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공통 루마니아어에서 다코-루마니아 방언이 분파되는 과정과 그 하위 방언들이 형성되는 발달사적인 측면을 다루었으며, 그 하위방언들 가운데 몰도바 방언의 특징을 밝히는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82006
2010
-
920
KCI등재
학술저널
37-60(24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공통 루마니아어에서 다코-루마니아 방언이 분파되는 과정과 그 하위 방언들이 형성되는 발달사적인 측면을 다루었으며, 그 하위방언들 가운데 몰도바 방언의 특징을 밝히는데 ...
이 논문은 공통 루마니아어에서 다코-루마니아 방언이 분파되는 과정과 그 하위 방언들이 형성되는 발달사적인 측면을 다루었으며, 그 하위방언들 가운데 몰도바 방언의 특징을 밝히는데 주력하였다. 로마제국의 동쪽 경계 부분이었던 다뉴브 강 하류지역에 자리 잡고 있던 루마니아인의 조상은 A. D. 271년 로마군대가 철수한 이후 라틴어권과는 단절된 채 주변의 여러 민족들과 교류하게 된다. 루마니아인의 조상이 사용하였던 라틴어는 이후 많은 변화를 겪게 되며, 학자들의 의견은 매우 다양하지만, 대략 5-14세기 사이에 공통 루마니아어(Limba Română Comună)를 형성하게 된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론적으로 재구성된 이 공통기어는 이후 4개의 방언들로 분리되며 이들 가운데 하나인 다코-루마니아 방언(Dialect Daco-Român)은 근대적 언어로 발전한 유일한 언어로써 오늘날 루마니아어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다코-루마니아 방언은 다시 크고 작은 언어적 차이를 가진 하위방언들로 분류될 수 있으며, 지역별로 나누어서 작게는 5개, 크게는 남-북부 2개의 하위방언으로 분류된다. 이 하위방언들은 이후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남부의 문테니아 방언을 중심으로 통일되어 근대 루마니아어로 발전하게 된다. 근대어로의 발전과정이 문테니아 방언을 위주로 진행되면서 오늘날의 루마니아어에 비해서 몰도바 방언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차이점들을 언어 범주별로 찾아보았으며 대표적인 부분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음성-음운적 측면에서의 가장 큰 특징으로, 모음에서는 닫힌음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ă/에서 /â/로의 변화, /e/에서 /i/로의 변화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자음에 있어서는 라틴어 발전단계상 고전적인 측면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라틴어에서 /d/가 모음 /i/와 결합하는 경우 다코-루마니아어에서 일반적으로 /z/음으로 바뀌지만 몰도바 방언은 그 변화 단계상 중간 정도인 /dz/를 유지하고 있다. 파찰음이 마찰음으로 변화하는 것 역시 대표적인 특징 가운데 하나로 볼 수 있다; -형태론적인 면에서 볼 때의 특징으로는 성, 수, 격에서 현대 루마니아어와는 다른 곡용형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간혹 있다는 것으로 그 특징을 간략하게 정리할 수 있다. 이런 현상은 정관사, 부정관사, 소유관사 등 관사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며 그 외에도 명사와 대명사의 곡용에서도 변이형을 보이고 있다. 동사에서의 변이형 역시 존재한다; -통사론적인 면에서는 빈번한 부정법이 나타난다는 점을 그 특징으로 들 수 있다. 타 로망스어와 같이 고전적인 루마니아어에서도 부정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다. 하지만, 발칸 반도 지역의 언어들의 영향에 의한 혁신 가운데 하나로 접속법의 사용이 발칸과 인접한 남쪽으로부터 진행되기 시작하였고 근대 루마니아어에서는 일반화되었다. 북부 방언은 이러한 혁신이 남쪽으로부터 진행되어 오는 동안 부정법의 사용이 이어지면서 이 모습이 통사적 특성으로 남게 된다; -어휘적인 면에서의 특징으로는 몰도바 지역에 인접한 국가의 언어들로부터 자연스럽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몰도바 북부에서는 인접한 우크라이나어와 독일어의 영향이 나타나며, 몰도바 남부지역에서는 러시아어, 불가리아어, 터키어의 영향이 나타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about Moldavian Dialect and it's linguistic features. For this purpose, researches were focused on diachronic aspects of Daco-Romanian Dialect and Moldavian Dialect which is one of Daco-Romanian's sub-dialects. The Latin, which was use...
This article is about Moldavian Dialect and it's linguistic features. For this purpose, researches were focused on diachronic aspects of Daco-Romanian Dialect and Moldavian Dialect which is one of Daco-Romanian's sub-dialects. The Latin, which was used by ancestors of Romanian people who were separated to the far eastern part of Roman Empire, was transformed and developed as a “Common Romanian Language” between fifth and fourteenth century. Among the four main dialects separated form Common Romanian Language, Daco-Romanian Dialect was a unique language which was developed as a modern national language. It could be said that it is a starting point of modern Romanian language. Daco-Romanian dialect is consist of diverse sub-dialects which have small or big differences. They could be geographically classified as 5 sub-dialects microscopically, and macroscopically could be classified two sub-dialects of south and north. Through the processes of modernization of language, these sub-dialects were centralized into a southern dialect, i.e. Muntenia Dialect. Because the main stream of linguistic modernization process was based on southern dialect, northern dialects, represented by Moldavian Dialect has had a tendency of keeping it's own specific features and continued to use different forms and senses of language. If those differences are classified and viewed by linguistic categories: from phonologic and phonetic view point, vowels have tendencies of closing sounds usually at the end of word, consonants show a classical aspects of Latin; from morph-syntactic view point, there exist different declension systems of case, number and grammatical gender, and comparatively many uses of infinitives instead of conjunctives; from lexical view point, it could be observed that Moldavian Dialcet received lexical influences from adjacent countries. But the words with specific Moldavian characteristics not belong to the “Basic Vocabulary”, but belong to the “Usual Vocabular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민, "언어학 사전" 박영사 1993
2 이문수, "루마니아어의 다양성- 루마니아어의 기층어와 상층어를 중심으로 -" 동유럽발칸연구소 (19) : 49-77, 2007
3 이온 코테아누, "루마니아어의 구조와 역사" 지만지 2009
4 김지향, "국인을 위한 한국어 기초어휘 선정 연구" 한성대학교 2000
5 임지룡, "국어의 기초어휘에 대한 연구" 경북대학교 23 : 1991
6 오미정, "국어의 기초어휘 선정에 대한 연구: <신체> 영역의 어휘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1999
7 윌터 J.,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1982
8 Graur, Al., "Încercare asupra fondului principal lexical al limbii române" Editura Academiei 1954
9 Rusu, V., "Tratat de Dialectologie Românească" Întreprinderea poligrafică Oltenia 1984
10 Vulpe, M., "Subordonarea în frază în dacoromâna vorbită" Bucureşti 1980
1 이정민, "언어학 사전" 박영사 1993
2 이문수, "루마니아어의 다양성- 루마니아어의 기층어와 상층어를 중심으로 -" 동유럽발칸연구소 (19) : 49-77, 2007
3 이온 코테아누, "루마니아어의 구조와 역사" 지만지 2009
4 김지향, "국인을 위한 한국어 기초어휘 선정 연구" 한성대학교 2000
5 임지룡, "국어의 기초어휘에 대한 연구" 경북대학교 23 : 1991
6 오미정, "국어의 기초어휘 선정에 대한 연구: <신체> 영역의 어휘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1999
7 윌터 J.,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1982
8 Graur, Al., "Încercare asupra fondului principal lexical al limbii române" Editura Academiei 1954
9 Rusu, V., "Tratat de Dialectologie Românească" Întreprinderea poligrafică Oltenia 1984
10 Vulpe, M., "Subordonarea în frază în dacoromâna vorbită" Bucureşti 1980
11 Lăzărescu, P., "Subdialectul Modovean. in: din Tratat de Dialectologie Românească" Ed. Scrisul Românesc 1984
12 Coteanu, I., "Structura şi evoluţia limbii române: de la origini până la 1860" Ed. Academiei 1860
13 Tiugan, M., "Note morfosintactice (pe baza volumului al VI-lea al ALR. s.n.)" 8 : 187-201, 1973
14 ALRM, "Micul atlas lingvistic român" Muzeul limbii române 1940
15 ALRM II, "Micul atlas lingvistic român" 1956
16 DEX, "Insitutul de lingvistică. in: Iorgu Iordan" Academia Română 1996
17 Iordan, I., "Graiul putneam , în scriei alese. Bucureşti."
18 Scorpan, Gr, "Graiul Modovenescu. Tendinţe fonetice. Expresivitate, Buletinul Institutului de Filologie Română "Alexandru Philippide". 11-12"
19 Russu, I. I., "Etnogeneza Românilor : Fondul autohton Traco-Dacic şi componenta latino-romanică" Ed. Ştiinţifică şi Enciclopedică 1981
20 Bidu-Vrănceanu, A., "Dicţionar de Ştiinţe ale limbii" Ed.Nemira 2000
21 Marioţeanu, M. C., "Dialectologie Română" Ed. Didactică şi Pedagogică 1977
22 Teiuş, S., "Coordonarea în vorbirea populară românească" Bucureşti 1980
23 ALM, "Atlasul lingvistic moldovenesc. redatat de R. Udler, V. Comarniţchi, Chişnău"
24 ALR II, "Atlas lingvistic român. seria nouă, întocmit de Institutul de lingvistică Cluj" Academia Română 1956
25 "ALR (1938, 1942) Atlas lingvistic român. Cluj: Muzeul limbii române. j"
에너지 안보에 대처하는 중동부유럽의 선택: ‘초월하기’와 편승전략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3-01-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 ![]()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3 | 0.13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6 | 0.15 | 0.459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