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Subclavian Steal Syndrome은 1961년 Fisher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 되었으며 Subclavian artery나 Brachiocephalic artery의 proximal부분에 심한 협착이나 폐색에의 일어나는 혈류 장애이다. 혈류방향은 Systolic...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44147
2009
Korean
학술저널
59-62(4쪽)
※ KISS의 서비스 중단으로 원문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Subclavian Steal Syndrome은 1961년 Fisher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 되었으며 Subclavian artery나 Brachiocephalic artery의 proximal부분에 심한 협착이나 폐색에의 일어나는 혈류 장애이다. 혈류방향은 Systolic...
배경: Subclavian Steal Syndrome은 1961년 Fisher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 되었으며 Subclavian artery나 Brachiocephalic artery의 proximal부분에 심한 협착이나 폐색에의 일어나는 혈류 장애이다. 혈류방향은 Systolic phase에서는 팔로 향하고 Diastolic phase에서는 뇌로 향하게 흐르며, 협착의 정도에 따라 도류현상이 심해진다. 심할 경우 병변측의 Vertebral artery의 혈류방향이 지속적으로 팔로 향하게 되며, posterior circulation에서의 중요한 감별진단에 속한다. Aim: Subclavian Steal Syndrome에서 환자의 임상증상과 Transcranial Doppler를 통한 Vertebral artery 협착정도에 따른 혈류변화와 감별진단(hyperemia test)하는 방법에 대하여 서술함 고찰: Subclavian Steal Syndrome이 의심되는 환자에서의 TCD를 통한 Subclavian artery나 Brachiocephalic artery의 협 착의 정도나 이상 유무를 감별 할 때는 꼭 Hyperemia test가 필요하고, 이를 진단적 검사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 검사실에서의 검사방법 규격화 및 단순화와 함께 체계화된 진단 기준 설정이 필요 할 것으로 생각 된다.
Cardiac Electrophysiologic Test