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아의 성역할 정체감 형성을 위한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모델 중심 유아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절실하고 시급한 요구뿐만 아니라 학문적, 교육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 유아의 성역할 정체감 형성을 위해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모델 중심 유아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연구Ⅰ]), 개발된 프로그램이 유아와 부모의 성역할 정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연구 Ⅱ]) 목적이 있다. 여기서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모델 중심 유아양성평등교육이란 첫째, 양성적 성역할 정체감 형성을 통해 성별에 관계없이 서로를 존중하고 개성과 능력을 발휘하는 인간 육성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유아가 쉽게 체험할 수 있는 생활의 네 가지 형태인 가정생활, 학교생활, 직업생활, 사회문화생활에서의 양성평등/불평등을 내용으로 한다. 셋째, 학교와 가정이 상호 협력하여 생활 속에서 󰡐성차 고려하기 활동󰡑을 순환적․전반적 체험활동으로 조성하는 교육방법을 지향함으로써 양성평등적인 태도, 지식과 기술, 행동을 통합적으로 증진해 나가는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연구Ⅰ]과 관련하여, 유아의 성역할 정체감, 유아 양성평등교육 접근법,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모델 등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해 프로그램의 이론적 준거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학부모와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실제 가정과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양성평등교육 실태 및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을 위한 기초 요구조사를 수행하여 실제적 준거를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모델 중심 유아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 구조 모형을 개발한 후, 전문가 및 교사와의 협의를 통해 구조 모형의 적절성과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 검증된 내용을 기초로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을 고려한 30개 활동으로 구성된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모델 중심 유아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 [연구 Ⅱ]와 관련하여, 예비연구, 검사자 및 연구보조원 훈련, 교사 훈련, 사전검사, 실험처치 그리고 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예비연구는 만 5세 1학급의 유아와 부모를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절성 및 검사도구의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실험처치 프로그램에 반영하였다.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모델 중심 유아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의 교수전략에 대한 교사 훈련은 본 연구자가 유치원을 방문하여 일주일에 3회씩 2주에 걸쳐 6회 실시하였다. 그리고 실험은 10주간 주 3회로 총 30개의 활동(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활동 30개)으로 구성된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모델 중심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된 만5세 유아(25명)와 부모(25명)를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ANCOVA 분석을 통해 유아와 부모의 성역할 정체감 변화를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모델 중심 유아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전체 성역할 정체감과 하위영역인 가사, 직업, 놀이 모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발한 프로그램은 부모의 성역할 태도와 양성평등의식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하위영역별로는 성역할 태도의 하위영역인 성별분업, 남녀의 권위관계, 남녀의 기회, 기타 성 고정관념 모두와 양성평등의식의 하위영역인 가정생활, 학교생활, 직업생활, 사회문화생활 모두에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절실하고 시급한 요구뿐만 아니라 학문적, 교육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 유아의 성역할 정체감 형성을 위해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모델 중...

      본 연구는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절실하고 시급한 요구뿐만 아니라 학문적, 교육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 유아의 성역할 정체감 형성을 위해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모델 중심 유아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연구Ⅰ]), 개발된 프로그램이 유아와 부모의 성역할 정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연구 Ⅱ]) 목적이 있다. 여기서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모델 중심 유아양성평등교육이란 첫째, 양성적 성역할 정체감 형성을 통해 성별에 관계없이 서로를 존중하고 개성과 능력을 발휘하는 인간 육성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유아가 쉽게 체험할 수 있는 생활의 네 가지 형태인 가정생활, 학교생활, 직업생활, 사회문화생활에서의 양성평등/불평등을 내용으로 한다. 셋째, 학교와 가정이 상호 협력하여 생활 속에서 󰡐성차 고려하기 활동󰡑을 순환적․전반적 체험활동으로 조성하는 교육방법을 지향함으로써 양성평등적인 태도, 지식과 기술, 행동을 통합적으로 증진해 나가는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연구Ⅰ]과 관련하여, 유아의 성역할 정체감, 유아 양성평등교육 접근법,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모델 등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해 프로그램의 이론적 준거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학부모와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실제 가정과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양성평등교육 실태 및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을 위한 기초 요구조사를 수행하여 실제적 준거를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모델 중심 유아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 구조 모형을 개발한 후, 전문가 및 교사와의 협의를 통해 구조 모형의 적절성과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 검증된 내용을 기초로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을 고려한 30개 활동으로 구성된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모델 중심 유아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 [연구 Ⅱ]와 관련하여, 예비연구, 검사자 및 연구보조원 훈련, 교사 훈련, 사전검사, 실험처치 그리고 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예비연구는 만 5세 1학급의 유아와 부모를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절성 및 검사도구의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실험처치 프로그램에 반영하였다.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모델 중심 유아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의 교수전략에 대한 교사 훈련은 본 연구자가 유치원을 방문하여 일주일에 3회씩 2주에 걸쳐 6회 실시하였다. 그리고 실험은 10주간 주 3회로 총 30개의 활동(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활동 30개)으로 구성된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모델 중심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된 만5세 유아(25명)와 부모(25명)를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ANCOVA 분석을 통해 유아와 부모의 성역할 정체감 변화를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가정-유치원 상호 협력 모델 중심 유아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전체 성역할 정체감과 하위영역인 가사, 직업, 놀이 모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발한 프로그램은 부모의 성역할 태도와 양성평등의식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하위영역별로는 성역할 태도의 하위영역인 성별분업, 남녀의 권위관계, 남녀의 기회, 기타 성 고정관념 모두와 양성평등의식의 하위영역인 가정생활, 학교생활, 직업생활, 사회문화생활 모두에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gender equi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home-kindergarten partnership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sex role identity of young children ([ResearchⅠ]). In addition, I hope to observe what effects this program will have on the sex role identity of the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Research Ⅱ]). Here, I hope that this program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way gender roles are viewed. First, its objective is to teach the children to respect one another and demonstrate how humans can develop regardless of their sex. This can be done by establishing a sex role identity of the androgyny type. Second, the contents of the gender equality/inequality stem from four kinds of life styles: human life, school life, career life and social life that young children can easily experience. Third, the outgoing model promotes gender attitudes, knowledge and skills, and action by pursuing a teaching method based on home-kindergarten partnership. The first in the research, related in [Research 1], developed a gender equi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home-kindergarten partnership model. This model was considered to cooperates by homes and kindergartens in both directions, ba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lated literature and the status and requirements of gender equity education research results. This was an attempt that considered these things. Precedent studies continue to highlight the positive effects and necessity of the home-kindergarten mutual cooperation model through various trends and points of views. Nonetheless, there has not been a specific attempt to develop Home-Kindergarten cooperation on gender equity education. Moreover, there has not been any organization, guidance, or models about this particular model. Second, concerning [Research II] and the results that show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young children’s sex role identity, I can see that the gender equi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home-kindergarten partnership model has a positive effect. Young children’s entire sex role identity and it’s sub-divisions including housekeeping, occupation, and play were effected. This program I developed produced positive effects on the parent’s sex role behavior and bisexual equality consciousness as well. Parents’ sex role behavior’s sub-divisions including: sexual division of labor, sexual authority relations, sexual opportunities, and other sexual stereotypes and bisexual equality conscious’s sub-divisions including: family life, school life, work life and social life. In the past, the research concerning young children gender equity education was only done by the kindergarten, without parents’ cooperation. It was also limited to partial resource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oweve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revive the education of the home. Also, they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e infant education facilities because family and kindergarten can cooperate to enhance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sex role identity through this program.
      번역하기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gender equi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home-kindergarten partnership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sex role identity of young children ([ResearchⅠ]). In addition, I hope to observe what effects this pro...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gender equi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home-kindergarten partnership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sex role identity of young children ([ResearchⅠ]). In addition, I hope to observe what effects this program will have on the sex role identity of the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Research Ⅱ]). Here, I hope that this program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way gender roles are viewed. First, its objective is to teach the children to respect one another and demonstrate how humans can develop regardless of their sex. This can be done by establishing a sex role identity of the androgyny type. Second, the contents of the gender equality/inequality stem from four kinds of life styles: human life, school life, career life and social life that young children can easily experience. Third, the outgoing model promotes gender attitudes, knowledge and skills, and action by pursuing a teaching method based on home-kindergarten partnership. The first in the research, related in [Research 1], developed a gender equi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home-kindergarten partnership model. This model was considered to cooperates by homes and kindergartens in both directions, ba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lated literature and the status and requirements of gender equity education research results. This was an attempt that considered these things. Precedent studies continue to highlight the positive effects and necessity of the home-kindergarten mutual cooperation model through various trends and points of views. Nonetheless, there has not been a specific attempt to develop Home-Kindergarten cooperation on gender equity education. Moreover, there has not been any organization, guidance, or models about this particular model. Second, concerning [Research II] and the results that show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young children’s sex role identity, I can see that the gender equi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home-kindergarten partnership model has a positive effect. Young children’s entire sex role identity and it’s sub-divisions including housekeeping, occupation, and play were effected. This program I developed produced positive effects on the parent’s sex role behavior and bisexual equality consciousness as well. Parents’ sex role behavior’s sub-divisions including: sexual division of labor, sexual authority relations, sexual opportunities, and other sexual stereotypes and bisexual equality conscious’s sub-divisions including: family life, school life, work life and social life. In the past, the research concerning young children gender equity education was only done by the kindergarten, without parents’ cooperation. It was also limited to partial resource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oweve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revive the education of the home. Also, they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e infant education facilities because family and kindergarten can cooperate to enhance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sex role identity through this program.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