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화두가 되고있는 MZ세대가 사회적으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주요 세대로 접어듦에 따라, MZ세대의 눈높이에 맞춘 효율적인 교육 방법과 컨텐츠 제작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지속 제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24114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57-164(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화두가 되고있는 MZ세대가 사회적으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주요 세대로 접어듦에 따라, MZ세대의 눈높이에 맞춘 효율적인 교육 방법과 컨텐츠 제작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지속 제기...
최근 화두가 되고있는 MZ세대가 사회적으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주요 세대로 접어듦에 따라, MZ세대의 눈높이에 맞춘 효율적인 교육 방법과 컨텐츠 제작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지속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현실 속에서 보안 교육용 컨텐츠에 대한 수준 제고와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를 위해 서술되었다. 이를 위해 현재 사회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보안 교육 컨텐츠에 대한 효용성을 분석하고, 발전방안으로서 웹툰에 게이미피케이션 개념을 접목한 게임툰이라는 컨텐츠를 설명, 교육 효과에 대해 리커트 척도를 통해 검증하였다. 나아가 보안 교육 컨텐츠에 적용 가능한 발전 방향도 함께 제시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MZ generation, which has recently become a hot topic, enters a major generation that plays various social roles, the need for research on efficient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 production tailored to the level of the MZ generation continues ...
As the MZ generation, which has recently become a hot topic, enters a major generation that plays various social roles, the need for research on efficient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 production tailored to the level of the MZ generation continues to be raised. In this reality, this paper was described to discus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raising the level of security educational content. To this end, the effectiveness of security educational content currently being used socially was analyzed, the content of a gametoon that combines the concept of gamification with a webtoon as a development plan was explained, and the educational effect was verified through the Likert scale. Furthermore, it was proposed to effectively utilize it by presenting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pplicable to security educational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류철균 ; 이지영, "형성기 한국 웹툰의 장르적 특질 연구" 우리문학회 (44) : 567-600, 2014
2 윤수현, "웹툰의 재미 요소에관한학습자반응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3 설연경, "웹툰(Webtoon)의 교육적 활용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근거탐색" 한국콘텐츠학회 20 (20): 510-520, 2020
4 이재명, "올드미디어와뉴미디어를 통한 아동학습효과의 차이: 동일 컨텐츠의책, 비디오, 타블렛을 통한학습효과 비교" 835-837, 2012
5 박덕춘, "멀티미디어 강의 콘텐츠의 유형별 특성이 학습 효과와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마이크로러닝과 e-러닝을 중심으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6 (26): 333-340, 2023
6 백은지 ; 손기환, "기술 융합형 웹툰의 몰입도 연구 -인터랙션 툰 <마주쳤다>를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50) : 101-139, 2018
7 한안나, "국내 게이미피케이션 연구동향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콘텐츠학회 18 (18): 566-578, 2018
8 조다연 ; 김효정, "게이미피케이션에 기초한 시각디자인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학회 33 (33): 215-229, 2020
9 정주영 ; 이미화,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을 적용한 수업의 학습몰입 및 수업참여도 분석" 교육발전연구소 31 (31): 163-187, 2021
10 고대훈 ; 박남제, "게이미피케이션 메카니즘을 적용한 양자역학 원리를 배우는 STEAM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20 (20): 507-518, 2016
1 류철균 ; 이지영, "형성기 한국 웹툰의 장르적 특질 연구" 우리문학회 (44) : 567-600, 2014
2 윤수현, "웹툰의 재미 요소에관한학습자반응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3 설연경, "웹툰(Webtoon)의 교육적 활용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근거탐색" 한국콘텐츠학회 20 (20): 510-520, 2020
4 이재명, "올드미디어와뉴미디어를 통한 아동학습효과의 차이: 동일 컨텐츠의책, 비디오, 타블렛을 통한학습효과 비교" 835-837, 2012
5 박덕춘, "멀티미디어 강의 콘텐츠의 유형별 특성이 학습 효과와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마이크로러닝과 e-러닝을 중심으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6 (26): 333-340, 2023
6 백은지 ; 손기환, "기술 융합형 웹툰의 몰입도 연구 -인터랙션 툰 <마주쳤다>를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50) : 101-139, 2018
7 한안나, "국내 게이미피케이션 연구동향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콘텐츠학회 18 (18): 566-578, 2018
8 조다연 ; 김효정, "게이미피케이션에 기초한 시각디자인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학회 33 (33): 215-229, 2020
9 정주영 ; 이미화,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을 적용한 수업의 학습몰입 및 수업참여도 분석" 교육발전연구소 31 (31): 163-187, 2021
10 고대훈 ; 박남제, "게이미피케이션 메카니즘을 적용한 양자역학 원리를 배우는 STEAM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20 (20): 507-518, 2016
11 이상희 ; 정경수 ; 노미진, "u-Learning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경영교육학회 (46) : 143-164, 2007
12 임찬영, "MZ세대 모바일 핀테크 서비스의게이미피케이션전략 연구" 국민대학교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3
생활 폐기물 다중 객체 검출과 분류를 위한 i-YOLOX 구조에 관한 연구
쿠버네티스 환경에서의 강화학습 기반 자원 고갈 탐지 및 대응 기술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