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식 서비스 지향 도서관 시스템의 논리 모델 = A Logical Model of Library System towards Knowledge Serv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507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cosystem of the Library has been radically changing in the advent of ubiquitous information service technology. We are already aware of the digital library due to popularizing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and we are impressed with Library 2.0 an...

      The ecosystem of the Library has been radically changing in the advent of ubiquitous information service technology. We are already aware of the digital library due to popularizing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and we are impressed with Library 2.0 and Social Semantic Digital Library of user-centered, service-oriented library. We summarize the ultimate goal of the evolution of library systems as knowledge services and propose a logical model of library system for the realization of knowledge services. This local model can be applied for a library framework to harmonize the diverse knowledge resources, active users with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the innovation of library business and ubiquitous information service technologies to achieve the missions of library in knowledge-intensive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 기술의 보편화로 도서관 생태 환경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디지털 도서관 등 정보 매체 중심의 변화뿐만 아니라, Library 2.0 또는 소셜 시맨틱 디지털 라이...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 기술의 보편화로 도서관 생태 환경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디지털 도서관 등 정보 매체 중심의 변화뿐만 아니라, Library 2.0 또는 소셜 시맨틱 디지털 라이브러리 등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지향 관점으로의 변화를 실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시스템의 진화에 초점을 두고, 지식 서비스 실현을 위한 제반 환경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지식 서비스 지향 도서관 시스템의 논리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논리 모델은 다양한 지식 정보자원, 참여와 협력의 능동적 이용자, 도서관 업무 혁신, 유비쿼터스 정보 기술을 조화하여 도서관의 근본적 임무를 수행하는데 프레임워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상, "정보생태계 관점에서 본 도서관 2.0 서비스의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2 (42): 29-49, 2008

      2 오삼균, "이용자 참여형 시맨틱 디지털도서관 아키텍처 설계" 한국비블리아학회 18 (18): 229-251, 2007

      3 이현실, "시맨틱 라이브러리를 위한 아키텍처 참조 모델" 한국정보관리학회 24 (24): 75-101, 2007

      4 조 재 인, "도서관 정보 수요자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9 (39): 169-186, 2008

      5 KIPA, "XaaS 전성시대가 열린다"

      6 O'Reilly, Tim, "What is Web 2.0"

      7 박미성, "Web 2.0 기술 적용 사이트 분석을 통한 도서관 정보시스템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9 (39): 139-168, 2008

      8 Gross, Julia, "Twenty- three steps to learning Web 2.0 technologies in an academic library" 26 (26): 790-802, 2008

      9 OCLC, "The world's libraries"

      10 Kruk, Sebastian Ryszard, "The Role of Ontologies in Semantic Digital Libraries"

      1 이수상, "정보생태계 관점에서 본 도서관 2.0 서비스의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2 (42): 29-49, 2008

      2 오삼균, "이용자 참여형 시맨틱 디지털도서관 아키텍처 설계" 한국비블리아학회 18 (18): 229-251, 2007

      3 이현실, "시맨틱 라이브러리를 위한 아키텍처 참조 모델" 한국정보관리학회 24 (24): 75-101, 2007

      4 조 재 인, "도서관 정보 수요자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9 (39): 169-186, 2008

      5 KIPA, "XaaS 전성시대가 열린다"

      6 O'Reilly, Tim, "What is Web 2.0"

      7 박미성, "Web 2.0 기술 적용 사이트 분석을 통한 도서관 정보시스템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9 (39): 139-168, 2008

      8 Gross, Julia, "Twenty- three steps to learning Web 2.0 technologies in an academic library" 26 (26): 790-802, 2008

      9 OCLC, "The world's libraries"

      10 Kruk, Sebastian Ryszard, "The Role of Ontologies in Semantic Digital Libraries"

      11 Wetzstein B, "Semantic Business Process Management: A Lifecycle Based Requirements Analysis in Semantic Business Process and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Innsbruck 2007

      12 ADL, "SCORM"

      13 CCSDS, "Reference Model for an Open Archival Information System(OAIS)"

      14 Kruk, S. R, "MarcOnt - Integration Ontology for Bibliographic Description Formats" 2005

      15 Casey, Michael E, "Library 2.0: A Guide to Partic- ipatory Library Service" Information Today 2007

      16 Miller, Paul, "Library 2.0 The challenge of disruptive innovation"

      17 Willis, Richard, "Library 2.0 Gang"

      18 Titangos, Hui-Lan H, "Learning Library 2.0: 23 Things @SCPL" 30 (30): 44-56, 2009

      19 노지현, "KORMARC 레코드에 대한 FRBR 모델의 적용 실험 - 국립중앙도서관 서지레코드를 사례로 하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9 (39): 291-312, 2008

      20 Indiana University, "Hathi Trust"

      21 Miller, Michael, "Cloud Computing" Que 2008

      22 Andresen, Leif, "After MARC - What then?" 22 (22): 40-51,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 2.02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