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허는 1904년 天藏庵을 떠나 그 해 봄에 오대산 월정사를 지나게 되었는데 방장인 유인명의 『華嚴經』 설법의 요청을 받고 3개월을 강의한다. 그곳에서 3개월 동안 『華嚴經』 법문을 끝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751119
2015
Korean
금강산유산가 ; 위작 ; 관료 ; 선비 ; 사찰순례 ; 경허 이동경로 ; 僞作의 南行경로 ; Keumkang Mt travel ; a fake ; government official ; pilgrimage ; real work ; Gyeong heo’s northern tour ; author’s south tour
220
KCI등재
학술저널
229-254(2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경허는 1904년 天藏庵을 떠나 그 해 봄에 오대산 월정사를 지나게 되었는데 방장인 유인명의 『華嚴經』 설법의 요청을 받고 3개월을 강의한다. 그곳에서 3개월 동안 『華嚴經』 법문을 끝낸 ...
경허는 1904년 天藏庵을 떠나 그 해 봄에 오대산 월정사를 지나게 되었는데 방장인 유인명의 『華嚴經』 설법의 요청을 받고 3개월을 강의한다. 그곳에서 3개월 동안 『華嚴經』 법문을 끝낸 경허는 이어서 금강산을 유람하고 175편의 금강산 유람기를 쏟아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때 〈금강산유산가〉와 2편의 〈金剛山名句〉, 2편의 〈題歇惺樓〉 등 주옥같은 詩를 남긴다. 그 해 가을에는 안변 석왕사에 들러 나한전 개금불사 증명을 끝으로 경허는 僧家에서 世俗으로 유관 속복하고 박난주로 둔갑하여 三水甲山으로 방향키를 회전하여 영원히 종적을 감추었기 때문에 만약 경허가 이 유람기를 작성하였다면 아마도 〈금강산유산가〉와 2편의 〈金剛山名句〉, 그리고 2편의 〈題歇惺樓〉를 남긴 이 시기가 가장 유력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경허의 이 〈금강산유산가〉는 언제부터인지 경허의 眞作이 아니라는 僞作의 논란이 끊임없이 계속 있어 왔다. 그러한 근거는 우선 이 〈금강산유산가〉는 漢岩의 『鏡虛集』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지만 만해의 中央禪院本 ??鏡虛集??과 수덕사본 『鏡虛法語』에는 수록되어 있고 한편 명정본 『鏡虛集』 한암본과 마찬가지로 〈금강산유산가〉 175首, 〈금강산명구〉 2편, 〈제헐성루〉 2편이 제외되어 수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위작과 관련하여 여기에 대한 끊임없는 의문 제기로 경허의 나머지 작품마저 위작의 가능성에 휘말릴 수 있는 상황에 노출되어 있는 만큼 문제의 소지가 크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논자는 〈금강산유산가〉의 僞作 內容에 있어서 첫째로 著作時期에 따른 僞作의 오류에 대한 분석과 접근으로 경허의 眞作이 아닌 僞作에 대한 근거를 살펴보고, 둘째는 내용분석에 따른 僞作에 대한 자세한 분석으로 경허의 행적과 다른 점을 찾아보는 방향으로 접근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 중국지명과 혼동에 의한 僞作 부분을 중국의 지명과 비교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네 번째로 경허의 이동경로에 따른 이동행로에 대한 오류를 지적하여 僞作의 이동경로가 北으로가 아닌 南으로의 행로를 쫓고 있는 방향이탈의 연작시라는 사실을 증명함으로써 이 〈금강산유산가〉에 대한 경허 작품의 眞僞를 밝히는 과정을 이상의 네가지 관점에서 접근을 시도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hows the author’s reconsideration of 〈金剛山遊山歌〉 containing 『鏡虛集』. The truth or falsity of Kyeong Heo’s poem of 〈金剛山遊山歌〉 is important in this study. The venerable Gyeongheo(鏡虛) manifeste...
This paper shows the author’s reconsideration of 〈金剛山遊山歌〉 containing 『鏡虛集』.
The truth or falsity of Kyeong Heo’s poem of 〈金剛山遊山歌〉 is important in this study.
The venerable Gyeongheo(鏡虛) manifested Seon doctrine in his Seon poetry, 『鏡虛集』.In particular, in 1904, Gyeongheo left the Chun Jang Am(天藏庵), and passed the Weol Tung Sa (月精寺). There, he met Master Yu In Myeong, who asked Gyeongheo to teach the Hwa um kyung (華嚴經). So, Gyeongheo delivered many Buddhist lectures for three months over the spring.
Eventually, Gyeongheo finished lecturing on the Hwa um kyung(華嚴經). He then travelled to the Geum Gang Mountain(金剛山). During his trip, Gyeongheo composed a cycle of one hundred and seventy five poems with the title 〈金剛山遊山歌〉. This included the poem of The ?金剛山名句? and The ?題歇惺樓?.
In autumn that year, Gyeongheo reached the Suk Wang Sa, attempting to prove ?點眼佛事? as a Seon master.
After that, he disappeared, Sam Su Gap San (三水甲山), in order to give all creatures mercy. Now, the 〈金剛山遊山歌〉 of Gyeongheo, containing 『鏡虛集』, has led to an argument regarding truth and falsehood in the field of Buddhism.
〈金剛山遊山歌〉 was presented in the 『鏡虛法語』 of Su Deok Sa. and 『韓國佛敎全書』. The problem relating to truth or falsehood in the study of Kyeong Heo’s Poem of 〈金剛山遊山歌〉 is considered very serious by many parties.
In particular, the fame of 『韓國佛敎全書』 is a result of many of his disciples.
For this reason, the other results of the problems of the study of whether Kyeong Heo’s poem 〈金剛山遊山歌〉 is true or false need to be examined.
I think that the“Author’s reconsideration of 〈金剛山遊山歌〉 contained in 『鏡虛集』” is an important study. Eventually, we should be able to establish the reliability of the prestige and fame of the venerable Gyeongheo.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승범, "한국수필문학연구" 정음사 1980
2 임기중, "불교 가사 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1
3 최강현, "기행가사자료선" 국학 자료원 1998
4 鏡虛, "鏡虛集, 韓佛典11권" 동국대학교출판부 1992
5 경허, "鏡虛法語" 경허성우선사법어집간행회, 인물연구소 1981
6 일지, "鏡虛" 민족사 2012
7 김태흡, "批判12호" 批判社 1938
8 한암, "先師鏡虛和尙행장" 월정사 문도회 2009
1 최승범, "한국수필문학연구" 정음사 1980
2 임기중, "불교 가사 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2001
3 최강현, "기행가사자료선" 국학 자료원 1998
4 鏡虛, "鏡虛集, 韓佛典11권" 동국대학교출판부 1992
5 경허, "鏡虛法語" 경허성우선사법어집간행회, 인물연구소 1981
6 일지, "鏡虛" 민족사 2012
7 김태흡, "批判12호" 批判社 1938
8 한암, "先師鏡虛和尙행장" 월정사 문도회 2009
심신치유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지관명상(止觀冥想) 수행법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9-1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Buddhist Culture Research Institute |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Buddhist Research Institute ->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3 | 0.73 | 0.6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55 | 1.313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