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자기노출과 사회적 지지가 외상후 성장에 주는 과정에서 의도적 반추가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Calhoun과 Tedeschi(2006)가 제안한 외상후 성장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041384
2015
Korean
Self-disclosure ; social support ; Intentional Rumination ; Posttraumatic Growth ; 청소년 ; 자기노출 ; 사회적 지지 ; 의도적 반추 ; 외상후 성장
KCI등재
학술저널
11-24(14쪽)
2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자기노출과 사회적 지지가 외상후 성장에 주는 과정에서 의도적 반추가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Calhoun과 Tedeschi(2006)가 제안한 외상후 성장모...
본 연구는 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자기노출과 사회적 지지가 외상후 성장에 주는 과정에서 의도적 반추가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Calhoun과 Tedeschi(2006)가 제안한 외상후 성장모형인 자기노출과 사회적 지지가 상호작용하여 의도적 반추를 매개로 외상후 성장으로 가는 경로를 검증한 결과, 노출이 의도적 반추와 외상후 성장으로 가는 경로는 유의미 하지 않았고, 사회적 지지가 외상후 성장과 의도적 반추로 가는 경로와 의도적 반추에서 외상후 성장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외상후 성장과의 관계를 의도적 반추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외상을 경험한 청소년들은 사회적 지지가 의도적 반추를 촉진하고 외상후 성장을 가져오는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현, "회피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4 (14): 3753-3767, 2013
2 송승훈,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3 박미애,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재활심리학회 20 (20): 627-652, 2013
4 윤명숙,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외상 후 성장관련 요인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9) : 61-89, 2011
5 전유진, "자기노출, 사회적 지지 및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4 (34): 215-228, 2013
6 이양자, "외상후 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 적응과의 관계 및 치료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1-23, 2008
7 박혜원, "외상 후 증상, 영성성 및 성장적 숙고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8 김지애, "외상 후 성장 집단의 판별요인 연구" 한국상담학회 13 (13): 1845-1859, 2012
9 최승미,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10 한인영, "암환자의 외상후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419-441, 2011
1 송현, "회피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4 (14): 3753-3767, 2013
2 송승훈,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3 박미애,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재활심리학회 20 (20): 627-652, 2013
4 윤명숙,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외상 후 성장관련 요인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39) : 61-89, 2011
5 전유진, "자기노출, 사회적 지지 및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4 (34): 215-228, 2013
6 이양자, "외상후 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 적응과의 관계 및 치료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1-23, 2008
7 박혜원, "외상 후 증상, 영성성 및 성장적 숙고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8 김지애, "외상 후 성장 집단의 판별요인 연구" 한국상담학회 13 (13): 1845-1859, 2012
9 최승미,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10 한인영, "암환자의 외상후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419-441, 2011
11 박준호,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반복생각, 생각억제 및 자기노출이 정서와 주관안녕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12 한덕웅, "스트레스 사건에 관한 반복생각과 분노경험이 주관안녕과 건강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8 (8): 147-168, 2003
13 박선영, "삶의 의미의 원천, 구조의 탐색 및 다차원적 삶의 의미 척도의 개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2 (12): 199-224, 2012
14 신선영,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 변인으로"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3 (33): 217-235, 2012
15 신선영,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성장적 반추를 매개 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16 박지원,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17 윤명숙, "부모와 사별한 대학생의 애도경험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삶의 의미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9) : 83-111, 2013
18 정성훈, "마음을 다친 아동‧청소년을 위한핸드북" 학지사 2011
19 정민선, "대학생의 자기노출, 사회적 지지와 외상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415-430, 2014
20 유경아, "글쓰기를 통한 정서표현이 청소년의 보복행위 감소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21 전유진, "경찰공무원의 자기노출, 사회적지지 및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22 오현자, "가출청소년의 외상경험에 대한 자기노출이 부적정서와 침입 경험에 미치는 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89-106, 2009
23 尹惠貞, "靑少年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社會關係網 支持 知覺"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24 Stevens, S. J., "Traumatic stress and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ship to substance abuse, mental health, physical health, and HIV risk behavior in a sample of adolescents enrolled in drug treatment" 8 (8): 46-57, 2003
25 Copeland. E, "Traumatic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in Childhood" 64 (64): 577-584, 2007
26 Taku, K., "The role of rumination in the coexistence of di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among bereave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32 (32): 428-444, 2008
27 Taku, K., "The culture of disclosure : Effects of perceived reactions to disclosure on posttraumatic growth and distress in Japan" 28 (28): 1226-1243, 2009
28 Tedeschi, R. 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9 (9): 455-471, 1996
29 Calhoun, L. G., "The Foundations of Posttraumatic Growth : New Considerations" 15 (15): 93-102, 2004
30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56-75, 1995
31 Anderson, J. 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103 (103): 411-423, 1988
32 Van der Kolk, B. A., "Review of Traumatic stress: The effects fo overwhelming experience on mind, body, and society" 33 (33): 639-640, 1996
33 Wilcox, H. C.,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suicide attempts in a community sample of urban american young adults" 66 (66): 305-311, 2009
34 Tedeschi, R. G., "Posttraumatic growth: Positive Change in the Aftermath of Crisi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998
35 Knaevelsrud, C., "Posttraumatic growth, optimism and openness as outcomes of a cognitive-behavioural intervention for posttraumatic stress reactions" 15 (15): 1030-1038, 2010
36 Calhoun, L. G., "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ractice" Routledge 2013
37 Tedeschi, R. G., "Posttraumatic growth :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15 (15): 1-18, 2004
38 Linley, P. A.,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review" 17 (17): 11-21, 2004
39 O’Neil, J. M., "Patterns of gender role conflict and strain : Sexism and fear of feminity in men’s lives" 60 (60): 203-210, 1981
40 Shrout, P. E.,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7 (7): 422-445, 2002
41 Chamberlain, K., "Mearsuring meaning life : An examination of three scales" 9 (9): 589-596, 1988
42 Park, C. L., "Meaning in the context of stress and coping" 1 (1): 115-144, 1997
43 Ullrich, P. M., "Journaling about stressful events : Effects of cognitive processing and emotional expression" 24 (24): 244-250, 2002
44 McComick, C. M., "Investigations of HPA function and the enduring consequences of stresors in adolescence in animal models" 72 (72): 73-85, 2010
45 Kilmer, R. P.,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Erlbaum 264-288, 2006
46 Calhoun, L, G.,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 research and practic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6
47 Fazio, R. J., "Finding your way through sudden loss and growth in the face trauma, crisis, and loss" 10 (10): 221-252, 2006
48 Calhoun, L. G., "Facilitating posttraumatic growth: A clinician’s guid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9
49 Henderson, B. N., "Disease disclosure patterns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17 (17): 51-62, 2002
50 Pennebaker, J. W., "Cognitive, emotional, and language processes in disclosure" 10 (10): 601-626, 1996
51 Taylor, S. E., "Adjustment to threatening events : A theory of cognitive adaption" 38 (38): 1161-1173, 1983
52 Helgeson, V. S., "A meta-analytic review of benefit finding and growth" 74 (74): 796-816, 2006
53 Calhoun, L. G., "A correlational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religon, and cognitive processing" 13 (13): 521-527, 2000
54 통계청, "2013년 사망원인 통계 결과" 통계청 2013
중학생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자녀 게임과몰입과의 관계에서 부모양육태도의 매개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 | 2 | 2.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14 | 1.99 | 2.1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