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첫날밤 신랑 피살형’ 설화를 계승한 「김씨열행록」의 소설적 변용과 그 의미를 살핀 것이다. 먼저 ‘첫날밤 신랑 피살형’ 설화를 유형화 하고, 「김씨열행록」이 어떠한 유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875133
2020
-
김씨열행록 ; 조생원전 ; 사명당전 ; 성부인전 ; 주유옥전 ; 구의산 ; 가정소설 ; 여성영웅소설 ; Kim's yeolhaeng-rok ; Josaengweon-jeon ; Seongbuin-jeon ; Juyuok-jeon ; Guiusan ; family novels ; heroine novel
KCI등재
학술저널
11-46(3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첫날밤 신랑 피살형’ 설화를 계승한 「김씨열행록」의 소설적 변용과 그 의미를 살핀 것이다. 먼저 ‘첫날밤 신랑 피살형’ 설화를 유형화 하고, 「김씨열행록」이 어떠한 유형...
이 글은 ‘첫날밤 신랑 피살형’ 설화를 계승한 「김씨열행록」의 소설적 변용과 그 의미를 살핀 것이다. 먼저 ‘첫날밤 신랑 피살형’ 설화를 유형화 하고, 「김씨열행록」이 어떠한 유형에 초점을 두어 소설적으로 변용되었는지 살폈다. 이를 바탕으로 소설적 변용과 문학사적 의의를 검토하였다.
‘첫날밤 신랑 피살형’ 설화는 여성인물인 며느리를 중심으로, 순절형·수절형·열부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순절형은 며느리의 죽음이, 수절형은 며느리의 생존과 활약이, 열부형은 신랑과 신부의 생존과 활동이 중심을 이룬다. 순절형은 유일한 생존 인물인 시아버지를 중심으로 작화한 「사명당전」에서, 수절형은 생존한 며느리와 그 아들 중심의 작화로 「조생원전」·「성부인전」·「김씨열행록」·「주유옥전」에서, 열부형은 며느리와 남편을 살려 작화한 것으로 신소설 「구의산」에서 의미 있게 계승했다.
「김씨열행록」의 소설적 변용에서 주목되는 곳은 작품의 후반부이다. 이 부분을 통해 이야기에 큰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 부분에서 평면성에서 입체성으로, 몰개성에서 개성으로 인물이 변화하고, 사건에서도 불행과 행복의 단순한 구조에다 같은 구조를 다시 한 번 덧씌움으로써 이야기가 복잡해진다. 주제의 경우 효열만을 강조했던 전반부와는 달리 선악의 대립을 통한 권선징악과 유교적인 부귀공명이 부각되도록 했다. 이것은 소설적인 기법이 그만큼 고도화되어 나타난 현상일 수도 있지만, 이질적인 소설의 하위유형을 짜깁기한 결과일 수도 있다.
「김씨열행록」이 간행된 때는 1928년으로, 이때는 같은 설화를 계승한 고전소설 「조생원전」·「성부인전」·「주유옥전」·「사명당전」이 이미 필사되었고, 신소설 「구의산」도 간행된 뒤이다. 그런데 이 작품은 가장 늦게 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전소설의 작법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그것도 인과적인 논리보다는 흥미소를 짜깁기한 방식으로 새롭게 창작하였다. 한편 이 작품은 전반부의 여성영웅소설적인 모습과 후반부의 가정소설·남성영웅소설적인 양상, 그리고 전후반부에 나타나는 송사소설적인 실태가 주목된다. 이는 당시에 인기 있던 고전소설의 유형을 교조적으로 수렴·재편한 것이라 하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novel development and meaning of Kim's Yeol Haeng-rok, which succeeds the story of ‘First Night Groom Killing’. First, I've typized folk tales, and looked at what type of story Kim's Yeol Haeng-rok was focused as a novel....
This article examines the novel development and meaning of Kim's Yeol Haeng-rok, which succeeds the story of ‘First Night Groom Killing’. First, I've typized folk tales, and looked at what type of story Kim's Yeol Haeng-rok was focused as a novel. Based on this, the changes of the novel and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were examined.
The story of “The First Night Groom Killing Type” can be divided into martyred type, maintaining integrity type, virtuous woman type, with a focus on female brides. The martyred type is based on the death of the bride, the maintaining integrity type is based on the survival and activity of the bride, and the irtuous woman type is mainly based on the survival and activity of both the groom and bride. The martyred type was created mainly by the father-in-law who was the only surviving person, which is shown at Samyeongdang-jeon. The maintaining integrity type was based on the surviving bride and son. Josaengweon-jeon Seongbuin-jeon Kim's Yeol Haeng-rok, Juyuok-jeon is the representative piece. And the virtuous woman type was made using the bride and husband, and was significantly successful with new-style novel Gueusan.
The latter part of the work is noted in the novel variation of Kim's Yeol haeng-lok. This is a big change in the story. The story is complicated by the characters changing from flatness to three-dimensionality, from deviance to individuality, and overwriting the same structure on the simple structure of misery and happiness in events. In the case of the theme, it added the didactic morality and confucian rich resonance through the opposition of good and evil in the first half, which emphasized only filial duty and virtuous thing. It may be the phenomenon of novel techniques, but it may be the result of mending the subtypes of heterogeneous novels.
In 1928, Kim's Yeol Haeng-rok was produced, and the classic novels Josaengweon-jeon, Seongbuin-jeon, Juyuok-jeon and Samyeongdang-jeon were already produced. However, despite the latest production, the work faithfully follows the writing of classical novels. It is also a new way of making interests rather than causal logic. On the other hand, this work focuses on the female hero novels in the first half, the home novels and male hero novels in the second half, and the litigarion novels in the total situation. This is a convergence and reorganization of the types of classic novels that were popular at the time.
식민지 조선 청년의 귀향과 전망: 이광수의 『흙』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