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복지전공교육에서 e-PBL의 적용과 효과 = The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e-PBL in Social Welfar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055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전공교육에서 e-PBL교수법의 효과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증거기반이 강조됨에 따라 중요시되고 있는 사회복지자료분석론...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전공교육에서 e-PBL교수법의 효과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증거기반이 강조됨에 따라 중요시되고 있는 사회복지자료분석론 교과목에 e-PBL교수법을 적용하였다. 이후 수업참여자 3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질문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제 중심 접근으로 인한 효과”, “성찰일지로 인한 효과”, “상호작용으로 인한 효과”라는 3가지 주제를 상정하였다. 현장중심의 실용적인 문제 제시는 참여자들에게 수업에 대한 흥미와 현장감을 익히게 하였고, 상호작용을 통한 문제해결과정이 궁극적으로 참여자들의 실력향상과 성취감을 경험케 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교과목에 e-PBL교수법이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사회복지교육방법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e-PBL teaching methods in social welfare education. The researcher applied the e-PBL teaching method to the social welfare data analysis course, which became important due to the emphas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e-PBL teaching methods in social welfare education. The researcher applied the e-PBL teaching method to the social welfare data analysis course, which became important due to the emphasis of evidence-based practice in the filed of social welfare practice. Ope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0 class participan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As a result, the researcher proposed three themes: “Effects from Problem-based Approach”, “Effects from Reflection Diary”, and “Effects from Interaction.” Presenting filed-oriented practical problems to the participants helped them to arouse their interest in the course contents and to acquire a sense of the filed.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through interaction was ultimately making participants experience improved skills and a sense of achievement. This research showed that e-PBL teaching methods were effective in social welfare major subjects, so it could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future social welfare education metho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태, "한국사회복지 실천교육모델 연구" 1 (1): 19-67, 2005

      2 김소진, "사회복지전공교육에서 플립러닝 교육방식의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7 (17): 325-337, 2017

      3 노혜련, "사회복지실천교육의 평가와 과제: 사회복지사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15 (15): 51-86, 2011

      4 박경일, "사회복지교육과정에서 PBL의 적용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47 : 31-53, 2019

      5 임혁, "사회복지 실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37 : 115-142, 2017

      6 김지효, "e-PBL 수업이 문제해결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ARCS 학습동기,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37-156, 2021

      7 Barrows, H. S., "Practicd-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toMedical Educati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994

      8 Vard, I., "Overcoming problems in problem-based learning : atrial of strategies in an undergraduate unit" 45 (45): 345-354, 2008

      9 Savin-Baden, M., "Foundations of Problem-Based Learning" SRHE and Open University Press 2004

      10 최미나, "COVID-19 시대 비대면 e-PBL 원격교육의 효과적 운영방안 탐색" 36 : 77-99, 2021

      1 김기태, "한국사회복지 실천교육모델 연구" 1 (1): 19-67, 2005

      2 김소진, "사회복지전공교육에서 플립러닝 교육방식의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7 (17): 325-337, 2017

      3 노혜련, "사회복지실천교육의 평가와 과제: 사회복지사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15 (15): 51-86, 2011

      4 박경일, "사회복지교육과정에서 PBL의 적용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47 : 31-53, 2019

      5 임혁, "사회복지 실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37 : 115-142, 2017

      6 김지효, "e-PBL 수업이 문제해결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ARCS 학습동기,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37-156, 2021

      7 Barrows, H. S., "Practicd-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toMedical Educati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994

      8 Vard, I., "Overcoming problems in problem-based learning : atrial of strategies in an undergraduate unit" 45 (45): 345-354, 2008

      9 Savin-Baden, M., "Foundations of Problem-Based Learning" SRHE and Open University Press 2004

      10 최미나, "COVID-19 시대 비대면 e-PBL 원격교육의 효과적 운영방안 탐색" 36 : 77-99, 2021

      11 Malopinsky, L., "An instructional designmodel for online problem based learning (PBL) environments: The Learning toTeach with Technology Studio" 2000

      12 강인애, "21세기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방법: e-PBL의 가능성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331-363,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