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대중은 정조와 사상적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문체반정의 수혜를 받은 인물로 평가된다. 『청성잡기』는 필기류라는 문체적 특징을 바탕으로 성대중의 사상을 자유롭게 표출한다. 이를 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875134
2020
-
靑城雜記 ; 成大中 ; 復古主義 ; 筆記 ; 周易 ; Ch’ǒngsǒng chapki ; Sǒng Taechung ; retro-literary ; genre of essay writings ; Book of Changes
KCI등재
학술저널
47-78(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성대중은 정조와 사상적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문체반정의 수혜를 받은 인물로 평가된다. 『청성잡기』는 필기류라는 문체적 특징을 바탕으로 성대중의 사상을 자유롭게 표출한다. 이를 통...
성대중은 정조와 사상적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문체반정의 수혜를 받은 인물로 평가된다. 『청성잡기』는 필기류라는 문체적 특징을 바탕으로 성대중의 사상을 자유롭게 표출한다. 이를 통해 그가 지향한 복고주의적 문학론의 면모를 파악할 수 있다.
성대중은 기존의 성리학적 사유체계와 달리 『주역』의 선악관을 개인의 수양적 근거와 세교의 지향점으로 삼는다. 이는 『주역』의 사상이 사회적 인간관계의 원리와 지혜를 담고 있는 데에서 연유한다. 성대중은 이를 바탕으로 지역과 시대, 민족과 가치관의 차이를 인정하고 공존하려는 자세를 보인다.
『청성잡기』는 이와 같은 성대중의 사상을 담고 있다. 성대중은 풍속의 교화라는 문학적 효용성을 강조하여 『청성잡기』를 ‘문체반정(文體反正)’의 정(正)의 범주로 끌어오면서도, 제가의 사상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성대중의 사상과 융합되어 기왕의 순정 고문과는 뚜렷한 변별점을 보인다. 이는 제가의 사상을 동등한 입장에 배치한다거나, 입론의 방식을 변형한다거나, 기존에 지양한 서술 방식을 활용하는 등 다양한 서술 장치를 가능하게 하는 『청성잡기』의 문체적 특징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ǒng Taechung (成大中, 1731-1809) is considered a scholar who benefited from the Literary Anti-politics, so-called Munch'e panchǒng 文體反正, while forming an ideological consensus with Jeongjo. His Ch’ǒngsǒng chapki 靑城雜記 has a fr...
Sǒng Taechung (成大中, 1731-1809) is considered a scholar who benefited from the Literary Anti-politics, so-called Munch'e panchǒng 文體反正, while forming an ideological consensus with Jeongjo. His Ch’ǒngsǒng chapki 靑城雜記 has a free expression of the ideas of the Sǒng Taechung based on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of essay writings. Through this, we can grasp the aspect of the retro-literary theory he pursued.
Unlike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the existing scholars, Sǒng Taechung used the good and bad views of the Book of Changes (Zhouyi 周易) as the goal of personal cultivation. This was derived from the idea that the Book of Changes contains the principles and wisdom of social relationships. Based on this, Sǒng Taechung recognized the differences among regions and times, peoples and values, and attempted to coexist with them.
Ch’ǒngsǒng chapki contains such an idea of Sǒng Taechung. Sǒng Taechung emphasized the literary effect of edification in order to put the Ch’ǒngsǒng chapki into the “correctness (chǒng 正)” category of “the Literary Anti-politics.” At the same time, he fused the marginal philosophers' thoughts with his own thoughts with a freely manner, a clear difference which had been seen with the Ancient Writing Style of the existing scholars. It was possible because there was a stylistic characteristic of Ch’ǒngsǒng chapki that applied various narrative devices, such as placing marginal philosophers' thoughts in an equally important position, changing the way of explaining opinion, or using the narrative methods denied by the existing scholars.
식민지 조선 청년의 귀향과 전망: 이광수의 『흙』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