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택 소유와 투표선택: 한국의 선거, 2007-201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03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07년부터 2012년 사이에 실시됐던 네 번의 선거에 관한 패널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주택 소유 여부와 투표행태와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한다. 분석 결과, 주택을 소유한 응답자가 ...

      이 연구는 2007년부터 2012년 사이에 실시됐던 네 번의 선거에 관한 패널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주택 소유 여부와 투표행태와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한다. 분석 결과, 주택을 소유한 응답자가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응답자보다 보수정당(후보자)에 투표하는 경향은 네번의 선거에서 일관되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주택 소유와 보수 투표선택의 메커니즘으로 정책 선호를 분석했을 때, 주택소유자일수록 2007년 노무현 정부의 부동산정책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나타냈으며, 부정적 태도를 갖는 유권자일수록 보수 투표선택으로 이어졌다는 점을 밝혀내었다. 또한 잠재적 교란변수인 연령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60대 이상 응답자만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도 마찬가지로 주택 소유의 보수 투표선택 효과를 발견하였다. 이 분석 결과, 한국 선거에서 경제적 계층과 투표행태의 관련성을 살펴볼 때, 자산을 기준으로 나누는 경제적 계층 분류가 소득을 기준으로 나누는 경제적 계층 분류보다 투표행태를 설명할 때 비교우위를 가질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have been debates over whether income affects vote choice in Korean elections. Unlike the previous research, this paper shifts the focus on the effect of assets on individual vote choice.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 owners...

      There have been debates over whether income affects vote choice in Korean elections. Unlike the previous research, this paper shifts the focus on the effect of assets on individual vote choice.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 ownership and vote choice by analyzing panel survey data for the period 2007-2012. The results of our analysis suggest that house ownership is associated with higher probabilities of voting for conservative candidates/parties consistently over the four elections held in 2007, 2010, and 2012. To test the robustness of our results, we first explored the mechanism that links house ownership to policy preferences, and to conservative vote choice, and then examine an alternative explanation, the age effect. We find that our main results are not a by-product of the working of a confounder, the age effect, but imply the asset ownership may have a causal effect on a conservative vote choice through forming/altering policy preferences. This analysis suggests that the asset ownership effect may be more pronounced than the income effect in Korean elec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II. 소득, 자산과 투표행태
      • III. 주택 소유와 투표선택
      • IV. 메커니즘 분석과 대안적 가설 검토
      • 요약
      • I. 서론
      • II. 소득, 자산과 투표행태
      • III. 주택 소유와 투표선택
      • IV. 메커니즘 분석과 대안적 가설 검토
      • 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갑윤, "한국인의 투표 행태" 후마니타스 2011

      2 이동연, "한국인의 일상과 문화 아비투스" (61) : 169-195, 2010

      3 이현경, "한국의 불평등과 정치선호의 계층화" 한국정치학회 50 (50): 89-108, 2016

      4 문우진, "한국에서의 소득기반 투표의 비활성화 : 이론적 모형과 경험자료 분석" 한국정치학회 51 (51): 101-122, 2017

      5 이내영, "한국 유권자의 이념성향의 변화와 이념투표"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17 (17): 42-72, 2009

      6 강원택, "한국 선거에서의‘계급 배반 투표와 사회 계층" 한국정당학회 12 (12): 5-28, 2013

      7 이철승, "한국 복지국가의 사회경제적 기초 : 자산 불평등, 보험욕구, 복지 선호도, 2007-2016" 한국정치학회 52 (52): 1-30, 2018

      8 강원택, "지역주의 투표와 합리적 선택: 비판적 고찰" 34 (34): 51-67, 2000

      9 조동기, "중산층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관적 계층의식" 한국인구학회 29 (29): 89-109, 2006

      10 김도균, "주택소유와 자산기반 투표 : 17대 ~ 19대 대통령 선거 분석" 한국정치학회 52 (52): 57-86, 2018

      1 이갑윤, "한국인의 투표 행태" 후마니타스 2011

      2 이동연, "한국인의 일상과 문화 아비투스" (61) : 169-195, 2010

      3 이현경, "한국의 불평등과 정치선호의 계층화" 한국정치학회 50 (50): 89-108, 2016

      4 문우진, "한국에서의 소득기반 투표의 비활성화 : 이론적 모형과 경험자료 분석" 한국정치학회 51 (51): 101-122, 2017

      5 이내영, "한국 유권자의 이념성향의 변화와 이념투표"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17 (17): 42-72, 2009

      6 강원택, "한국 선거에서의‘계급 배반 투표와 사회 계층" 한국정당학회 12 (12): 5-28, 2013

      7 이철승, "한국 복지국가의 사회경제적 기초 : 자산 불평등, 보험욕구, 복지 선호도, 2007-2016" 한국정치학회 52 (52): 1-30, 2018

      8 강원택, "지역주의 투표와 합리적 선택: 비판적 고찰" 34 (34): 51-67, 2000

      9 조동기, "중산층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관적 계층의식" 한국인구학회 29 (29): 89-109, 2006

      10 김도균, "주택소유와 자산기반 투표 : 17대 ~ 19대 대통령 선거 분석" 한국정치학회 52 (52): 57-86, 2018

      11 한국금융주택공사, "주택금융 및 보금자리론 수요실태조사"

      12 김성연,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념의 영향: 패널 데이터 분석 결과"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3 (23): 147-177, 2017

      13 김만흠, "정치 균열, 정당 정치. 그리고 지역주의" 28 (28): 215-237, 1994

      14 전병유, "저소득층일수록 보수정당을 지지하는가? :한국에서 계층별 정당 지지와 정책 태도, 2003∼2012" 한국사회과학연구회 (91) : 9-51, 2014

      15 이갑윤, "재산이 계급의식과 투표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2 (22): 1-26, 2013

      16 박선경, "자신의 상대적 소득수준에 대한 오인과 재분배 선호" 한국정당학회 16 (16): 71-100, 2017

      17 남상호, "우리나라 가계 소득 및 자산 분포의 특징" (277) : 2015

      18 강준만, "아파트의 문화정치학: 아파트가 공공커뮤니케이션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1 (21): 1-25, 2010

      19 박원호, "부동산 가격 변동과 2000년대의 한국 선거: 지역주의“이후”의 경제투표에 대한 방법론적 탐색"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8 (18): 1-28, 2009

      20 손낙구, "대한민국 정치사회 지도: 수도권 편" 후마니타스 2010

      21 강희경, "계급 정치와 ‘계층 배반 투표’: 주관적 계층 변수의 적실성에 관한 연구" 비판사회학회 (110) : 38-81, 2016

      22 강우진, "경제정책에 대한 인식과 주택소유 형태가 투표불참에 미치는 영향 연구: 18대 총선의 경우" 한국정당학회 11 (11): 67-94, 2012

      23 Bartels, Larry, "Unequal Democracy :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New Gilded Age" Russell Sage Foundation 2008

      24 Peterson, Erik, "The Rich Are Different: The Effect of Wealth on Partisanship" 38 : 33-54, 2016

      25 Ansell, Ben, "The Political Economy of Ownership: Housing Markets and the Welfare State" 108 (108): 383-402, 2014

      26 Hamnett, C., "Social Change and the Middle Classes" University College London 257-272, 1995

      27 McCarty, Nolan, "Polarized America: The Dance of Ideology and Unequal Riches" MIT Press 2006

      28 Page, Benjamin, "Democracy and the Policy Preferences of Wealthy Americans" 11 : 51-73, 2013

      29 Gilens, Martin, "Affluence and Influ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1

      30 Meltzer, Allan, "A Rational Theory of the Size of Government" 89 : 914-927, 1981

      31 국토교통부, "2017년 주거실태조사"

      32 통계청, "2017 한국의 사회지표"

      33 금융투자협회, "2014 주요국 가계 금융자산 비교"

      34 장승진, "2012년 양대 선거에서 나타난 계층균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정치학회 47 (47): 51-70, 2013

      35 한귀영, "2012년 대선, 가난한 이들은 왜 보수정당을 지지했는가?" 한국사회과학연구회 (89) : 9-40, 2013

      36 동아시아연구원, "2007-2012 대선,총선,지선 패널조사" 동아시아연구원

      37 이용마, "2000년대 이후 한국 사회 계층균열구조의 등장" 한국정치학회 48 (48): 249-270, 2014

      38 정선언, "1㎡당 650만원, 아파트값 따라 갈린 19대 대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7-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Center for the Reconstruction of Human Society -> Kyung Hee Institute for Human Society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73 1.085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