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사회적 가치관이 한국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An Empirical Analysi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Korea: Focusing on the Effects of ‘Social Valu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18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2008 KGSS databases,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facts and features concerning about multicultural acceptabilities in Korea, and to explain the causal effect of ‘social values’(such as class identification, political orientation, ethnocentrism, confucian value, and perception toward globalization) on the attitude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ies empirically.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ile many Koreans generally have open-mined and tolerable attitudes to foreigners, but also show negative attitudes about the increase of migrant workers and marriage migrant women. Second, progressive political orientations have proved a strong positive effect on the enhancemen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ies in Korea, but in contrast, confucian values have a negative effect on those tendencies. Third, while the positive attitudes toward globalization and high-leveled class identifications have partially proved positive effects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ies, but ethnocentrism has partially proved negative effects.
      번역하기

      Based on the 2008 KGSS databases,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facts and features concerning about multicultural acceptabilities in Korea, and to explain the causal effect of ‘social values’(such as class identification, political orientation, e...

      Based on the 2008 KGSS databases,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facts and features concerning about multicultural acceptabilities in Korea, and to explain the causal effect of ‘social values’(such as class identification, political orientation, ethnocentrism, confucian value, and perception toward globalization) on the attitude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ies empirically.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ile many Koreans generally have open-mined and tolerable attitudes to foreigners, but also show negative attitudes about the increase of migrant workers and marriage migrant women. Second, progressive political orientations have proved a strong positive effect on the enhancemen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ies in Korea, but in contrast, confucian values have a negative effect on those tendencies. Third, while the positive attitudes toward globalization and high-leveled class identifications have partially proved positive effects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ies, but ethnocentrism has partially proved negative eff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최근 한국사회의 다문화 수용성의 실태을 고찰하고, 사회적 가치관(주관적 계층의식, 정치적 성향, 유교적 가치, 자민족중심주의, 세계화에 대한 인식)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다문화 수용성은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친밀도, 그리고 이주민(이주노동자, 결혼이민여성) 증가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측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들은 외국인에 대해 비교적 개방적이고 높은 친밀도를 지니고 있지만, 이민노동자와 결혼이주여성의 증가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 태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양한 사회적 가치관 가운데 정치적 이념성향과 유교적 가치관은 외국인에 대한 친밀도와 이주민 증가에 대한 인식 모두에서 일관된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보적 정치성향은 높은 수준의 다문화 수용성을 결과했으며 유교적 가치관은 다문화 수용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셋째, 주관적 계층의식은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친밀도(+)에, 그리고 세계화에 대한 인식과 자민족중심주의는 이주민 증가의 수용태도(각각 +, -)에만 부분적으로 인과적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한국사회의 다문화 수용성ㆍ개방성이 여러 측면의 사회적 가치관에 따라 다층적이고 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최근 한국사회의 다문화 수용성의 실태을 고찰하고, 사회적 가치관(주관적 계층의식, 정치적 성향, 유교적 가치, 자민족중심주의, 세계화에 대한 인식)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

      이 연구는 최근 한국사회의 다문화 수용성의 실태을 고찰하고, 사회적 가치관(주관적 계층의식, 정치적 성향, 유교적 가치, 자민족중심주의, 세계화에 대한 인식)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다문화 수용성은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친밀도, 그리고 이주민(이주노동자, 결혼이민여성) 증가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측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들은 외국인에 대해 비교적 개방적이고 높은 친밀도를 지니고 있지만, 이민노동자와 결혼이주여성의 증가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 태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양한 사회적 가치관 가운데 정치적 이념성향과 유교적 가치관은 외국인에 대한 친밀도와 이주민 증가에 대한 인식 모두에서 일관된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보적 정치성향은 높은 수준의 다문화 수용성을 결과했으며 유교적 가치관은 다문화 수용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셋째, 주관적 계층의식은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친밀도(+)에, 그리고 세계화에 대한 인식과 자민족중심주의는 이주민 증가의 수용태도(각각 +, -)에만 부분적으로 인과적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한국사회의 다문화 수용성ㆍ개방성이 여러 측면의 사회적 가치관에 따라 다층적이고 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artiniello, Marco, "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 다르게, 평등하게 살기" 한울 2002

      2 양계민, "한민족정체성과 자민족중심주의가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387-421, 2009

      3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4 최현, "한국인의 다문화 시티즌십(multicultural citizenship) : 다문화 의식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5 (5): 147-173, 2007

      5 맹진학, "한국인의 다문화 배제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323-348, 2009

      6 윤인진, "한국인의 국민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 2008

      7 황정미, "한국사회의 다민족 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8 Held, David, "전지구적 변환" 창비 2002

      9 오경석, "어떤 다문화주의인가?: 다문화사회 논의에 관한 비판적 조망. in: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한울아카데미 2007

      10 김상학, "소수자 집단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한국사회조사연구소 (1) : 2004

      1 Martiniello, Marco, "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 다르게, 평등하게 살기" 한울 2002

      2 양계민, "한민족정체성과 자민족중심주의가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387-421, 2009

      3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4 최현, "한국인의 다문화 시티즌십(multicultural citizenship) : 다문화 의식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5 (5): 147-173, 2007

      5 맹진학, "한국인의 다문화 배제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에 관한 다층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323-348, 2009

      6 윤인진, "한국인의 국민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 2008

      7 황정미, "한국사회의 다민족 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8 Held, David, "전지구적 변환" 창비 2002

      9 오경석, "어떤 다문화주의인가?: 다문화사회 논의에 관한 비판적 조망. in: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한울아카데미 2007

      10 김상학, "소수자 집단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한국사회조사연구소 (1) : 2004

      11 박수미,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 (2): 5-26, 2006

      12 김이선, "다민족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I): 한국사회의 수용 현실과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13 구견서,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체계"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7 (27): 29-53, 2003

      14 엄한진, "다문화를 통해본 한국사회: 이주민에 대한 관용의 성격과 사회적 배경" 2008

      15 김남국, "다문화 시대의 시민:한국사회에 대한 시론" 한국국제정치학회 45 (45): 97-121, 2005

      16 인태정, "다문화 사회 지향을 위한 인종의 사회적 거리감과 문화적 다양성 태도 연구 -부산・울산・경남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3 (13): 339-370, 2009

      17 김창근, "다문화 공존과 다문화주의: 다문화 시민성의 모색*" 한국윤리학회 1 (1): 21-50, 2009

      18 설동훈, "국내거주외국인인권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02

      19 Hjerm, Mikael, "What the Future May Bring: Xenophobia among Swedish Adolescents" 48/ (48/): 2005

      20 Weldon, Steven A., "The Institutional Context of Tolerance for Ethnic Minorities: a Comparative, Multilevel Analysis of Western Europe" 50 (50): 2006

      21 Esses, Victoria M., "The Immigration Dilemma: the Role of Perceived Group Competition, Ethnic Prejudice, and National Identity" 57 (57): 2001

      22 Spybey, Tony, "Globalization and World society" Polity Press 1996

      23 Leong, Chan-Hoong, "A Multilevel Research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Attitudes toward Immigrants" 32 :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6-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Instituete for Social Science Studies -> Research Institute of Social Science KCI등재후보
      2010-06-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Social Science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8 1.05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