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일제식민지기 재래시장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하였던 시장갈등을 역사적 사례로 하여, 한국사회의 역사적 변동에 현실적합한 사회변동론으로서 식민지근대성론의 이론적, 실증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38183
-
2012년
Korean
식민지근대성 ; experice ; structure ; subjectification ; social change ; alternative modernity ; colonial modernity ; multiple modernities ; 사회변동 ; 서구중심주의 ; 구조 ; 주체 ; 일상 ; 재래시장 ; 시민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일제식민지기 재래시장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하였던 시장갈등을 역사적 사례로 하여, 한국사회의 역사적 변동에 현실적합한 사회변동론으로서 식민지근대성론의 이론적, 실증적 ...
이 연구는 일제식민지기 재래시장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하였던 시장갈등을 역사적 사례로 하여, 한국사회의 역사적 변동에 현실적합한 사회변동론으로서 식민지근대성론의 이론적, 실증적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특히 식민지근대성론에 기반한 한국의 역사적 연구들은 각각 구조-일상-주체라는 상이한 분석수준에 주목하였으며, 이들 상호간의 관계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으면서 많은 혼란을 낳아왔다. 이 연구는 시장갈등의 사례를 이 세 수준 각각의 층위에서 분석하는 한편, 이 총합을 통해서 식민지근대성의 성격을 구명하고자 한다.
식민지근대성론은 서구의 사회이론들이 식민지경험을 배제함으로써 초래하고 있는 서구중심주의적 한계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출현했다. 식민권력에 의해 전통적인 것, 낙후한 것으로 간주되어 역사의 외부로 배제된 식민지적 차이를 그동안의 연구들은 서구근대성의 결여나 왜곡으로 간주해왔다. 이 연구는 이 식민지적 차이, 식민지성을 서구근대성의 내부에 존재하면서도 거기에 완전히 포섭되지 않고, 오히려 서구근대성의 완전한 실현을 가로막으면서 근대성 이후로의 이행의 계기를 제공하는 적극적인 힘, ‘내재하는 외부’로 파악한다.
일제 식민권력은 조선의 전통적 재래시장을 원시적 유통기관으로 간주하면서 시장제도의 외부로 주변화했지만, 조선인의 시민들은 식민지자본주의의 전개과정에서 재래시장을 적극적인 발전의 기반으로 삼고자 했다. 식민권력의 무관심과 무능력 속에서 인접지역간 시장쟁탈전이 치열하게 전개되었으며, 이것이 광범위한 시장갈등으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시민들은 스스로를 조직하고 권력에 저항하면서 집합행동의 주체로 성장하였다. 식민권력은 스스로 배제한 현상 앞에서 오히려 지배의 무능이 폭로되는 역설을 경험하게 되었다. 재래시장에서의 시장갈등은 식민지배라는 근대적 기획을 비틀고 한계짓는 구성적 외부이자 내재하는 외부로서 작동했던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oretical and empirical possibilities of colonial modernity approach as a theory of social change in Korean context. As historical cases, this paper analyses market-conflicts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doing so, this p...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oretical and empirical possibilities of colonial modernity approach as a theory of social change in Korean context. As historical cases, this paper analyses market-conflicts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doing so, this paper notices the three different dimension of those conflicts, that is structure, everyday life, and subjectivity.
Colonial modernity approach tries to overcome western social theories which exclude colonial past as a peripheral phenomena. They regard colonial differences as deficiency or distortion of western original modernity. As for them, colonial differences are exiled from the interior of history. This study position colonial differences in double places. They exist in the exterior of western modernity, at the same time, in the interior of it. While colonial differences are not totally included to western modernity, they rather hinder the complete realization of western modernity. Colonial differences are internalized the exterior.
Although Japanese colonial power tried to exclude traditional periodic markets from the formal economic arrangement as a primitive institution, Korean people regarded them as a basis for their own development. As a result of disinterest and incompetency of colonial power, a good deal of market-conf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