general construction performance environment in our country as compared with advanced nations, it have been behind in the management side rather than the technical side. It does not mean that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construction engineers stand behind but mean that the management system which has an ability to make judgement objectively, make exchange of information and make presentation of excellent experience and accumulated knowledge systematically.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for the systematic, social environments of construction industries, the scale of construction and the performance condition of a given work are not held fast to traditional way of thinking, with a sudden change. It is at this moment that the reasonable way of thinking is increased and the effectively controlled necessity is correctly understood. Therefore, we must establish the scientific, the systematic and the continuous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cope positively with this environment change. Above all, the work to be first of all prior questions is the introduction of scheduling management techniques for the field of construction management consisted of schedule management, cost management, safety control management, quality management etc. In order to have managers of KNHC and subcontractors understand and know schedule management, the present study aims to present basic compositions of schedule management system, contents of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in executing surveys which are connected with schedule management, as the object of KNHC subcontractor and contractors which build APT, and present contents to b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chedule management system. Besides this research present the projection of schedule management system, the work rules of schedule management which supervisors of KNHC will controll in order to lead subcontractor to do schedule management system and projection in the future for schedule management system which reflected the construction management structure of KNHC. If KNHC shall operate a schedule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of much help not only for KNHC supervisors but also subcontrat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공사수행 환경을 살펴보면, 선진국과 비교해 볼때, 겉으로 드러나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다는 관리적인 측면에서 더욱 낙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을 현장이나 본사 관리자들의 경험과 지식이 낙후 되었다는 의미가 아니라, 훌륭한 경험과 축적된 지식을 조직적으로 표현하고, 서로 교환하며,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관리체계 및 관리능력의 부족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건설산업의 제도적인 환경,사회적인 환경, 건설공사의 성격, 규모 그리고 공사수행 여건 등이 하루가 멀다하고 급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더이상 과거의 구태의연한 자세를 견지하고 있을 수만은 없다. 이제는 건설공사 수행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합리적인 사고가 점진적으로 증진 되어야 할 시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공사관리체게를 구축해야 함은 자명한 일이며, 특히 공정관리, 원가관리, 안전관리, 품질관리 등의 공사관리분야 중에서 공정관리기법의 도입 적용이야 말로 가장 우선적으로 선결되어야 할 과제일 것이다. 그러므로 주공과 수급업체의 실무자들이 공사관리의 4대 목표인 원가관리, 안전관리, 품질관리, 공정관리중 가장 핵심이 되는 공정관리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전환을 위한 수단으로 본 연구과제에서는 네트워크 작성, 시간분석, 자원배당, 원가관리 를 수행하는 공정관리 전산 시스템의 기본구성을 제시하였고, APT공사를 수행하고 있는 주공 수급업체와 일반 시공회사를 대상으로 공정관리 전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그리고 기존 공정관리 전산 시스템의 특징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수습업체의 공정관리 전산화 유도를 위하여 공정관리 전산화 추진방안과 공정관리 업무규정을 제시하였고, 나아가 주공의 공사관리조직을 고려한 향후 공사관리 전산화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같은 일련의 연구내용은 주공의 감독관이나 수습업체의 실무자 모두에게 공정관리 전산 시스템의 입출력방법, 특징 및 제반 문제점 등을 이해하고, 향후 우리 주공이 수급업체의 시공진행사항을 지휘, 통제 및 관리하는데 필요한 수단으로 공정관리 전산 시스템을 적용하여 운영할 경우, 공정관리 운영에 필요한 업무규정등의 제시로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공사수행 환경을 살펴보면, 선진국과 비교해 볼때, 겉으로 드러나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다는 관리적인 측면에서 더욱 낙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을 현장...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공사수행 환경을 살펴보면, 선진국과 비교해 볼때, 겉으로 드러나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다는 관리적인 측면에서 더욱 낙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을 현장이나 본사 관리자들의 경험과 지식이 낙후 되었다는 의미가 아니라, 훌륭한 경험과 축적된 지식을 조직적으로 표현하고, 서로 교환하며,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관리체계 및 관리능력의 부족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건설산업의 제도적인 환경,사회적인 환경, 건설공사의 성격, 규모 그리고 공사수행 여건 등이 하루가 멀다하고 급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더이상 과거의 구태의연한 자세를 견지하고 있을 수만은 없다. 이제는 건설공사 수행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합리적인 사고가 점진적으로 증진 되어야 할 시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공사관리체게를 구축해야 함은 자명한 일이며, 특히 공정관리, 원가관리, 안전관리, 품질관리 등의 공사관리분야 중에서 공정관리기법의 도입 적용이야 말로 가장 우선적으로 선결되어야 할 과제일 것이다. 그러므로 주공과 수급업체의 실무자들이 공사관리의 4대 목표인 원가관리, 안전관리, 품질관리, 공정관리중 가장 핵심이 되는 공정관리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전환을 위한 수단으로 본 연구과제에서는 네트워크 작성, 시간분석, 자원배당, 원가관리 를 수행하는 공정관리 전산 시스템의 기본구성을 제시하였고, APT공사를 수행하고 있는 주공 수급업체와 일반 시공회사를 대상으로 공정관리 전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그리고 기존 공정관리 전산 시스템의 특징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수습업체의 공정관리 전산화 유도를 위하여 공정관리 전산화 추진방안과 공정관리 업무규정을 제시하였고, 나아가 주공의 공사관리조직을 고려한 향후 공사관리 전산화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같은 일련의 연구내용은 주공의 감독관이나 수습업체의 실무자 모두에게 공정관리 전산 시스템의 입출력방법, 특징 및 제반 문제점 등을 이해하고, 향후 우리 주공이 수급업체의 시공진행사항을 지휘, 통제 및 관리하는데 필요한 수단으로 공정관리 전산 시스템을 적용하여 운영할 경우, 공정관리 운영에 필요한 업무규정등의 제시로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2 기대효과
      • 1.3 연구내용, 방법 및 범위
      • 제2장 공정관리 전산시스팀의 기본구성 및 그 이해
      • 제1장 서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2 기대효과
      • 1.3 연구내용, 방법 및 범위
      • 제2장 공정관리 전산시스팀의 기본구성 및 그 이해
      • 2.1 공정관리 일반
      • 2.1.1 공정관리의 절차
      • 2.1.2 공정관리의 목표
      • 2.1.3 공정관리의 중요성
      • 2.1.4 공정관리의 역할
      • 2.1.5 공정관리의 기능
      • 2.1.6 공정관리체계의 정보 유통도
      • 2.2 공정관리 전산시스템의 구성
      • 2.2.1 개요
      • 2.2.2 공정관리 전산시스템의 구성
      • 2.3 공정관리 전산 분석절차
      • 2.3.1 공정관리 단계
      • 2.3.2 공정계획 (Schedule Planning)의 요령
      • 2.4 PMS의 정보관리구조
      • 2.4.1 기본입력자료
      • 2.4.2 PMS 정보관리를 위한 입력자료
      • 제3장 긍정관리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 3.1 설문조사의 목적
      • 3.2 설문조사의 개요
      • 3.3 설문조사의 분석
      • 3.3.1 공정관리의 일반사항 설문
      • 3.3.2 공정관리 전산시스템 운영실태 설문
      • 3.3.3 공정관리요원 확보 및 경험에 의한 대비 실행 추진도
      • 3.3.4 공정관리 운영체계의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 3.3.5 공정관리 전산화 구축방안
      • 3.3.6 주공 수급업체의 공정관리 개선 및 건의사항
      • 3.4 소결
      • 3.4.1 공정관리의 운영실태 및 향후 전망
      • 3.4.2 공정관리 적용상 문제점
      • 3.4.3 현실적인 공정 관리 운영 방안
      • 제4장 기존 공정관리 전산시스템 비교 분석
      • 4.1 개 요
      • 4.2 분석결과 종합
      • 제5장 수급업체의 공정관리 전산화 유도방안
      • 5.1 공정관리 전산화 추진방안
      • 5.1.1 기본방침
      • 5.1.2 세부업무 추진 항목
      • 5.2 공정관리 업무규정
      • 5.2.1 목 적
      • 5.2.2 공정관리 구성인원 및 집행
      • 5.2.3 수급업체의 기본임무
      • 5.2.4 표준 네트워크 작성 및 고려사항
      • 5.2.5 공정보고지침
      • 5.2.6 설계변경에 의한 입력자료수정 방안
      • 5.2.7 기성검토 및 사정지침
      • 5.2.8 공정관리 전담요원의 자격요건
      • 5.2.9 조정, 통제 및 공기지연시 조치사항
      • 5.2.10 사전관리항목의 제출과 승인
      • 5.2.11 중간관리일의 제출과 숭인
      • 5.2.12 각종 실적보고서의 제출과 숭인
      • 제6장 향후 주공의 공정관리 전산체계 추진방향
      • 6.1 개요
      • 6.2 최근 공정관리 분야의 동향
      • 6.2.1 주요 발주자의 동향
      • 6.2.2 설계 감리회사의 동향
      • 6.2.3 건설회사의 동향
      • 6.3 공정관리 전산화 운영방식의 발전단계
      • 6.3.1 감리단 중심의 운영방식
      • 6.3.2 시공자 중심의 운영방식
      • 6.3.3 종합공정관리 운영방식
      • 6.4 향후 주공의 종합공정관리 전산체계 추진방향
      • 6.4.1 개요
      • 6.4.2 공합공정관리 체계의 개념
      • 6.4.3 종합공정관리 전산시스템 구축
      • 6.5 공정관리 전산시스템의 입력자료 구축방식 시안
      • 6.5.1 적산 접근방법
      • 6.5.2 기존 적산체계의 문제점
      • 6.5.3 개정 적산체계
      • 6.5.4 공정관리 입력자료 구축방식
      • 6.5.5 공정관리 운영방식
      • 제7장 결론
      • 참고문헌
      • 부록
      • 1. 초고층 아파트 공사분할체계(안)
      • 2. 단지별 공사분할체계(안)
      • 3. Network 채용기준(안)
      • 4. 요소작업별(활동별) 자원붕괴 적용방법(안)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