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논문 : 붓다의 수명에 대한 제(諸) 해석 = The Reinterpretations of the Buddha`s Life S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118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붓다는 80세에 입멸했다. 붓다의 열반은 불교사에서 중대한 사건으로써, 불타관과 열반관 성립의 단서가 되었다. 붓다의 입멸을 둘러싸고 파생된 문제들 가운데서도, ``붓다의 수명``은 간과...

      붓다는 80세에 입멸했다. 붓다의 열반은 불교사에서 중대한 사건으로써, 불타관과 열반관 성립의 단서가 되었다. 붓다의 입멸을 둘러싸고 파생된 문제들 가운데서도, ``붓다의 수명``은 간과할 수 없는 논제이다. 붓다의 수명에 대한 제 해석 은 붓다의 열반관과 불타관 성립, 『대승열반경』에 대한 연구에서 선행되어야 하는 과제이다. 본 주제에 관한 연구는 동국대학교 안양규의 『붓다의 열반에 관한 연구』를 제외하고는 국내·외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안양규는 초기불교의 『대반열반경』과 부파불교 논사들의 견해를 중심으로, 붓다의 수명을 포함한 붓다의 열반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 성과를 이루었다. 그러나 붓다의 수명에 대한 대승불교의 논의는 본 논문에서 처음 제시될 것이다. 본 연구의 문제제기는 역사적인 붓다의 열반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대승불교에서 『대승열반경』이 출현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이다. 붓다의 수명이 80세였다는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초기불교에서 붓다는 역사적인 관점에서 이해될 수밖에 없었다. 부파불교에서는 종전의 입장을 계승하는 부파가 있는가 하면, 붓다의 무량한 수명과 법신사상을 제기하는 부파가 생겨나기도 한다. 대승불교에 와서는 초역사적 관점에서 붓다와 깨달음은 동격으로서 여래의 법신상주 사상이 확립된다. 결론적으로, 붓다의 수명에 대한 견해가 초기불교·부파불교·대승불교 시대에 걸쳐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했는지를 비교할 수 있다. 역사적인 붓다·생신으로서의 붓다에 대한 견해에서 법신으로서의 붓다로 확립되어 가는 양상이 도출됨으로써, 불타관과 열반관의 발전사를 함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uddha``s Nirvana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greatest events in the history of Buddhism, thus making it an important clue to establishing the views of the Nirvana and the Buddha. Among many issues that arose from "the Buddha``s Nirvana, the Buddha...

      Buddha``s Nirvana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greatest events in the history of Buddhism, thus making it an important clue to establishing the views of the Nirvana and the Buddha. Among many issues that arose from "the Buddha``s Nirvana, the Buddha``s life span has been a key issue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The reinterpretations of the Buddha``s life span are an important task that are a prerequisite for studies of the views of the Nirvana and the Buddha including Mahayana Mahaparinirvana Sutra. The main issue of this study is focused on How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meanings of Buddha``s Nirvana? and What made possible the advent of Mahayana Mahaparinirvana Sutra in Mahayana Buddhism? In Early Buddhism, the Buddha had to be interpreted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s mainly based upon the 80-year life of the Buddha. In Abhidharma Buddhism, however, there existed some schools held on Early Buddhism, while some other schools emerg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Buddha``s Infinite life and the theories on Dharmakaya. And later on, in Mahayana brought the theory on "Dharmakaya, which regarded the Buddha and Enlightenment at the same level, beyond their historical interpreta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gives us an overview and comparison of how those Buddhist schools ranging from the Early Buddhim had been transformed up to Mahayana Buddhism in terms of interpretation of the Buddha``s life span.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historical and doctrinal developments on the views of the Nirvana and the Buddha by interpreting how the historical and physical Buddha had been transformed into the Dharmakay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太古和尙語錄」, 韓國佛敎全書 권6"

      2 쓰보이 순에이, "정토삼부경개설" 운주사 1995

      3 장휘옥, "정토불교의 세계" 불교시대사 1997

      4 백도수, "인도불교의 교단에대한 연구-교단 변화를 중심으로"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 : 161-197, 2008

      5 정용미, "원효의 淨土사상에 있어서 淨土往生의 논리와 수행체계"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6) : 191-237, 2010

      6 김영배, "아미타경언해의 국어학적 연구" 법보신문사 1997

      7 안양규, "붓다의 입멸에 관한 연구" 민족사 2009

      8 히라가와 아끼라, "법화경의 세계" 붓다가야 269-, 2005

      9 시즈타니 마사오, "대승불교" 여래 1995

      10 "阿毘達磨大毘婆沙論 대정장 27"

      1 "「太古和尙語錄」, 韓國佛敎全書 권6"

      2 쓰보이 순에이, "정토삼부경개설" 운주사 1995

      3 장휘옥, "정토불교의 세계" 불교시대사 1997

      4 백도수, "인도불교의 교단에대한 연구-교단 변화를 중심으로"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 : 161-197, 2008

      5 정용미, "원효의 淨土사상에 있어서 淨土往生의 논리와 수행체계"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6) : 191-237, 2010

      6 김영배, "아미타경언해의 국어학적 연구" 법보신문사 1997

      7 안양규, "붓다의 입멸에 관한 연구" 민족사 2009

      8 히라가와 아끼라, "법화경의 세계" 붓다가야 269-, 2005

      9 시즈타니 마사오, "대승불교" 여래 1995

      10 "阿毘達磨大毘婆沙論 대정장 27"

      11 矢吹慶輝, "阿彌陀佛の硏究" 明治書院 1943

      12 "遊行經 대정장 1"

      13 "觀無量壽佛經疏 대정장 37"

      14 중앙승가대학교 불전국역연구원, "藏本대조 梵․漢本 아마타경 역주해" 중앙승가대학교 불전국역연구원 2007

      15 "般泥洹經 대정장 1"

      16 "異部宗輪論述記 속장경 53"

      17 "異部宗輪論 대정장 49"

      18 望月信亨, "淨土敎の起原及發達" 山喜房佛書林 1977

      19 下田正雄, "涅槃經の硏究- 大乘經典の硏究試論" 東京大學敎 1997

      20 布旆浩岳, "涅槃宗の硏究Ⅰ․Ⅱ" 叢文閣 1942

      21 "法華論疏 대정장 40"

      22 "根本說一切有部毘那耶雜事 대정장 24"

      23 松本史朗, "我の思想" 春秋社 1991

      24 "宗鏡錄 대정장 48"

      25 "妙法蓮華經 대정장 9"

      26 "大般涅槃經 대정장 12"

      27 "大般涅槃經 대정장 1"

      28 "大本經 대정장 1"

      29 望月良晃, "大乘涅槃經の硏究-敎團史的考察" 春秋社 1988

      30 河村孝照, "大乘涅槃經における法身思想の一考察" 東洋大學學硏究學會 3 : 15-39, 1969

      31 河村孝照, "大乘涅槃經における佛身觀の一考察" 東京大學 文學部 宗敎學硏究室內 日本宗敎學會 40 (40): 106-, 1967

      32 河村孝照, "大乘涅槃經と法華經" 東京大學 文學部 宗敎學硏究室內 日本宗敎學會 43 (43): 72-73, 1970

      33 宮本正尊, "大乘佛敎の成立史的硏究" 三省堂 1972

      34 "增壹阿含經 대정장 2"

      35 "俱舍論疏 대정장 41"

      36 日本佛敎學會, "佛陀觀" 平樂 寺書店 1988

      37 "佛說阿彌陀經了解 대정장 37"

      38 "佛說阿彌陀經 대정장 12"

      39 "佛般泥洹經 대정장 1"

      40 三友健容, "アビダルマディーパ における無量寿説批判" 印度學佛教學會 53 : 145-151, 2005

      41 Walshe, Maurice, "The Long Discourse of the Buddha" Widdom Publication 1987

      42 An, Yang Gyu, "The Buddha's Last Days" Pali Text Society 2003

      43 Davids, T. W. Rhys, "Dialogues of the Buddha Ⅱ" Pali Text Society 1993

      44 Nalinaksha Dutt, "Buddhist Sects in India" Firma KLM 1977

      45 Eliade Mircea, "A History of Religious Ideas vol. Ⅱ: From Gautama Buddha to the Triumph of Christiani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51 0.714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