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을걸’의 중의성에 따른 부정 보충법 ‘말다’ 실현 양상에 대하여 형태·통사론적 분석을 제시한다. ‘말다’ 보충법 실현은 국지적 성분통어 관계의 의무양태소에 의하여 조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51365
박소영 (부산대학교)
2023
Korean
보충법 ; 의무양태 ; 인식양태 ; 성분통어 ; 국지성 ; suppletion ; deontic modality ; epistemic modality ; C-command ; locality
KCI등재
학술저널
98-116(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을걸’의 중의성에 따른 부정 보충법 ‘말다’ 실현 양상에 대하여 형태·통사론적 분석을 제시한다. ‘말다’ 보충법 실현은 국지적 성분통어 관계의 의무양태소에 의하여 조건...
이 글은 ‘-을걸’의 중의성에 따른 부정 보충법 ‘말다’ 실현 양상에 대하여 형태·통사론적 분석을 제시한다. ‘말다’ 보충법 실현은 국지적 성분통어 관계의 의무양태소에 의하여 조건지어진다. ‘말다’ 보충법은 후회의 ‘-을걸’ 문맥에서만 실현되는데 이는 후회의 ‘-을걸’은 의무양태, 추측의 ‘-을걸’은 인식양태에 해당함을 보여준다. 한편 구조상에서 후회와 추측의 ‘-을걸’은 각각 다른 병합 위치를 갖는데 이는 이들이 보이는 다양한 문법적 대조를 자연스럽게 설명해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 morpho-syntactic analysis of the realization patterns of negation suppletion -malta, which vary depending on the meanings of –ulkel, an ending ambiguous between expressing regret and conjecture. It argues that the occurrence of...
This paper presents a morpho-syntactic analysis of the realization patterns of negation suppletion -malta, which vary depending on the meanings of –ulkel, an ending ambiguous between expressing regret and conjecture. It argues that the occurrence of the negation suppletion form is conditioned by deontic modality within a local C-command relation. Consequently, -ulkel with a regretful meaning is linked to deontic modality, while -ulkel with a conjectural meaning corresponds to epistemic modality. In addition, it claims that -ulkel, depending on the two interpretations, occupies distinct syntactic positions, thereby leading to their contrasting grammatical propertie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인기, "형태이론의 변천과 보충법" 한국어학회 81 : 89-129, 2018
2 고영근, "형태소의 교체와 형태론의 범위 -형태음운론적 교체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46) : 19-52, 2005
3 임동훈, "한국어의 서법과 양태 체계" 한국어의미학회 26 : 211-248, 2008
4 이윤진 ; 노지니, "한국어교육에서의 양태 표현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173-209, 2003
5 박소영, "한국어 주어일치소에 대한 새로운 접근: 음성형식부 일치 분석" 언어정보연구소 43 : 169-199, 2021
6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7 명정희, "한국어 양태 구문의 의미 해석 연구" 서강대학교 2021
8 김용하, "한국어 생성통사론" 역락 2018
9 박소영, "한국어 동사구 대용의 통사론: ‘그리하다’와 ‘그러다’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81) : 63-90, 2017
10 박소영, "직접존대와 간접존대, 그리고 ‘-시-’의 실현: 보충법 실현에 대한 형태-통사론적 관견" 국어학회 (95) : 141-166, 2020
1 정인기, "형태이론의 변천과 보충법" 한국어학회 81 : 89-129, 2018
2 고영근, "형태소의 교체와 형태론의 범위 -형태음운론적 교체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46) : 19-52, 2005
3 임동훈, "한국어의 서법과 양태 체계" 한국어의미학회 26 : 211-248, 2008
4 이윤진 ; 노지니, "한국어교육에서의 양태 표현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173-209, 2003
5 박소영, "한국어 주어일치소에 대한 새로운 접근: 음성형식부 일치 분석" 언어정보연구소 43 : 169-199, 2021
6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7 명정희, "한국어 양태 구문의 의미 해석 연구" 서강대학교 2021
8 김용하, "한국어 생성통사론" 역락 2018
9 박소영, "한국어 동사구 대용의 통사론: ‘그리하다’와 ‘그러다’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81) : 63-90, 2017
10 박소영, "직접존대와 간접존대, 그리고 ‘-시-’의 실현: 보충법 실현에 대한 형태-통사론적 관견" 국어학회 (95) : 141-166, 2020
11 최동주, "종결어미 ‘-ㄹ걸’의 기능과 문법적 특성" 국어학회 (54) : 225-251, 2009
12 이금희, "종결어미 ‘-(으)ㄴ걸’, ‘-는걸’과 ‘-(으)ㄹ걸’의 문법화 과정과 의미 특성" 한국어의미학회 42 : 111-139, 2013
13 박재연, "이형태 교체와 관련한 몇 문제" 국어학회 (58) : 129-155, 2010
14 김지은, "우리말 양태용언 구문에 대한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7
15 이정훈, "어휘 응집성 원리를 넘어" 한국어학회 75 : 1-44, 2017
16 신서인, "양태 표현의 다의성과 구조적 중의성" 우리말글학회 72 : 1-29, 2017
17 박진호, "선어말어미 ‘-시-’의 통사구조상의 위치" 19 : 75-82, 1994
18 박소영, "분산형태론의 이론적 동향과 한국어 문법" 우리말학회 (49) : 91-121, 2017
19 김선영, "부정 구성 ‘-지 말-’의 통합 양상과 의미" 국어학회 (46) : 331-354, 2005
20 고영근, "국어 형태론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
21 한길, "국어 종결어미 연구" 강원대학교 출판부 1991
22 최웅환, "국어 문장 구조에 대한 이해" 언어과학회 (54) : 275-294, 2010
23 권영은, "구어체 종결어미 ‘-을걸’의 양태 의미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67 : 165-202, 2020
24 李敏, "구어체 종결 표현 '-을걸'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25 임채훈, "事件 好否 評價 樣態性 表現 硏究 -意味 體系 設定 및 表現 項目 提示를 中心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7 (37): 55-81, 2009
26 강현화, "‘-을걸’의 특성과 후회표현의 양상" 이중언어학회 (38) : 43-68, 2008
27 이소영, "‘-을걸’의 의미와 문법 지위에 대한 단상" 형태론 24 (24): 150-181, 2022
28 박소영, "‘-을 수 있다’ 양태구문의 통사구조와 부정극어 인허" 한국생성문법학회 32 (32): 75-96, 2022
29 이정훈, "‘-을 수 있-’ 구문의 어휘항목과 통사구조 그리고 의미" 국어학회 (95) : 65-113, 2020
30 이지영, "‘-은걸’과 ‘-을걸’의 통시적 변화에 대한 일고찰" 한국어의미학회 57 : 21-48, 2017
31 김병건, "{-는걸}과 {-을걸}의 양태 의미 연구" 한글학회 (309) : 65-94, 2015
32 Bobaljik, J. D., "Universals in Comparative Morphology" MIT press 2012
33 Bhat, D. N. S., "The Prominence of Tense, Aspect and Mood" John Benjamins 1999
34 Chung, I. -K., "Suppletive verbal morphology in Korean and the mechanism of vocabulary insertion" 45 : 367-533, 2009
35 Chung, I. -K., "Suppletive negation in Korean and Distributed Morphology" 117 : 95-148, 2007
36 Bobaljik, J. D., "Suppletion : Some theoretical implications" 1 : 1-18, 2015
37 Ross, J. R., "Studies in Philosophical Linguistics" Great Expectations 77-102, 1969
38 Han, J. -H., "On negative imperatives in Korean" 38 : 373-395, 2007
39 Palmer, F. R., "Mood and Moda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40 Choi, J. -H., "Locality domains and morphological rules" 37 : 1319-1365, 2019
41 Embick, D, "Localism and Globalism in Morphology and Phonology" MIT press 2010
42 Han, J. -H., "Linguistics in the Morning Calm 4" Hanshin Publications 479-495, 1999
43 Chomsky, N., "Ken Hale: A Life in Language" MIT Press 1-52, 2001
44 Portner, P., "Imperatives and modals" 15 : 351-383, 2007
45 Merchant, J., "How much context is enough?" 46 : 273-303, 2015
46 Cinque, G., "Adverbs and Functional Heads"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또 다시 인수칭 주격 표지 ‘서’를 찾아서-김민국 (2009)과 김창섭 (2010)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