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현동, "측정과제에서 학습부진아와 학습우수아의 안구운동 비교"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3 (33): 181-194, 2014
2 조은별, "초등학생의 과학적 가설생성능력 평가를 위한 서술형 지필과제 및 가설생성능력지수 산출식의 개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5 (35): 137-149, 2016
3 최현동, "초등과학영재와 일반 아동의 분류 과정에서 나타나는 안구 운동 패턴의 차이"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1 (31): 501-512, 2012
4 신원섭, "초등 교사들의 과학교과서 그래프 이해 과정에 대한 안구 운동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1 (31): 386-397, 2012
5 신동훈, "제비나비 과제에 대한 생물 교사들의 유사 경험 표상과 과학적 가설 생성과의 관계" 한국생물교육학회 36 (36): 353-362, 2008
6 이윤하, "우연적 의미 활성화가 가설 생성에 미치는 영향: 가설 유형에 따른 차이" 한국인지과학회 26 (26): 209-239, 2015
7 권용주, "예비교사들의 생물학 가설 생성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감성의 생성 과정 유형별 두뇌 활성화에 대한 fMRI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568-580, 2006
8 오필석, "예비 초등 교사들의 귀추적 탐구 활동에서 가설의 정교화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128-142, 2011
9 박효정, "안구운동 추적 기법을 활용한 6학년 과학 교과서의 과학 이야기 읽기 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383-393, 2015
10 권용주, "선언적 과학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과학철학적 연구: 귀납적, 귀추적, 연역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215-228, 2003
1 최현동, "측정과제에서 학습부진아와 학습우수아의 안구운동 비교"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3 (33): 181-194, 2014
2 조은별, "초등학생의 과학적 가설생성능력 평가를 위한 서술형 지필과제 및 가설생성능력지수 산출식의 개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5 (35): 137-149, 2016
3 최현동, "초등과학영재와 일반 아동의 분류 과정에서 나타나는 안구 운동 패턴의 차이"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1 (31): 501-512, 2012
4 신원섭, "초등 교사들의 과학교과서 그래프 이해 과정에 대한 안구 운동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1 (31): 386-397, 2012
5 신동훈, "제비나비 과제에 대한 생물 교사들의 유사 경험 표상과 과학적 가설 생성과의 관계" 한국생물교육학회 36 (36): 353-362, 2008
6 이윤하, "우연적 의미 활성화가 가설 생성에 미치는 영향: 가설 유형에 따른 차이" 한국인지과학회 26 (26): 209-239, 2015
7 권용주, "예비교사들의 생물학 가설 생성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감성의 생성 과정 유형별 두뇌 활성화에 대한 fMRI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568-580, 2006
8 오필석, "예비 초등 교사들의 귀추적 탐구 활동에서 가설의 정교화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128-142, 2011
9 박효정, "안구운동 추적 기법을 활용한 6학년 과학 교과서의 과학 이야기 읽기 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383-393, 2015
10 권용주, "선언적 과학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과학철학적 연구: 귀납적, 귀추적, 연역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215-228, 2003
11 이혜정, "생물학자의 지식 생성과정에서 나타난 귀추적 사고" 한국생물교육학회 36 (36): 189-202, 2008
12 신동훈, "생물학 가설 생성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감성의 생성 과정 설명을 위한 신경 인지적 모형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 34 (34): 232-245, 2006
13 전예름, "생물분류과정에서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안구운동 비교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4 (34): 142-152, 2015
14 김상은, "생물 분류와 가설 생성 시 청각장애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뇌파 비교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38 (38): 621-630, 2010
15 이준기, "생명 현상에 대한 가설 생성에서 나타나는 과학교사의 두뇌 활성 - fMRI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34 (34): 453-464, 2006
16 신원섭, "변별과제에서 초등학생의 안구운동 분석을 통한 발견적 주의 모델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1471-1485, 2013
17 정진수, "동물학 과제에서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이 생성한 과학적 가설의 구조와 유형"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201-208, 2007
18 신원섭, "다중표상을 적용한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초등학생의 안구 운동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41 (41): 544-555, 2013
19 이길재, "뇌 기능의 공동작용에서 나타난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뇌파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415-424, 2006
20 권용주, "과학적 관찰과 규칙성 발견 활동에서 나타나는 감성단어 유형과 과학 지식 생성력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1106-1117, 2004
21 정진수, "과학적 가설 생성의 인지적 과정과 감성 요소의 인과적 상호 작용에 관한 모형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 35 (35): 663-677, 2007
22 권용주,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전분 실험에서 생성한 생물학 가설의 설명 경향 분석"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5 (55): 275-298, 2007
23 강은미, "과학 지식 생성 학습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가설 지식 생성 능력의 발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5 (25): 257-270, 2006
24 김윤경, "감성 자극과 성별에 의한 눈 특징 차이에 대한 실험적 검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4 (4): 107-116, 2014
25 권용주, "가설생성 학습 후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두뇌 활성 변화" 한국생물교육학회 34 (34): 72-80, 2006
26 Senso Motoric Instruments, "iVeiw Xtm Manual" 2011
27 Damasio, A. R., "Toward a neurobiology of emotion and feeling : Operational concepts and hypotheses" 1 : 19-25, 1995
28 Driver, R., "The pupil as scientists?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1988
29 Wenham, M., "The nature and role of hypotheses in school investigations" 1993
30 Thargard, P., "The Cognitive basis of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5-250, 2002
31 LeDoux, J. E., "Synaptic self; How our brains become who we are" Penguin Books 97-324, 2002
32 Russ, R. S., "Recognizing Mechanistic Reasoning in Student Scientific Inquiry: A Framework for Discourse Analysis Developed From Philosophy of Science" 92 (92): 499-525, 2008
33 Hess, E., "Pupil size in relation to mental activity during simple problem-solving" 140 : 1190-, 1964
34 Kim S., "Inference : Causal bridging inference : A cause of story interestingness" 90 : 57-71, 1999
35 Sylwester, R., "How emotions affect learning" 52 : 60-68, 1994
36 Beatty, J., "Handbook of psychophys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2-162, 2000
37 Holmqvist, K., "Eye tracking : A comprehensive guide to methods and measures" Oxford University Press 9-144, 2011
38 Slykhuis, D. A., "Eye Tracking student’s attention to powerpoint photographs in science education" 14 (14): 509-520, 2005
39 Dolan, R. J.,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298 : 1191-1194, 2002
40 Klahr, D., "Dual space search during scientific reasoning" 12 : 1-48, 1988
41 Senso Motoric Instruments, "BeGaze Manual version 3.1"
42 Hess, E. H., "Attitude and pupil size" 212 (212): 46-54, 1965
43 Park, J., "Analysis of students’ Processes of Generating Scientific Explanatory Hypothesis-Focused on the Defin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Hypothesis" 20 (20): 667-679,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