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구려 오회분4호묘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78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구려의 오회분4호묘는 국내성 지역에서 축조된 가장 늦은 시기의 벽화고분이다. 6세기 후반의 작품으로 평가되는 오회분4호묘 벽화는 고구려의 국내성 지역이 수도인 평양 일대와 구별되...

      고구려의 오회분4호묘는 국내성 지역에서 축조된 가장 늦은 시기의 벽화고분이다. 6세기 후반의 작품으로 평가되는 오회분4호묘 벽화는 고구려의 국내성 지역이 수도인 평양 일대와 구별되는 개성적 색채가 뚜렷한 문화를 발전시켰음을 보여준다. 이는 고구려의 국내성 지역이 예맥계 문화를 기반으로 외래의 문화를 수용, 소화한 오랜 경험에서 비롯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오회분4호묘 벽화는 통구사신총과 오회분5호묘 벽화를 잇는 작품이다. 5~6세기 동아시아에서 유행한 운기화생 표현이 국내성 지역과 평양 일대의 6세기 고분벽화에 보이지만, 두 지역의 벽화는 색감이나 필선에서 뚜렷이 구분된다. 강렬하고 역동적이며 화려한 국내성 지역 고분벽화와 달리 평양 일대 고분벽화는 세련되고 부드러우며 차분하다. 오회분4호묘 벽화는 앞 시기 국내성 지역 고분벽화 보다 필선이 세련되고 벽화 제재도 정돈되어 배치되었다. 그런데도 오회분4호묘 벽화는 제재 구성과 표현 기법에서 평양 지역의 6세기 고분벽화와 차이를 보인다.
      오회분4호묘 벽화는 고구려 고유의 신화체계를 형상화하여 나타낸 점에서 평양 일대의 6세기 고분벽화 및 중국 남북조시대 6세기 회화와 구별된다. 오회분4호묘 벽화를 비롯한 국내성 지역의 고분벽화가 큰 틀에서는 동아시아 다른 지역의 회화, 특히 장의 미술과 다르지 않지만, 세부적인 제재 구성과 표현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은 국내성 지역 문화의 개성과 보수성이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오회분4호묘 벽화는 앞 시기의 충분히 다듬어지지 않은 관념 체계의 표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비교적 잘 정리된 신화체계를 세련되게 표현해냈다. 오회분4호묘벽화는 이런 점에서 고구려 국내성 화파의 개성적인 회화 세계를 잘 구현해낸 사례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hoebun Tomb No. 4 of Koguryo is the latest dating mural tomb constructed in the Guknaeseong area. Ohoebun Tomb No. 4, dating to the late sixth century, shows that the Guknaeseong(國內城) area had developed a unique culture distinct from the capita...

      Ohoebun Tomb No. 4 of Koguryo is the latest dating mural tomb constructed in the Guknaeseong area. Ohoebun Tomb No. 4, dating to the late sixth century, shows that the Guknaeseong(國內城) area had developed a unique culture distinct from the capital, Pyeongyang. This is because the Guknaeseong area had a long tradition of adopting foreign culture with the Yemaek(濊貊) culture as the base.
      Ohoebun Tomb No. 4 is a bridge between the Tonggusasinchong and the Ohoebun Tomb No. 5. Several depictions of the heavenly birth by transformation (雲氣化生 yunqi huasheng), which was popular in the fifth and sixth century East Asia, are found in the sixth century tomb murals of both Guknaeseong and Pyeongyang region. However, the murals of each region remain quite distinct in their use of color and brush strokes. Unlike the dynamic and ornate tomb murals of the Guknaeseong area, those of Pyeongyang region are sophisticated, calm, and soft. The murals of Ohoebun Tomb No. 4 present more stylish brush strokes and organized motifs than the earlier works found in the Guknaeseong region. Still, the composition of motifs and the expressive techniques of the Ohoebun Tomb No. 4 murals are distinct from the sixth century tomb murals of Pyeongyang region.
      Ohoebun Tomb No. 4 murals are distinguished from the sixth century tomb murals of Pyeongyang area and the paintings of the Chinese North and South Dynasties in its treatment of the Koguryo mythology. While the tomb murals of the Guknaeseong region including Ohoebun Tomb No. 4 do not deviate much from the painting tradition or the overall funerary art tradition of other East Asian regions, the details including the motifs and the expressions are uniquely influenced by the regional culture and the conservatism of the Guknaeseong area. Ohoebun Tomb No. 4 murals is an especially good example of the works of the Koguryo artists of Guknaeseong school stylishly depicting a well organized mythological traditions that is a step up from the tentative expressions of the earlier peri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유적 개요
      • Ⅲ. 벽화 제재 분석
      • Ⅳ. 6세기 고구려 문화와 오회분4호묘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유적 개요
      • Ⅲ. 벽화 제재 분석
      • Ⅳ. 6세기 고구려 문화와 오회분4호묘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모종감, "중국도교사: 신선을 꿈꾼 사람들의 이야기" 예문서원 2015

      2 전호태, "중국 화상석과 고분벽화 연구" 솔 2007

      3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조선유적유물도감 6(고구려편 4)" 외국문종합출판사 1990

      4 權寧弼, "실크로드 미술-중앙아시아에서 한국까지-" 열화당 1997

      5 정재서, "산해경" 민음사 2004

      6 노태돈, "고구려사연구" 사계절 1999

      7 최택선, "고구려사신도무덤의 주인공문제에 대하여" 사회과학출판사 1988 (1988): 1988

      8 최택선, "고구려사신도무덤의 등급에 대하여" 사회과학출판사 1987 (1987): 1987

      9 전호태, "고구려 통구사신총 연구" 고구려발해학회 41 : 107-140, 2011

      10 전호태, "고구려 진파리1호분 연구" 한국역사연구회 (95) : 147-179, 2015

      1 모종감, "중국도교사: 신선을 꿈꾼 사람들의 이야기" 예문서원 2015

      2 전호태, "중국 화상석과 고분벽화 연구" 솔 2007

      3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조선유적유물도감 6(고구려편 4)" 외국문종합출판사 1990

      4 權寧弼, "실크로드 미술-중앙아시아에서 한국까지-" 열화당 1997

      5 정재서, "산해경" 민음사 2004

      6 노태돈, "고구려사연구" 사계절 1999

      7 최택선, "고구려사신도무덤의 주인공문제에 대하여" 사회과학출판사 1988 (1988): 1988

      8 최택선, "고구려사신도무덤의 등급에 대하여" 사회과학출판사 1987 (1987): 1987

      9 전호태, "고구려 통구사신총 연구" 고구려발해학회 41 : 107-140, 2011

      10 전호태, "고구려 진파리1호분 연구" 한국역사연구회 (95) : 147-179, 2015

      11 임기환, "고구려 정치사 연구" 한나래 2004

      12 전호태, "고구려 삼실총 벽화 연구" 한국역사연구회 (44) : 1-28, 2002

      13 김일권, "고구려 별자리와 신화" 사계절 2008

      14 전호태, "고구려 벽화고분의 과거와 현재" 성균관대출판부 2020

      15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의 해와 달" 국립중앙박물관 50 : 1992

      16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17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여행" 푸른역사 2012

      18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사계절 2000

      19 정재서, "거울의 무속상 기능 및 그 문학적 수용" 5 : 1982

      20 전호태, "강좌 한국고대사 9"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2

      21 楊 泓, "高句麗壁畵石墓" 中央人民政府文化部文物局資料室 1958 (1958): 1958

      22 耿鐵華, "高句麗古墓壁畵硏究" 吉林大學出版社 2008

      23 全虎兌, "高句麗 後期 四神系 古墳壁畵에 보이는 仙•佛 混合的 來世觀" 7 : 1997

      24 김진순, "高句麗 後期 四神圖 고분벽화와 古代 韓ㆍ中 문화 교류" 한국고대학회 (30) : 31-63, 2009

      25 孫仁杰, "集安高句麗墓葬" 香港亞洲出版社 2007

      26 李殿福, "集安高句麗墓硏究" 中國社會科學院考古研究所 1980 (1980): 1980

      27 吉林省文物志編委會, "集安縣文物志" 1984

      28 耿鐵華, "集安五盔墳五號墓藻井壁畵新解" 黑龙江省文物考古研究所 1993 (1993): 1993

      29 金鎭順, "集安 五壟墳 四·五號墓 벽화 연구" 미술사연구회 (17) : 79-132, 2003

      30 "牟頭婁墓誌銘"

      31 關野貞, "滿洲輯安縣及び平壤附近に於ける高句麗時代の遺蹟(一)" 日本考古學會 5 (5): 1914

      32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洞泃古墓群-1997年調査測繪報告" 科學出版社 2002

      33 關野貞, "朝鮮平壤附近の樂浪高句麗及ひ支那輯安縣附近の高句麗遺蹟" 朝鮮及満州社 78 : 1914

      34 朝鮮總督府, "朝鮮古蹟圖譜(一)" 名著出版社 1915

      35 梅原末治, "朝鮮古文化綜鑑 Ⅳ" 養德社 1966

      36 "日本書紀"

      37 "新唐書"

      38 "廣開土王陵碑"

      39 吉村怜, "天人誕生圖の硏究" 東方書店 1999

      40 "周書"

      41 吉林省文物工作隊, "吉林集安五塊墳四號墓" 中國社會科學院考古研究所 1984 (1984): 1984

      42 吉林省博物館, "吉林輯安五塊墳四號和五號墓淸理略記" 科學出版社 1964 (1964): 1964

      43 정재서, "不死의 신화와 사상" 민음사 1995

      44 "三國史記"

      45 林起煥, "6·7세기 高句麗 政治勢力의 동향" 5 : 19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1.01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