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간선택제의 고용형태상 지위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Status of Permanent Part-time Work in Employment Typ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4709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der global economy's recession, deepening cutthroat competition, low birth-rate and aging society, and the decreasing trend of productive population, the innovation in the internet-based digital technology has been accelerating the change on the labor market.
      After Korea Government has introduced new brand name of "Permanent Part-time Work" or "Time Selective Work System" in 2013 to increase employment rates and job creation for the career- discontinued women, young and aged people, some positive results are reported.
      This paper has analyzed the status of permanent part-time work in employment types on the basis of legal, employment relations and work conditions, and suggested my viewpoints on whether or not the regularity(typical or atypical work).
      The results of my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permanent part-time work is seen as typical work in the perspective of employment stability(non fixed-term contracts) and basic work conditions(4 form's of social insurance). But because of short working hours, wage and welfare benefits(retirement pay, bonus, paid holidays and vacation etc.) are poor like the atypical work.
      Second, it should be called into pseudo(quasi or semi) typical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fluidity and multiplicity, in which the variation and irregularity, and triple or multiple employment contracts.
      Third and lastly I have proposed the limitations(ambiguity of law terms and protection for workers, low level of wage and welfare, negative images of the part-time work etc.) and some tasks (government's leading hiring and systematic public relations, extension of financial supports, strengthening legal protection and social insurance for time selective workers etc.).
      번역하기

      Under global economy's recession, deepening cutthroat competition, low birth-rate and aging society, and the decreasing trend of productive population, the innovation in the internet-based digital technology has been accelerating the change on the lab...

      Under global economy's recession, deepening cutthroat competition, low birth-rate and aging society, and the decreasing trend of productive population, the innovation in the internet-based digital technology has been accelerating the change on the labor market.
      After Korea Government has introduced new brand name of "Permanent Part-time Work" or "Time Selective Work System" in 2013 to increase employment rates and job creation for the career- discontinued women, young and aged people, some positive results are reported.
      This paper has analyzed the status of permanent part-time work in employment types on the basis of legal, employment relations and work conditions, and suggested my viewpoints on whether or not the regularity(typical or atypical work).
      The results of my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permanent part-time work is seen as typical work in the perspective of employment stability(non fixed-term contracts) and basic work conditions(4 form's of social insurance). But because of short working hours, wage and welfare benefits(retirement pay, bonus, paid holidays and vacation etc.) are poor like the atypical work.
      Second, it should be called into pseudo(quasi or semi) typical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fluidity and multiplicity, in which the variation and irregularity, and triple or multiple employment contracts.
      Third and lastly I have proposed the limitations(ambiguity of law terms and protection for workers, low level of wage and welfare, negative images of the part-time work etc.) and some tasks (government's leading hiring and systematic public relations, extension of financial supports, strengthening legal protection and social insurance for time selective workers et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글로벌 경제의 침체 기조와 경쟁 심화, 저출산·고령화와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추세 속에 인터넷 기반 디지털 기술의 혁신으로 노동시장에 새로운 고용형태의 등장과 근로시간의 조정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2013년 도입한 시간선택제는 일자리 창출과 고용률 증가에 일정 부분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간선택제가 고용형태상 지위가 무엇인지(정규직이냐 아니면 비정규직이냐)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법률적 측면, 고용관계 측면, 근로조건 측면에서 분석하여 정규성 여부에 대한 판단을 내린 후에, 그 한계점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시간선택제는 정책적 용어로서 법률적으로는 ‘단시간근로’에 해당하며, 기존의 시간제와 동일한 법률이 적용되는 애매한 지위에 처해 있다.
      둘째, 고용관계 측면에서는 고용계약기간의 계속성(무기계약)과 기본적 근로조건(4대 보험)은 고용의 안정성을 어느 정도 담보하여 정규직의 특징에 가까우나, 근로시간과 근로 제공방식의 변동성 및 불규칙성 측면에서는 비정규직의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짧은 근로시간으로 인한 저임금과 열악한 복지는 사실상 비정규직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고용관계의 유동성과 다중성(3각 및 다수의 계약관계) 측면에서는 정규직이라 부르기에는 미흡한 유사(준)정규직으로 판단하였다.
      셋째, 시간선택제의 한계점은 정책적 용어로서 법적 보호의 대상과 지위의 애매성, 임금수준과 복지의 취약성, 기존의 시간제와 명칭이 유사한데 따른 부정적 인식 등인 바, 정부와 공공기관의 선도적인 채용 확대와 체계적인 홍보 및 재정적 지원 확충, 시간선택제에 대한 법적 지위 강화와 사회안전망 내실화 등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글로벌 경제의 침체 기조와 경쟁 심화, 저출산·고령화와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추세 속에 인터넷 기반 디지털 기술의 혁신으로 노동시장에 새로운 고용형태의 등장과 근로시간의 조정 필요...

      글로벌 경제의 침체 기조와 경쟁 심화, 저출산·고령화와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추세 속에 인터넷 기반 디지털 기술의 혁신으로 노동시장에 새로운 고용형태의 등장과 근로시간의 조정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2013년 도입한 시간선택제는 일자리 창출과 고용률 증가에 일정 부분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간선택제가 고용형태상 지위가 무엇인지(정규직이냐 아니면 비정규직이냐)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법률적 측면, 고용관계 측면, 근로조건 측면에서 분석하여 정규성 여부에 대한 판단을 내린 후에, 그 한계점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시간선택제는 정책적 용어로서 법률적으로는 ‘단시간근로’에 해당하며, 기존의 시간제와 동일한 법률이 적용되는 애매한 지위에 처해 있다.
      둘째, 고용관계 측면에서는 고용계약기간의 계속성(무기계약)과 기본적 근로조건(4대 보험)은 고용의 안정성을 어느 정도 담보하여 정규직의 특징에 가까우나, 근로시간과 근로 제공방식의 변동성 및 불규칙성 측면에서는 비정규직의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짧은 근로시간으로 인한 저임금과 열악한 복지는 사실상 비정규직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고용관계의 유동성과 다중성(3각 및 다수의 계약관계) 측면에서는 정규직이라 부르기에는 미흡한 유사(준)정규직으로 판단하였다.
      셋째, 시간선택제의 한계점은 정책적 용어로서 법적 보호의 대상과 지위의 애매성, 임금수준과 복지의 취약성, 기존의 시간제와 명칭이 유사한데 따른 부정적 인식 등인 바, 정부와 공공기관의 선도적인 채용 확대와 체계적인 홍보 및 재정적 지원 확충, 시간선택제에 대한 법적 지위 강화와 사회안전망 내실화 등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yrdal, A., "女性の二つの役割" ミネルヴア書房 1985

      2 한국노동연구원, "크라우드 워크 혹은 플랫폼 노동" 2016

      3 고용노동부, "전환형 시간선택제 운영 매뉴얼"

      4 김훈, "일본의 시간제 정규직 유형별 기업 사례" 한국노동연구원 2013

      5 김명중, "일본의 단시간 정사원 제도에 대한 논의에 대해서" 한국노동연구원 2010

      6 김훈, "일본 시간제 현황과 기업 사례, In 시간선택제 일자리 해외사례 연구" 고용노동부·노사발전재단 2015

      7 배규식, "시간제근로의 촉진- 정규직 시간제근로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10

      8 김준, "시간제 일자리 현황과 입법·정책적 개선방안" 국회입법조사처 2014

      9 한국여성개발원, "시간제 및 임시직 고용 현황과 정책과제" 1994

      10 이승계, "시간선택제 활성화의 과제와 한계" 한국경영법률학회 26 (26): 511-548, 2016

      1 Myrdal, A., "女性の二つの役割" ミネルヴア書房 1985

      2 한국노동연구원, "크라우드 워크 혹은 플랫폼 노동" 2016

      3 고용노동부, "전환형 시간선택제 운영 매뉴얼"

      4 김훈, "일본의 시간제 정규직 유형별 기업 사례" 한국노동연구원 2013

      5 김명중, "일본의 단시간 정사원 제도에 대한 논의에 대해서" 한국노동연구원 2010

      6 김훈, "일본 시간제 현황과 기업 사례, In 시간선택제 일자리 해외사례 연구" 고용노동부·노사발전재단 2015

      7 배규식, "시간제근로의 촉진- 정규직 시간제근로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10

      8 김준, "시간제 일자리 현황과 입법·정책적 개선방안" 국회입법조사처 2014

      9 한국여성개발원, "시간제 및 임시직 고용 현황과 정책과제" 1994

      10 이승계, "시간선택제 활성화의 과제와 한계" 한국경영법률학회 26 (26): 511-548, 2016

      11 금재호, "시간선택제 통계 세분화 및 개선방안" 한국노동연구원, 고용노동부 2014

      12 "시간선택제 일자리 활성화 추진계획"

      13 황수경,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의 성과와 과제" 고용노동부 2015

      14 고용노동부, "시간선택제 이렇게 도입하세요"

      15 권혁, "시간선택제 근로 활성화를 위한 기반 확충방안" 고용노동부 2015

      16 김복순, "비정규직 고용과 근로조건" 2017

      17 김성환, "비정규노동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992

      18 Heipeter, T., "독일의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한국노동연구원 2013

      19 이상민, "독일의 근로시간계정제도" 한국노동연구원 2005

      20 이상민, "독일 시간제 일자리 사례, In 시간선택제 일자리 해외사례 연구" 고용노동부·노사발전재단 2015

      21 박지순, "단시간(시간선택제) 근로의 법적 쟁점" 2013

      22 김명중, "단시간 정사원제도를 둘러싼 일본의 최근 동향" 한국노동연구원 2010

      23 이상윤, "노동법(제6판)" 法文社 2011

      24 김형배, "노동법" 박영사 2015

      25 Wielers, R., "네덜란드의 시간제 고용 경제" 한국노동연구원 2013

      26 勞務行政硏究所, "短時間正社員制度の現狀" 勞務行政 (3839) : 2013

      27 吳文玩, "時間制勤勞者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28 한국인사관리학회, "「정부출연 연구기관 우수인력 지속 활용 방안 수립」-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29 한병철, "「시간의 향기」- 머무름의 기술" 문학과 지성사 2013

      30 김유휘,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의 분석과 평가: 한국, 네덜란드, 독일 비교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21 (21): 93-128, 2014

      31 厚生勞動省, "w今後のパ-トタィム勞動對策に關する硏究會報告書" 2011

      32 Chung, H., "Working time flexibility components and working time regimes in Europe : using company-level data across 21 centuries" 24 (24): 2013

      33 Visser, J., "The first part-time economy in the world : a model to be followed?" 12 (12): 2002

      34 Mangum, G., "The Temporary Help Industry : A Response to the Dual Internal Labor Market" 38 (38): 1985

      35 Polivka, A. E., "On the definition of contingent work" 1989

      36 OECD, "OECD Employment Outlook"

      37 Meulders D., "Labor market flexibility : Critical intro- duction to the analysis of a concept" 12 (12): 1987

      38 Brunhes, B., "Labor Market Flexibility, Trends in Enterprises" OECD 1989

      39 Doeringer, P. B., "Internal labor markets and manpower analysis" D.C. Health & Company 1971

      40 Córdova, E., "From full-time wage employment to atypical employment: A major shift in evolution of labour relations?" 125 (125): 1986

      41 고용노동부, "2016년 시간선택제 일자리 만족도 및 실태조사 결과"

      42 한국노동연구원, "2016 KLI 해외노동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3 0.667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