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69304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다문화교육전공 , 2020. 8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Effect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n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 형태사항

        vii, 102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최항석
        참고문헌 : p. 82-92

      • UCI식별코드

        I804:41002-000000055219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교원을 대상으로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을 측정하여 이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간의 상관관계와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은 어떠한가?

      둘째,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교수효능감은 어떠한가?

      셋째,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이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학의 언어교육원과 평생교육원,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기관과 초·중·고교, 다문화센터 등에서 국내 이주민에게 한국어 수업을 하고 있는 한국어교원 105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도구는 박창선(2015)의 다문화감수성 측정 도구와 최충옥, 모경환(2008)의 다문화교수효능감 측정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를 위한 설문 조사는 모바일 구글 조사시스템을 활용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프로그램, 통계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집단 간 유의성 검증을 위한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감수성은 한국어교원의 연령이나 경력이 많아지면서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하위영역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다문화 존중, 다문화 배경지식,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실천의지, 다문화 배타성, 다문화 상호작용 순으로 이어졌으며, 다문화 지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한국어교원이 한국어 학습자인 국내 이주민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서 그들의 문화와 그 차이를 존중하고 수용하는 태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나 그들의 개별적인 문화에 대한 지식과 상호작용에서의 만족도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할 수 있다.
      둘째, 다문화교수효능감은 연령이나 경력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 및 경력이 증가할수록 응답자들이 느끼는 자신의 다문화교수효능감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다문화교수효능감을 조사한 하위영역 중에서 인간관계 측면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학습자 배려 측면, 일반기능 측면, 수업기능 측면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어교원은 한국어 학습자인 국내 이주민과 수업에서 상호관계를 항상 형성하고 있어서 다문화교수효능감에 있어서 일반기능 측면과 수업기능 측면보다, 인간관계 측면과 학습자 배려 측면에서 다소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할 수 있다.
      셋째,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상호 전체적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감수성이 높을수록 다문화교수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어교원에게 있어서 다문화감수성의 하위영역 중 배경지식, 다문화존중, 실천의지, 다문화지식 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의 모든 영역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다문화 배경지식과 다문화 지식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의 하위영역에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을 고려한다면, 다문화교육적 관점에서 한국어교육의 수준과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외국인 한국어 교육생들의 출신 국가와 문화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어교원 간 정보교환과 다문화 교육역량 향상을 위한 학습조직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즉, 한국어 및 다문화 관련 교육경험이 많은 선배 한국어교원들과 경험이 부족하고 익숙하지 않은 한국어교원들이 소통하고 상호작용할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과 세미나 등을 통해 현장에서의 경험들을 상호 교환하고 습득할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주요어 : 한국어교원,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수효능감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어교원을 대상으로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을 측정하여 이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간의 상관관계와 다문화감수...

      본 연구는 한국어교원을 대상으로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을 측정하여 이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간의 상관관계와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은 어떠한가?

      둘째,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교수효능감은 어떠한가?

      셋째,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이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학의 언어교육원과 평생교육원,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기관과 초·중·고교, 다문화센터 등에서 국내 이주민에게 한국어 수업을 하고 있는 한국어교원 105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도구는 박창선(2015)의 다문화감수성 측정 도구와 최충옥, 모경환(2008)의 다문화교수효능감 측정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를 위한 설문 조사는 모바일 구글 조사시스템을 활용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프로그램, 통계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집단 간 유의성 검증을 위한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감수성은 한국어교원의 연령이나 경력이 많아지면서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하위영역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다문화 존중, 다문화 배경지식, 다문화 수용성, 다문화 실천의지, 다문화 배타성, 다문화 상호작용 순으로 이어졌으며, 다문화 지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한국어교원이 한국어 학습자인 국내 이주민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서 그들의 문화와 그 차이를 존중하고 수용하는 태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나 그들의 개별적인 문화에 대한 지식과 상호작용에서의 만족도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할 수 있다.
      둘째, 다문화교수효능감은 연령이나 경력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 및 경력이 증가할수록 응답자들이 느끼는 자신의 다문화교수효능감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다문화교수효능감을 조사한 하위영역 중에서 인간관계 측면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학습자 배려 측면, 일반기능 측면, 수업기능 측면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어교원은 한국어 학습자인 국내 이주민과 수업에서 상호관계를 항상 형성하고 있어서 다문화교수효능감에 있어서 일반기능 측면과 수업기능 측면보다, 인간관계 측면과 학습자 배려 측면에서 다소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할 수 있다.
      셋째,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상호 전체적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감수성이 높을수록 다문화교수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어교원에게 있어서 다문화감수성의 하위영역 중 배경지식, 다문화존중, 실천의지, 다문화지식 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의 모든 영역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다문화 배경지식과 다문화 지식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의 하위영역에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을 고려한다면, 다문화교육적 관점에서 한국어교육의 수준과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외국인 한국어 교육생들의 출신 국가와 문화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어교원 간 정보교환과 다문화 교육역량 향상을 위한 학습조직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즉, 한국어 및 다문화 관련 교육경험이 많은 선배 한국어교원들과 경험이 부족하고 익숙하지 않은 한국어교원들이 소통하고 상호작용할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과 세미나 등을 통해 현장에서의 경험들을 상호 교환하고 습득할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주요어 : 한국어교원,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수효능감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o examine Influence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n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is goal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Second, how is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ird, how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n the effica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05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teach Korean language to Korean migrants at universities' language education centers, lifelong education centers, social integration program operating institutions, elementary・ middle・high schools, and multicultural centers.
      The measurement tool were modified and used for measuring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Park Chang-sun (2015) and the measuring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Choi Chung-ok and Mo Gyeong-hwan (2008). The mobile Google survey system was used for the survey for this study, and SPSS program was uses for data analysis as like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alysis of varience(ANOVA) for group significance verific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measuring the influe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n the dependent variabl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sensitivity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age and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is is because Korean teachers are closely related to Korean immigrants who are Korean learners, an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y have a high attitude to respect and accept their culture and differences.
      Second,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be greatly influenced by age and experience. These results can be analyzed that as the age and experience increase, respondents' sense of efficacy in multicultural teaching increases. Among the sub-areas that surveyed the efficacy of Korean teachers, the average of human relation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learner consideration, general function, and teaching function. It can be analyzed that Korean teachers seem to appear somewhat higher in terms of human relations and learner consideration than in terms of general function and teaching function in terms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the effica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y we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e higher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the higher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n the effica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t can be analyzed that multi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and multicultural knowledge have the great influence on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considering that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teaching efficacy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and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teaching efficacy for increasing effectivenes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supply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foreign countries and cultures of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Third, it is necessary to vitalize learning organizations to exchange inform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improve multicultural language education capabilitie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opportunity to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senior Korean teachers who are experienced in Korea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young Korean teachers who are inexperienced and unfamiliar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way to exchange and acquire experiences in the field through various training programs and seminars.

      keyword : Korean language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o examine Influence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n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research questions set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o examine Influence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n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is goal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Second, how is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ird, how i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n the effica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05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teach Korean language to Korean migrants at universities' language education centers, lifelong education centers, social integration program operating institutions, elementary・ middle・high schools, and multicultural centers.
      The measurement tool were modified and used for measuring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Park Chang-sun (2015) and the measuring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Choi Chung-ok and Mo Gyeong-hwan (2008). The mobile Google survey system was used for the survey for this study, and SPSS program was uses for data analysis as like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alysis of varience(ANOVA) for group significance verific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measuring the influe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n the dependent variabl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sensitivity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age and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is is because Korean teachers are closely related to Korean immigrants who are Korean learners, an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y have a high attitude to respect and accept their culture and differences.
      Second,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be greatly influenced by age and experience. These results can be analyzed that as the age and experience increase, respondents' sense of efficacy in multicultural teaching increases. Among the sub-areas that surveyed the efficacy of Korean teachers, the average of human relation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learner consideration, general function, and teaching function. It can be analyzed that Korean teachers seem to appear somewhat higher in terms of human relations and learner consideration than in terms of general function and teaching function in terms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the effica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y we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e higher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the higher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n the efficac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t can be analyzed that multi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and multicultural knowledge have the great influence on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considering that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teaching efficacy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and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multicultural sensibility and teaching efficacy for increasing effectivenes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supply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foreign countries and cultures of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Third, it is necessary to vitalize learning organizations to exchange inform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improve multicultural language education capabilitie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opportunity to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senior Korean teachers who are experienced in Korea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young Korean teachers who are inexperienced and unfamiliar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way to exchange and acquire experiences in the field through various training programs and seminars.

      keyword : Korean language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문제 5
      • 3. 용어의 정리 5
      • Ⅱ. 이론적 배경 7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문제 5
      • 3. 용어의 정리 5
      • Ⅱ. 이론적 배경 7
      • 1.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와 한국어교원 7
      • 2. 다문화감수성 15
      • 3. 다문화 교수효능감 23
      • 4. 선행연구 고찰 26
      • Ⅲ. 연구 방법 34
      • 1. 연구대상 34
      • 2. 연구도구 36
      • 3. 연구절차 42
      • 4. 자료분석 43
      • Ⅳ. 연구결과 44
      • 1.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 44
      • 2.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교수효능감 56
      • 3. 한국어교원의 다문화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63
      • Ⅴ. 결론 및 제언 75
      • 1. 요약 75
      • 2. 결론 78
      • 3. 제언 80
      • 참고문헌 82
      • 부 록 93
      • Abstract 1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